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30회]일본 식민지경제하 지켜낸 제주도민의 자존

 

제주도의 가장 오래된 항구는 건입포(建入浦)로 산지천이 바다로 유입되는 산지천 하류 일대로 추정된다. 기원전 100년~기원후 500년경부터 건입포가 제주와 육지를 잇는 입출항 포구(浦口)로서 외부와의 교역에 이용되었다. 제주에서 처음으로 항구가 건설된 것은 1735년 김정 목사가 부역으로 산지항 방파제 80간(間)과 내제(內堤)를 쌓은 것이다. 이후 일제강점기에 산지항 항만 개발이 본격적으로 착수되었다.

 

 

제주도 산지항(濟州島 山池港)은 암초(暗礁)가 만코 수심(水深)이 천(淺)할뿐 아니라 방파(防派)할만 곳이 업슴으로 풍랑(風浪)만 심(甚)하면 선박(船舶)의 출입(出入)이 도저(到底)히 불가능(不可能)하야 지방발전(地方發展)에 막대(莫大)한 지장(支障)이 됨으로 일반(一般)은 차(此)를 유감(遺憾)으로 사(思)하던바 당국자(當局者)의 진력(盡力)으로 래칠월초순(來七月初旬)부터 삼개월(三個月)의 기간(期間)과 삼천만원(三千萬圓)의 예산(豫算)으로 일만칠천여평(一萬七千餘坪)이나 매립(埋立)하고 일백육십간(一百六十間)이나 되는 방파제(防波堤)를 축(築)하리라는데 공사(工事)는 제주면(濟州面)에서 직영(直營)하리라더라(1926.4.28. 동아일보).

 

 

1920년 조선총독부령 제41호에 의거 서귀포항 및 성산포항 등과 함께 2등급에 해당하는 지정항으로 지정되었다. 1926년에 방파제 축조 공사가 시작되어 3여 년간의 공사로 삼천만원의 예산을 들여 일만칠천여평을 매립하고 일백육십간 규모의 방파제를 축조했다.

 

또한 성산포항에 이천오만원, 서귀포항 십구만팔천원을 들여 삼개년 예정으로 축조공사에 착수했다. 이후 1929년에 산지항 서방파제가 준공되었다. 이때부터 건입포는 산지항으로 불러지며 명실상부 제주도 최대 규모의 항만이 되었다.

전남 제주도(全南 濟州島)는 전선(全鮮)에 무이(無二)한 대도(大島)로셔 인다물부(人多物富)하야 고래(古來)로부터 상업(商業)을 본위(本位)로 하는 일도회지(一都會地)인대 동도(同島)의 명문(命門)이 되는 산지포 성산포 서귀포(山池浦 城山浦 西歸浦) 차삼항만(此三港灣)으로 말하면 원래(元來) 지리(地理)가 위험(危險)함으로 선박출입(船舶出入)이 심(甚)히 곤란(困難)함에 따라 지방발전상(地方發展上) 막대(莫大)한 영향(影響)이 유(有)하던 터인대 연래(年來)로 동도인민(同島人民)은 우삼항(右三港) 수축(修築)하기를 절망(切望)하던바 영위래년도(永爲來年度)에 대(對)하야는 국고보조신청(國庫補助申請)을 할터인바 차(此)를 실지조사(實地調査)하기 위(爲)하야 금번(今番)에 김토목과장(金土木課長)은 동지(同地)에 출장(出場)하엿는대 삼항(三港)의 예정계산(豫定計算)을 말하건대 산지포(山池浦) 삼천구만원(三千九萬圓) 성산포(城山浦) 이천오만원(二千五萬圓) 서귀포(西歸浦) 십구만팔천원(十九萬八千圓) 합계(合計) 팔천삼만팔천원원(八千三萬八千圓圓)인대 삼년간(三年間)계획(計劃)으로 공사(工事)에 착수(着手)하리라더라(1924.06.14. 조선일보).

