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이권홍의 '중국, 중국인'(173) ... 중국사에 담긴 미스테리

건륭제는 눈앞의 여인이 우라나라 씨가 아니라 일찍이 죽은 효현황후 푸차 씨이기를 남몰래 바라고 있었다. 건륭제는 우라나라 씨에게 싫증을 느끼고 반감이 들기 시작하면서 푸차 씨의 장점과 우라나라 씨의 단점을 비교하는 습관이 생겼다. 비교하면 할수록 우라나라 씨에 대한 반감이 세졌다. 반감이 세면 셀수록 그리워하는 마음이 더욱 집착과 같은 행태로 변했다. 그리고 자신의 혼인에 대해 더더욱 실망하게 됐고.

 

건륭 20년, 열셋째 황자를 생산한 이후 우라나라 씨는 황제와 자신이 나날이 소원해지고 있음을 느꼈다. 여인의 직감은 틀림없다. 푸차 씨가 죽은 지 오래지만 그 그림자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건륭제는 푸차 씨에게 여전히 깊은 정을 주고 있었다.

 

그것보다도 더 그녀를 고통스럽게 하는 것은 황제가 자신에게 줬던 열정과 흥미가 다른 비빈들에게 전이됐다는 것이다. 흔빈(忻嬪), 영비(令妃)와 같은 이들은 이전에는 자신보다도 못했던 비빈들이었는데 지금은 역전돼 황제의 마음속 사랑의 여인이 돼 있었다. 심지어 막 입궁한 회부(回部)(청(淸)나라 때 차이다무(柴達木) 분지에 있던 지명) 여자 용빈(容嬪) 조차도 총애를 받고 있었다.

 

그런데 위풍당당한 대청제국의 황후인 자신은 푸대접받고 독수공방하고 있지 않은가. 온갖 고생을 참고 견디며 일이십 년을 기다리고 노력해서야 비로소 얻은 부귀영화이거늘. 이제 빛을 잃고 초라하기 그지없이 헛된 이름만 덩그러니 남아 있지 않은가.

 

우라나라 씨는 상심했고 실망했다. 그리고 분노하고 원망했다. 자신의 외곬으로 쏟는 치정을 황제라는 이가 조금도 소중하게 여기지 않고 순식간에 헌신짝 버리듯 하다니.

 

 

그러나 그녀는 자신의 고통과 불평을 그 어느 누구에게도 털어놓지 못했다. 태후는 자신을 여전히 잘 대해주지만 이미 육칠십의 노인이 아니던가. 어찌 아들과 며느리 사이의 개인적인 일을 간섭할 수 있단 말인가.

 

설사 태후에게 고한들 자신의 식견이 짧고 너절하다고 책망할 것이다. 자고이래로 제왕의 후궁은 삼천을 넘었지만 현재 황제는 비빈 몇 십 명이 고작이거늘 어찌 그를 호색한이고 음탕하다 할 수 있겠는가? 그가 자신을 총애하지 않는 것은 스스로 무능하고 부덕하여 황제의 사랑을 받지 못하는 것을 원망해야 할 일.

 

태후에게 황제가 자신에게 냉담한 태도를 보인다고 말한다고 한들 태후가 자기를 위해 말해줄 리도 만무하지 않은가. 태후가 건륭에게 경계하라 몇 마디 한다고 해도 건륭이 다시 돌아와 자기를 나무랐다고 책망하게 될 것이 아니겠는가. 그렇다면 결국 자신만 비참하게 되지 않겠는가.

 

그녀는 자신의 비애를 수하나 하인 혹은 자신과 사이가 좋은 비빈들에게 털어놓을 수도 없었다. 후궁 곳곳이 황제의 귀와 눈이 아닌 게 없지 않던가. 황후가 어찌 황제의 눈을 피할 수 있겠는가. 자신이 황후의 자리에 앉아 있거늘. 수많은 사람들이 황후의 일거수일투족을 주시하고 있을 텐데 만일 실수라도 저지르는 날이면 자신이 평생 심혈을 기우려 이뤄놓은 모든 것이 망가져 버릴 터인데.

