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시 부문 변희수의 ‘맑고 흰죽’, 논픽션 부문 김여정의 ‘그해 여름’

 

제8회 제주4·3평화문학상 심사결과 시 부문에 변희수(58) 작가의 ‘맑고 흰죽’, 논픽션 부문에선 김여정(47)씨의 ‘그해 여름’이 선정됐다. 

 

소설 부문은 당선작을 선정하지 못했다.

 

시 부문 당선작 ‘맑고 흰죽’은 4.3 당시 토벌대의 총탄에 턱을 잃어버린 채 평생을 고통 속에 살아야 했던 진아영 할머니를 다루고 있다.

 

시 부문 심사위원들은 “‘죽’을 먹을 수밖에 없는 불편한 몸을 떠올리고, 그 불편함을 야기한 ‘죽고 죽이는’ 비극적 사건을 되새기면서, 고통스러운 기억을 쉽게 망각해서는 안된다는 인식하에, 주어진 삶을 힘겹게 가누어나가는 한 인간의 애잔한 안간힘을 그려내고 있다”며 “음식을 통해 쓰디 쓴 역사의 맛을 되새기는 절실함이 가슴을 울리게 한다”고 평가했다.

 

변희수 작가는 1963년 경남 밀양에서 태어나 2011년 영남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해 2013년 천강문학상을 수상한 바 있다. 시집 「아무것도 아닌, 모든」을 펴냈다. 현재 대구시교육청 창의융합교육원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지난 제7회 제주4.3평화문학상에서 신설된 논픽션 부문에선 올해 첫 수상자가 나왔다.

 

논픽션 당선작 ‘그해 여름’은 한국전쟁 당시 좌우익에 의한 민간인 집단학살부터 가난한 민중의 삶에 대한 증언을 다룬 작품이다. 주한미군사령부 바로 옆인 서울 용산구 보광동 빈민가에서 카페를 차린 필자가 동네 토박이 노인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내용을 전개한다.

 

논픽션 부문 심사위원들은 “어디에도 보기 힘든 새로운 이야기를 채록했다는 점에서 참신했다”며 “취재원들의 생각과 감정을 함부로 추측하거나 상상하지 않고 본인들의 말을 통해 표현하는 논픽션의 기본원칙을 잘 지켰다는 점에서 당선작으로 추천했다”고 평가했다.

 

김여정씨는 영국에서 대학 졸업 후 국제인권단체 및 NGO활동가로 활동하다 용산에서 다문화 공동체 자립을 지원하고 있다. 실제 보광동에서 카페를 운영하던 중 한국전쟁을 경험한 할머니들을 손님으로 만나게 돼 증언을 채록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제8회에서도 소설 부문 당선작은 나오지 않았다.

 

소설 부문 심사위원들은 “소설의 미학은 언어와 서사, 예술성의 조화에 있다. 언어를 바탕으로 인물, 사건, 배경, 복선 등 구조적 장치가 서로에게 유기적으로 스며들 때 소설이라는 생명체가 비로소 숨을 쉰다”며 “우리는 이 생명체의 역동적인 숨소리를 듣고 싶었으나 아쉽게도 그런 기회를 얻지 못했다. 당선작을 내지 못하는 애석함이 유달리 컸던 것은 4·3평화문학상이 지닌 무게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시상식은 다음달 중 열릴 예정이다. 상금은 소설 5000만원, 시 2000만원, 논픽션 2000만원으로 모두 9000만원이다.

 

제주4·3평화문학상은 제주도가 2012년 3월 제정했다. 2015년부터는 제주4.3평화재단이 업무를 주관하고 있다.

 

제주4.3평화재단은 ‘4·3의 진실과 4·3진상규명 및 화해 과정에서 발현된 평화·인권·민주정신’을 주제로 시.소설.논픽션 세 장르에 대해 지난해 5월 13일부터 12월 13일까지 전국 공모를 진행했다.

 

공모 결과 국내.외에서 220명이 응모했다. 모두 1204편(시 1082편 102명, 소설 112편 108명, 논픽션 10편 10명)이 접수됐다. [제이누리=양은희 기자]

 

<맑고 흰죽*>      - 변희수

불편해지면 죽을 
끓입니다

식사라고 하기엔 좀 그렇지만 
가볍게 훌훌 넘기고 싶다는 말
어제의 파도는 우물우물 삼켜도 된다는 그 말 

그게 잘 안 돼요
부드럽게라는 말이 목에 걸려요

당분간 절식이나 금식
이상적인 처방이라는 건 알아요 미련이 생겨서
나는 죽을 먹습니다

맑고 흰죽을

한 숟가락 또 한 숟가락
돌아서서 코를 풀었죠
조금 묽어졌다는 뜻이지만
눈물은 짜니까
빨간 눈으론 돌아다닐 수 없으니까
그런 날은 손바닥마다 노란 가시선인장꽃
울지 않은 척 했어요
얹혔을 거라고 수군거릴 때마다
이 고비는 무사히 넘길 수 있을까 
생각에 걸려

어제도 오늘도 삼키죠 백번도 더 생각하죠
죽이고 죽이다 보면 또 다시 죽

이렇게 맑고 흰죽
목이 메여요 달랑 죽 한 그릇인데
눈이 부셔요

새로 태어난 것처럼
몸속을 돌아다니는 물기가
어제의 죽이라 하겠지만
밤마다 복닥복닥 탕! 탕! 
죽 끓이는 시간이 또 다시 찾아오고 

죽은 조금만 쑤어도 넘치게 한 솥이에요
후회도 한 솥 미움도 한 솥이어서
나는 먹고 또 먹을 테죠
다행이다 싶지만

맑고 흰,
무명의 시간들 

좀 서운해요 돌아서면 고프고
어떻게든 달래고 싶은데
받는 게 이것 밖에 없는 이 속이 
내 속이 그렇다는 거죠 지금

*4.3 사건 피해자인 진아영 할머니는 턱과 이가 없어 평생 소화불량으로 인한 위장병과 영양실조를 달고 살았다.

 

<그해 여름 - 김여정> ☞ 논픽션 부문 당선작 보기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