 

당시 산지항 축조공사는 단순히 내륙 연결을 용이케 한다는 의미를 넘어 그때까지 철저히 단절된 고도(孤島)에서 열린 세계로의 진출이라는 역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그래서 인지, 당시 신문기사를 살펴보면 산지항 축항공사 착수에 대한 도민들의 관심이 뜨거웠다.

제주도 산지포(濟州島 山池浦)에 공비 삼천만원(工費 三千萬圓)의 거액(巨額)을 들여 축항(築港)에 착수(着手)하엿다는데 지난 이십이일 상오십시(二十二日 上午十時)에 산지부두(山池埠頭)에서 성대(盛大)한 축항기공식(築港起工式)을 전남 석지사 임석하(全南 石知事 臨席下)에 거행(擧行)하엿는데 식(式)을 맛친 후(後) 연이일(連二日) 시민일동(市民一同)은 축하행렬(祝賀行列)과 소인극(素人劇)을 행(行)하야 동도 미증유(同島 未曾有)의 성황(盛況)을 일우엇는데 방파제(防波堤)의 연장(延長)이 일백육십간(一百六拾間)이라하며 공사(工事)는 본년말(本年末)까지 완성(完成)할 예정(豫定)이라더라(1927.04.28. 동아일보).

그러나 초기 산지항 축조공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산지항 기반시설 본격화 문제는 당시 제주사회의 큰 고민거리였던 것으로 보인다.

 

수년전부터 총독부(總督府)의 보조(補助)와 낙천면비(洛川面費)로 축항(築港)공사(工事)를 시작(始作)하야 지금(只今) 완료(完了)가 되엇스나 축항(築港)으로서는 넘우도 빈약(貧弱)하야 전(前)보다 조금도 다름이 업습니다. 총독부(總督府)에서도 좀 더 보조(補助)하고 도민(島民)이 더 분발(奮發)하야 지금(只今) 축항(築港)을 아주 완전(完全)한 것으로 하는 것이 조흘 듯합니다(1931.1.28. 동아일보).

 

한편 제주도민들은 당시 제주도민의 최대숙원사업이었던 산지항 축항공사에 있어 전적으로 조선총독부 지원예산에만 의존하지 않고 일정부분 도민들이 부담하겠다는 자존감을 보여 주고 있다. 이는 식민지경제하에서 나타난 독특한 지역사회개발의 주민 참여 유형으로 경제사적 측면에서 되새겨 볼만한 역사적 사실이다.

 

토목공사(土木工事)에는 비용(費用)이 만히 드는 것이니 총독부(總督府)의 보조(補助)도 넉넉하여야 할 것이지만 도민(島民)의 부담(負擔)을 만히 요(要)하게 될 것입니다. 만일(萬一) 공사비(工事費)가 삼십륙만원(三十六萬圓)이라면 그 반액(半額)은 총독부(總督府)에서 부담(負擔)하고 나머지 반(半)의 반액(半額)은 제주면(濟州面) 부담(負擔) 또 반(半)의 반액(半額)은 도민(島民) 전체(全體)의 부담(負擔)이라야 할 것입니다. 다른 토목공사(土木工事)도 만히 잇지마는 위선급(爲先急)한 것이 이 축항(築港)공사(工事)입니다(1931.1.28. 동아일보).

 

 

 

☞진관훈은?

 

= 서귀포 출생. 제주대 사범대를 나왔으나 교단에 서지 않고 동국대에서 경제학 박사(1999), 공주대에서 사회복지학 박사(2011) 학위를 받았다. 제주도 경제특보에 이어 지금은 지역산업육성 및 기업지원 전담기관인 제주테크노파크에서 수석연구원으로 일하고 있으며 겸임교수로 대학, 대학원에 출강하고 있다. 저서로는『근대제주의 경제변동』(2004),『국제자유도시의 경제학』(2004),『사회적 자본과 복지거버넌스』 (2013) 등이 있으며『문화콘텐츠기술과 제주관광산업의 융복합화연구』(2010),『제주형 첨단제조업 발굴 및 산업별 육성전략연구』(2013),『제주자원기반 융복합산업화 기획연구』(2011) 등 보고서와 다수의 논문이 있다.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