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양성평등위원회가 27일 출범했다.
양성평등위원회는 도의 주요한 양성평등 정책을 심의·조정하게 된다. 이를 통해 기존 여성 발전 정책 '틀'을 양성평등 정책으로 전환하게 된다.
위원회는 양성평등 정책의 연도별 시행계획, 양성평등 정책 관련 사업 조정 등 협력에 관한 사항, 양성평등 정책 모니터링, 평가 및 제도 개선 등 양성평등 정책 추진에 관한 모든 기능을 맡게 된다
워원회는 성(性)인지 전문가, 학계, 여성학자, 보육·가족계 등 분야별 전문가 등 34명으로 구성됐다.
조한혜정 전 연세대 교수, 오한숙희씨 등 여성학자와 권김현영 성공회대 외래교수, 심화정 여성긴급전화 1366제주센터 소장 등 성인지 전문가가 포함됐다.
또한 김영순 제주여민회 공동대표, 고양순 제주도 여성단체협의회장 등 여성단체장을 비롯해 차성란 대전대 교수, 김양순 제주아동심리상담센터소장 등 아동가족 분야 전문가도 참여했다.
위원회는 성 주류화(性 主流化, 공공정책에 양성에 관련된 함의 반영)와 정책 개발 등 2개 분과위원회로 나눠 운영된다.
양성평등위원회는 지난해 7월 여성발전기본법이 양성평등기본법으로 전부 개정됨에 따라 조례를 전부 개정해 새로 꾸리게 됐다.
원희룡 지사는 위원 위촉식에서 “제주도의 여성정책 패러다임이 ‘여성 발전’에서 ‘실질적 양성평등 실현’으로 전환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양성평등정책 추진 및 실현에 책임성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제이누리=김리나 기자]
▲제주도 양성평등위원회 위원 명단.<제주도 제공>
구분
| 분야
| 성 명
| 성별
| 현직위
| 비고
|
당연직
|
| 원 희 룡
| 남
| 도지사
(위원장)
|
|
위
촉
직
| 도 의 회
| 현 정 화
| 여
|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보건복지안전위원회 위원장
|
|
이 선 화
| 여
|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회운영위원회 위원장
|
| ||
여성학자
| 조한혜정
| 여
| 서울시 대청마루위원회 위원장
|
| |
오한숙희
| 여
| 여성학자 및 방송인
|
| ||
성인지
인권
| 권김현영
| 여
| 성공회대학교 외래교수
|
| |
심 화 정
| 여
| 여성긴급전화1366제주센터 소장
|
| ||
학 계
| 은 수 용
| 여
|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
| |
최 현
| 남
|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 ||
여성단체
| 고 양 순
| 여
| 제주특별자치도 여성단체협의회 회장
|
| |
김 영 순
| 여
| 제주여민회 공동대표
|
| ||
시민사회
| 김 민 선
| 여
| 제주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
| |
김 동 윤
| 남
|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회제주지회 부이사장
|
| ||
이동가족
| 차 성 란
| 여
| 대전대학교
|
| |
김 양 순
| 여
| 제주아동심리상담센터 소장
|
| ||
유 흥 옥
| 여
| 제주국제대학교
|
| ||
일자리
| 강 순 원
| 남
| 제주사회적경제네트워크 대표
|
| |
법조계
| 한 삼 인
| 남
| 前 제주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교수
|
| |
토목․건축
| 고 경 임
| 여
| (주)종합건축사사무소 선건축 대표
|
| |
문 화
| 박 진 희
| 여
| 숨 조형물 연구소 대표
|
| |
정책수요자
| 김이승현
| 여
| 제주밖거리 대표
|
| |
당
연
직
| 공무원
| 김 정 학
| 남
| 기획조정실장
|
|
박 재 철
| 남
| 안전관리실장
|
| ||
임 성 수
| 남
| 공항확충지원본부장
|
| ||
박 홍 배
| 남
| 특별자치행정국장
|
| ||
이 중 환
| 남
| 문화관광스포츠국장
|
| ||
김 영 진
| 남
| 국제자유도시건설교통국장
|
| ||
이 은 희
| 여
| 보건복지여성국장
|
| ||
김 양 보
| 남
| 환경보전국장
|
| ||
문 원 일
| 남
| 경제산업국장
|
| ||
강 승 수
| 남
| 농축산식품국장
|
| ||
현 공 호
| 남
| 해양수산국장
|
| ||
남 화 영
| 남
| 소방안전본부장
|
| ||
양 기 철
| 남
| 국제통상국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