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등 비평준화 지역 고입 선발고사를 2022년까지 폐지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또한 고등학교 한 학급 학생 수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준인 24명으로 줄이고, 학교 시험도 객관식 지필평가 대신 수행평가를 늘리는 방향으로 바뀐다.
교육부는 25일 시·도 부교육감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고교 맞춤형 교육 활성화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자기주도 학습과 학생 참여 수업이 중시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2018학년도부터 적용되고, 중학교 자유학기제에서 진로·적성 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이 고교에 진학하는 점을 고려해 마련됐다.
또한 학령인구 감소에 대비하고 중학교 자유학기제와 연계해 협력·토론형 수업이 확산할 수 있도록 교육부는 2022년까지 고교 학급당 학생 수를 24명으로 줄이기로 했다. 교사 1인당 학생 수 역시 같은 기간 16.6명에서 13.3명으로 개선할 방침이다.
수업 변화에 맞춰 학교 시험도 객관식 지필평가 대신 수행평가를 늘리는 방향으로 바꾸고, 일부 비평준화 지역에 남아 있는 고입 선발고사는 폐지를 유도한다.
직업계 고교생 비중은 현재 19% 수준에서 2022년까지 30%로 늘릴 계획이다.
현재 제주를 비롯해 경북·충남·울산· 등 5개 비평준화 지역에서 시행되는 고입 선발고사를 점진적으로 폐지할 방침이다.
비평준화 지역 일반고와 자율형 공립고는 희망 학교 중심으로 자기주도 학습전형을 확대하고, 특성화고 선발도 소질·적성 중심으로 전환해 취업 희망자 특별전형을 늘릴 계획이다.
협력·토론형, 학생 참여형 수업에 맞춰 학교 시험도 객관식 지필평가 비중을 줄이고 과정평가(수행평가)를 늘리는 방향으로 유도할 방침이다.
또한 ‘진로교육 집중학기제’ 운영을 올해 37곳에서 2018년 100곳으로 늘리고, 직업계고(특성화고, 마이스터고) 학생 비중은 2022년까지 30%로, 취업률은 65%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한편 교교 평준화는 1974년 서울과 부산을 시작으로 제주시 동(洞)지역은 1979년 전환됐다.
현재 도내 30개 고등학교 중 제주시 동지역 평준화고 8개 학교를 제외하고 나머지 22개 학교는 학교장이 신입생 선발 방법 등을 포함해 입학전형에 관한 사항을 결정하고 있다.
그러나 고교 입학전형 기본계획 수립은 교육감에게 권한이 있다.
초중등교육법은 고교 평준화를 시행하려면 교육감이 △학교군 설정 △학생배정 방법 △학교 간 교육격차 해소 계획 △비 선호학교 해소 계획 등 다양화·특성화 계획에 대한 타당성 조사와 해당 지역 학생과 학부모 대상 여론조사 실시 후 조례로 대상 지역을 정하도록 돼 있다. [제이누리=김리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