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3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특별상은 베트남 인권운동가 응우옌 티탄(하미마을), 응우옌 티탄(퐁니마을)

 

제주4・3평화상위원회는 제3회 제주4.3평화상 수상자로 소설가 현기영(78) 선생을 선정했다.

 

특별상은 베트남 인권운동가 응우옌 티탄(하미마을, 62), 응우옌 티탄(퐁니-퐁넛마을, 59) 동명이인을 공동수상자로 지난 9일 선정하고 수상 승낙을 받아 최종 수상자로 확정했다.

 

4․3평화상 수상자인 현기영은 제주출신으로 민중의 삶을 억누르는 야만의 역사를 글로 드러내어 그 상처를 보듬는 작가이자 평화로운 공동체 회복을 위해 실천하는 지식인이다.

 

그는 4.3에 대해 30여년간 망각과 침묵을 강요당하던 시절, 문학적 양심으로 북촌리 대학살을 다룬 작품 <순이삼촌>을 1978년 '창작과 비평'에 발표하면서 4.3을 시대의 한복판으로 끌어올렸다.

 

이 작품은 국가폭력의 실상을 폭로하고, 진상규명의 필요성, 그리고 치유와 추모의 당위성을 널리 확산시키는 디딤돌이 됐다.

 

이를 계기로 대학가와 지식인들에게 4.3에 대한 관심을 촉발시키고, 문화계 전반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작가는 4.3을 소재로 소설을 썼다는 이유로 1979년 군 정보기관에 연행돼 심한 고초를 겪었고 소설 <순이삼촌>은 14년간 금서가 됐다.

 

그는 이외에도 근현대사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들을 창작해 한국 문학계의 거목으로 칭송을 받았다. 하지만 또 하나의 4.3소재의 장편소설인 자전적 성장소설 <지상에 숟가락 하나>(1999)가 국방부의 불온도서로 선정되는 등 시련을 겪었다.

 

현기영은 권위주의시대 인간의 억압과 통제를 극복하고, 자유와 자율 그리고 평화의 시대를 선도하는 평화운동가로도 활약했다.

 

그는 특히 4.3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에 앞장섰다. '제주4.3연구소' 초대소장, '제주사회문제협의회' 회장 등은 그의 삶의 궤적을 명료하게 보여준다고 하겠다. 이외에도 4.3의 각 시기별로 추진됐던 50주년, 60주년,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대표를 맡아 4.3진상규명운동의 연장선에서 끊임없는 활동상을 보여줬다.

 

현기영은 온 생애를 바쳐 끊임없이 4.3의 해결을 위해 노력했다. 인권과 평화를 가로막는 온갖 불의하고 부당한 움직임에 저항하는 실천적 지식인의 표상으로 자리 잡았다.

 

제주4.3평화상 특별상 수상자인 응우옌 티탄(Nguyen Thi Thanh, 하미마을)과 응우옌 티탄(Nguyen Thi Thanh, 퐁니-퐁넛마을)은 1968년 베트남 민간인 학살 당시 각각 11살과 8살의 몸으로 학살의 현장에서 가족들을 잃고, 자신들은 온 몸에 총상을 입고 살아남은 여성 후유장애 생존자들이다.

 

두 응우옌 티탄은 2018년 4월 22일 한국에서 열린 베트남전쟁 시기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학살 진상규명을 위한 시민평화법정에 원고로 참석해 하미마을과 퐁니-퐁넛학살을 증언, 최초로 원고 승소 판결, 국제사회의 큰 주목을 받았다.

 

학살 피해자로 살아오면서 수많은 한국 사람들 앞에 증언자로 나섰던 이들은 승소 이후 단순한 피해자에서 벗어나 평화인권 운동가로 나서면서 국제사회에 큰 영감과 울림을 주고 있다.

 

응우옌 티탄(하미마을, 62)은 1968년 1월 24일 베트남전 당시 한국군에 의해 135명이 희생당한 것으로 조사된 꽝남성 디엔반시 하미학살 생존자다. 당시 어머니, 남동생, 숙모, 사촌동생 둘을 잃고, 11살이었던 탄은 수류탄에 왼쪽 귀의 청력을 상실, 왼쪽 다리와 허리에 수류탄 파편이 박히는 부상을 입었다.

 

또 다른 응우옌 티탄(퐁니-퐁넛마을, 59)은 1968년 2월 12일 74명이 희생됐던 꽝남성 디엔반시 퐁니·퐁넛학살 생존자다. 당시 어머니, 언니, 남동생, 이모, 이종사촌동생 등 모두 다섯 명의 가족을 잃었다. 8살이었던 탄은 왼쪽 옆구리에 총상을 입었다.

 

이들은 오랜 시간 자신들이 겪은 고통과 상처가 반복되지 않길 바라는 마음으로 시민평화법정 승소 판결 이후 제주를 방문, 4.3 여성 생존자들과 함께 증언의 자리에 서서 4.3과 연대, 서로 위로했다. 4.3평화공원에서는 참혹했던 전쟁의 고통과 진실에 공감하기도 했다. 

 

이들의 활동은 그동안 목소리를 내지 못했던 베트남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크게 내는데 동력을 만들어내고 있다. 단순한 피해자의 입장에서 벗어나 국가가 청산하지 못한 불행한 역사에 대해서 공식 사과해야 하며, 다시는 전쟁의 고통이 없기를 바라는 메시지를 함의하고 있다.

 

베트남 두 여성의 특별상 수상의 의미는 전쟁의 가장 큰 약자였고, 피해자였던 베트남 여성들이 용감하게 진실의 법정에 섰다는 것이다. 이후 피해자에서 평화운동가로의 변신은 과거 잘못된 역사에 대해서는 바로 잡아야한다는 대한민국이 지향하는 역사 인식과 상통한다는 데 있다.

 

또 한국의 시민들이 베트남의 아픔을 아래로부터 인정하고 사과함으로서 베트남 전쟁 피해자들에게 위로와 용기를 주는 세계사적 의미로 남게 될 것이다.

 

제주4.3평화재단은 다음달 1일 오후 6시 제주KAL호텔 그랜드 볼룸에서 제3회 제주4.3평화상 시상식을 연다. 

 

4.3평화상 수상자는 상패와 상금으로 미화 5만달러, 특별상 수상자는 상패와 상금으로 1만달러를 받는다. [제이누리=양은희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