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의 명칭을 둘러싸고 누리꾼과 전문가들 사이에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는 3일 이번 사고를 공식적으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로 명명하고 희생자를 애도하는 배너를 국토교통부와 한국공항공사 등 관계기관의 누리집에 게시했다고 밝혔다. 광주시와 전남도 등 지자체도 같은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이 명칭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관행에 따라 정해졌다. ICAO는 여객기 사고 명칭에 항공사와 항공편을 사용하는 방식을 권장하고 있다. 이번 참사도 '제주항공 2216편 사고'로 불리는 것이 원칙이라는 설명이다.
2002년 김해공항 인근 돗대산에서 발생한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사고' 역시 ICAO의 관행에 따라 항공사와 항공편명을 명칭에 포함한 바 있다.
그러나 일부 유튜버와 누리꾼은 이번 사고를 '무안공항 참사'로 불러야 한다고 주장하며 논란을 키우고 있다. 이들은 공항의 구조적 문제와 로컬라이저 설치 방식 등을 사고 원인으로 지적하며 명칭에 공항명을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항공운항 전문가들은 사고 원인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상황에서 특정 명칭을 고집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고승희 신라대 항공운항학과 교수는 "정확한 사고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현재 상황에서 논란을 만드는 것은 의미가 없다"며 "명칭은 원칙에 따라 '제주항공 2216편 사고'로 부르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다.
반면 김건한 민간조종사협회 법률위원장은 "기체가 활주로를 넘어 로컬라이저 콘크리트 구조물과 충돌한 이후 다수의 인명 피해가 발생한 점을 고려하면 '무안공항 사고'라는 명칭도 충분히 검토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전문가들은 정확한 사고 원인과 책임 소재가 규명된 후 명칭을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현재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은 사고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조사를 진행 중이다.
한편,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지역감정을 자극하거나 희생자와 유가족의 상처를 고려하지 않은 발언이 문제가 되고 있어 이를 자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