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이슈추적] 김대성 제주일보 회장 구속 파장 ··· 68년 역사 <제주일보> 오점?

제주언론계의 간판격인 그가 몰락의 길을 걸어가고 있다.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이사장으로서 시대를 풍미했던 그였지만 ‘막힌 돈줄’에서 그는 헤어나지 못했다. 거액의 부동산 매각으로 재기가 예상됐지만 결국 그는 철창 안에 갇힌 신세가 됐다.

 

그가 현재 갖고 있는 직함만 해도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이사장, 전국재해대책협의회 부회장, 아시아신문재단(PFA) 한국위원회 이사, 국제언론인협회(IPI) 한국위원회 이사, 신문발행인포럼 이사, 한국신문협회 이사, 제주일보 회장 겸 발행인 등 다 열거하기도 힘들다.

 

제주지법이 21일 오후 김대성 제주일보 회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부동산 매각대금의 사용처를 조사해달라”는 제주일보 임직원들의 모임인 비상대책위원회의 지난해 말 진정과 “110억원의 채무를 이행하지 않았다”는 중앙일보의 업무상 횡령·사기 혐의에 대한 지난 1월의 고소에 따른 검찰의 수사 이후 나온 결과다. 검찰의 수사가 피치를 올리고 있는 것이다.

 

“도주의 우려가 있다”는 법원의 판단에 따라 김 회장은 이날 오후 곧바로 구치소에 수감됐다.

 

지난해 말 불거진 제주일보의 부도와 김 회장의 구속 등 일련의 사태는 제주지역은 물론 언론계에서도 충격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제주일보는 1945년 창간한 <제주신보>에 뿌리를 둔 신문이다. 올해로 68년이 되는 제주의 대표신문이다. 국내 종합일간지 중에서도 세 번째로 연륜이 길다.

 

제주일보는 1962년 11월20일 주간신문이던 <제민일보>와 통합, <제주신문>으로 먼저 이름을 알렸다. 현재의 <제주일보> 제호는 1996년 ‘제2창간’을 기치로 바꾼 이름이다.

 

잘 나가던 <제주일보>는 사실 예전부터 살얼음판을 걷고 있었다.

 

5공 정권이 기세를 올리던 1980년 11월 김대성 회장은 <제주신문>의 사장 자리를 꿰찼다. “정권의 후광을 업고 있다”는 세간의 의혹이 제기됐지만 1988년 그는 탑동 사옥을 제주시 연동으로 옮기면서 ‘제2창업’을 선언했다. 물론 5공 정부에서 경쟁사인 <제남신문>이 억울하게 폐간되는 효과(?)를 오히려 업어 제주 유일 종합일간지의 인기를 이어갔다.

 

 

더욱이 1994년 중앙일보의 현지인쇄판 계약을 따낸 뒤 조선·동아의 제주현지 인쇄판까지 잇따라 수주, 그의 경영수완을 보여주기도 했다. 2000년엔 윤전기 2호기까지 들여왔다.

 

그러나 그 이면에서 그는 사실 고군분투했다. 1980년대 말 노사분규가 벌어지면서 그의 전횡논란이 불거졌고, 급기야 대부분의 기자들이 집단퇴사해 경쟁사인 <제민일보>를 만들었다. 그 때쯤 <한라일보>도 사세를 확장, 제주의 신문시장은 과거 <제주일보> 독점체제에서 빠르게 3파전 시장으로 재편됐다.

 

급기야 2004년 22억원의 적자를 낸 제주일보는 임금체불도 잦았다. 현지인쇄 수주 계약에 힘입어 매출이 매년 110억~120억원을 기록했지만 사실상 자체 신문의 영업부진으로 매년 10억~24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이러한 경영부진을 타개하기 위해 제주일보는 연동 사옥 매각에 나섰다. 부지면적 6174.4㎡의 사옥을 매각하는데 손을 잡은 것이 롯데다. 매각대금만 330억원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롯데는 제주일보의 부지를 인수해 현재 지하 4층 지상 22층 규모의 롯데시티호텔 제주 건설에 한창이다. 제주일보는 매각대금의 일부를 들여 2011년 8월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 신사옥 부지로 옮겨갔다.

 

그러나 경영정상화는 요원했다. 임금체불이 다시 시작됐고, 급기야 지난해 12월 초 8000만원의 어음을 결제하지 못해 부도처리 됐다. “도대체 매각대금 330억원으로 무엇을 했는지 알 수 없다. 사용처를 파악해 달라”고 임금체불에 시달려 온 제주일보 직원들이 검찰에 진정한 이유다. 중앙일보 역시 “수년에 걸쳐 인쇄대금 100억원을 선지급하는 형식으로 빌려줬고, 부지 매각대금이 나오는 대로 대금반환을 약속한 데다 이후 긴급자금이 필요하다고 해 추가로 10억원을 더 빌려줬는데 한 마디로 당했다”며 그를 사기혐의로 고소했다.

 

 

검찰은 현재 그가 쓴 돈의 행방을 집요하게 캐고 있다. 회사 운영자금이 아닌 개인 빚 탕감과 도박 등에 손을 댔을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그 정황을 찾고 있다.

 

사태는 그의 구속으로 끝이 날 상황이 아니다. 지분투자와 대출보증 등의 형태로 제주일보에 직·간접적으로 연루된 전·현직 임원들은 최근 ‘패닉’상태에 빠진 것으로 알려졌다.

 

채권자·저당권자인 금융권에서 지난 1월 중순 제주일보의 신사옥과 윤전기 등을 상대로 경매개시 신청을 접수했고, 보증관계인 전·현직 임원의 재산에 대해서도 압류처분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연루된 인사 대부분이 거의 전 재산을 날릴 판국으로 치닫고 있다.

 

이름을 밝히길 꺼린 제주일보의 한 퇴직기자는 “그가 30여년 간 제주일보의 사주를 맡아 제주언론계의 맹주로 군림하면서 각종 폐해가 곪을 대로 곪았다. 심지어 그가 지방선거판에서까지 특정 후보를 밀기 위해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등 온갖 비리를 저질렀다는 사실은 알만한 사람은 다 안다”며 “진작에 터질 일이 이제야 불거지고 있다”며 검찰의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사실상 피해자인 제주일보의 직원들은 “그의 개인비리와 언론매체인 제주일보와는 엄연히 나눠서 생각할 문제”라며 그의 구속이후 불거지고 있는 파장과 선을 그었다. 제주일보 비대위 소속 한 기자는 “김 회장에 대한 수사와는 별개로 오늘도 제주일보의 기자들은 사회적 공기(公器)라는 막중한 책임을 다하고자 애쓰고 있다”고 말했다. [제이누리=양성철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관련기사

더보기
25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