 

우라나라 씨는 심사숙고했지만 끝내 건륭제가 자신을 사랑하게 할 방법을 찾지 못했다. 그때 우라나라 씨는 여성으로써 특수한 단계에 처해 있었다. 즉 중년에서 노년으로 가는 과도기였다. 생리와 심리의 변화는 그녀의 성격을 의심 많고 민감하게 변화시켰다. 급하고 쉽게 화를 내는 성격이 돼 버렸다.

 

건륭제는 하루가 다르게 호화롭고 사치스런 생활을 하면서도 자신을 대하는 태도는 냉담하고 소원했으니, 그녀의 심리적 부담을 가중시켰을 것은 자명하다. 신경질적으로 변했고 의구심이 자주 일었다. 근심 걱정에 시달리면서 뜬눈으로 밤새는 일이 다반사였다.

 

어느 날 남순(南巡) 도중 둘 사이의 갈등이 마침내 폭발했다. 건륭제의 재위 기간, 국가는 태평한 시기였다. 국고가 가득 차니 황제가 남순하고 수렵 나가는 조건을 충족시켜 줬다. 출행할 때마다 비빈들이 곁을 지키는 것은 당연했다. 심지어 태후를 모시고 순행하면 적어도 후비, 황자, 황손, 왕공의 호송을 받았다. 태후가 천륜의 즐거움을 만끽하고 황가의 위풍과 기세를 과시하기 위함이었다.

 

건륭 30년 2월 새봄이 갓 지난 어느 날, 만세야(萬歲爺)는 또 모친을 모시고 강남으로 순행하기로 결정했다. 그 출행에는 황후 우라나라 씨 이외에 영(令)귀비, 경비(慶妃), 용빈(容嬪), 영상재(永常在), 영상재(寧常在) 여섯 명과 대신, 시위 일천여 명이 동행했다.

 

도중, 건륭제의 사치와 타락, 다른 여인들에 건네는 은총, 자신에 대한 냉담, 마침내 황후 우라나라 씨는 더 이상 참을 수 없게 돼 버렸다. 사랑을 받지 못하는 자신에 대한 슬픔과 분노, 황후라는 장엄한 책임감은 용기를 북돋아 줬다. 결국 최후의 항쟁을 시작했다.

 

그녀의 마음속 깊은 곳에는 일말의 희망을 품고 있었다. 어쩌면 황제가 자신의 직간(直諫)을 듣고 문득 깨달을 수도 있지 않을까. 어쩌면 자신의 애군의 충심을 이해할 수도 있지는 않을까. 어쩌면 다시 총애를 받게 되는 기회가 될 수도 있을지 모른다.

 

황제와 성심으로 서로 아끼며 사랑하는 생활을 해나갈 수도 있을 지도. 그때가 되면 자신이 황제에게 권해 내궁을 정리케 하고 국사에 전념케 하면 대청제국의 기틀은 더더욱 공공해지리라. 그러나 그녀는 잘못 생각했다. 틀려도 크게 틀렸다. 황제가 그녀의 충언을 듣고는 노발대발했다. 우라나라 황후는 모든 의욕을 상실해 의연히 자신의 기다란 머리카락을 잘라냈다!

 

건륭제는 도성으로 돌아온 후 우라나라 씨를 병이 났다는 이유로 폐위하려 했다. 그러나 조정 중신들의 반대와 저지를 받았다. 어떤 이는 오사모와 목숨을 잃는 것을 두려워않고 “죽을 각오로 간언”하면서 황후를 보호했다.

 

형부시랑 지오로(Gioro, 각라(覺羅)) 아용아(Ayonga, 아영아(阿永阿))는 상소를 올려 황후를 폐위할 수 없음을 간언하다가 결국 파직 당하고 그 벌로 흑룡강(黑龍江)으로 쫓겨나 변방에서 죽었다. 건륭제는 폐위를 반대하는 대신 몇 명을 처벌했지만 조정 대신들의 반대와 의론을 막지 못해 결국 황후라는 이름은 남겨뒀다. 그러나 유명무실한 존재가 됐다.

