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회의장이 28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4·3 평화공원 한켠에 마련된 행방불명 희생자 묘지를 둘러보고 있다.[뉴시스]](/data/photos/201803/35811_48279_2747.jpg)
정세균 국회의장이 ‘제주4·3 사건 진상 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의 통과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했다.
정세균 의장은 제70주기 4·3추념식을 엿새 앞둔 28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제주 4·3 평화공원을 찾아 이같이 밝혔다.
정 의장은 취재진과의 질의응답에서 “70주년 4·3이 헛되이 지나가지 않도록 국회가 제주도민의 뜻을 받드는 노력을 열심히 할 수 있도록 의장으로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4·3특별법 개정안이 제안된 지 시간이 꽤 흘렀으나 그간 여러 정당이 법안을 심의하는 데 소홀했던 점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이번 주에 4·3특별법 개정안이 법안 소위에서 심사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 여세를 몰아서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충분히 논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4·3 희생자 명예회복 등을 비롯해 배·보상에 필요한 사업들이 올해는 국가 예산이 어느 정도 확보돼 새롭게 일이 진척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4·3 추념일의 제주 지방공휴일 지정과 관련해선 “헌법이 개정되고 지방분권이 좀 더 활발해지면 조례 제정권이나 자율권이 신장되겠지만 현행 헌법 하에선 그런 부분에 논란이 있을 소지가 있다고 본다”며 “순리적으로 진행돼야 하니까 중앙정부와 협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세균 국회의장이 28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4·3 평화공원을 방문해 4·3 희생자 영령을 위해 분향하고 있다 [뉴시스]](/data/photos/201803/35811_48278_5745.jpg)
문재인 대통령이 최근 발표한 개헌안에 제주가 특별자치도의 헌법적 지위 확보에 실패한 점에 대해선 "헌법은 경성(硬性)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한 번 개정해놓으면 다시 개정하기엔 쉽지 않다”며 “제주특별자치도의 지위와 그 역할에 관한 내용은 법률로 정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는 것이 저의 개인적인 생각”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정세균 의장은 이날 오후 서귀포고등학교로 이동해 이석문 제주도교육감, 위성곤 국회의원, 정성중 서귀포고 교장 등과 간담회를 갖고 제주도내 국립 해사고 설립 등 제주교육 현안을 비롯해 오는 2019년 4·3 추념식 참석 여부 등을 논의한다.
이어 한 시간가량 서귀포고등학교 체육관에서 1·2학년 학생 500여명을 대상으로 ‘대한민국 국회의 구성과 역할’이란 주제로 특강을 하고, 학생들과 기념촬영 후 제주도를 떠난다. [제이누리=최필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