 

그 사건이 발생하고 3개월이 채 되지 않은 기간에 황제는 우라나라 황후의 책서와 보새 4부를 모두 회수하도록 명했다. 즉 황후, 황귀비, 한(嫻)귀비, 한비 각 1부로 실제 황후가 궁에 들어온 이후의 모든 책봉을 모두 폐기한 것이다.

 

흠점(欽點)대학사 부항(傅恒)을 정사(正使)로 협반(協班)대학사를 부사로 해 영(令)귀비 위가(魏佳) 씨를 황귀비로 책봉했다. 황귀비로 하여금 황후의 지위를 대신하게 한 것이다. 전 황후를 철저하게 연금시키고 거들떠보지도 않았다.

 

 

건륭 31년 7월 14일 건륭제가 여러 비빈, 황자, 황손, 그리고 왕공 대신 등을 거느리고 승덕(承德) 목란위장(木蘭圍場)에서 노루와 사슴을 쫓으며 사냥을 즐기고 있을 때 우라나라 황후는 처참하게 차가운 심궁에서 병사했다. 쉰 살이 되지 않은 인생을 마감한 것이다.

 

황후가 병사했다는 부음이 승덕에 전해졌을 때 한창 흥이 오른 만세야는 어떤 애통함도 나타내지 않았다. 그냥 사냥을 계속 즐겼다. 도성으로 돌아가 황후의 장례를 준비하지도 않았다. 그저 황후가 낳은 황자를 도성으로 보내 후사를 처리하도록 했을 뿐이었다. 황후에 대해 한 치의 감정도 남아 있지 않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것뿐만 아니다. 그는 황귀비의 예로 안장하도록 하고 단독의 지하궁전을 마련하지 못하도록 했다. 그녀의 관은 순혜(純惠)황귀비 소가(蘇佳) 씨의 무덤에 같이 안장하고 비석도 세우지 않았다. 매년 기일 때나 청명, 중원, 동지, 세모 등 중대한 제삿날에도 제사를 지내지 않았다. 종묘에 배향하지 못한 것은 당연했다.

 

사람들은 ‘초방(椒房)의 지존’ 황후를 안장하고 왜 제사를 간략하게 했는가를 묻는다. 어째서 죽은 후 황귀비의 예로 안장해야만 했는가? 효현황후와 비교하면 너무 차이가 나는데 어떻게 조야의 여론이 조용했는가? 그리고 황후의 장례를 간략히 해서는 안 된다고 간언한 관원들은 목숨을 잃었는가? 어쩌면 여기에 대한 답은 건륭제의 은밀한 사생활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그래서 비밀로 하고 누설시키지 않았다.

 

건륭의 일생을 종관하면 그의 주변에 여인들이 적지 않았지만 그의 가정생활은 결코 행복하지 못했다. 30여 세 때 그와 마음이 통했던 효현황후가 죽고 그녀가 낳은 아들이 요절했으니 그가 받은 충격은 미루어 알 수 있다. 상처하고 아들을 잃은 중년 남자의 인생은 불행 그 자체다. 효현황후를 떠나보내고 난 후 건륭에게 다시는 사랑하는 연인이 나타나지 않았다. 조화롭고 원만한 생활을 새로이 시작할 수 없었다.

 

진실한 사랑을 할 수 없다는 절망감은 그를 물욕에 탐닉하게 만들었다. 그때부터 건륭제의 생활 방식에 커다란 변화가 생긴다.

 

그러한 변화는 당시 깊은 궁궐 속 다른 여인 우라나라 황후에게 감내할 수 없는 고통을 안겨줬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삭발하는 경천동지의 행동을 감행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당시 정치 풍조를 전환시켜 관료들이 잇달아 황제를 따라하게 됐다.

 

극도로 사치하고 탐욕스럽게 됐으며 부정부패를 자행하게 되면서 중국 역사상 강대했던 대청제국을 서서히 쇠퇴의 길로 접어들게 만들었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이권홍은?
=제주 출생.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나와 대만 국립정치대학교 중문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현대문학 전공으로 『선총원(沈從文) 소설연구』와 『자연의 아들(선총원 자서전)』,『한자풀이』,『제주관광 중국어회화』 등 다수의 저서·논문을 냈다.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중국어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