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년 넘게 찬반 논란이 이어져 온 한라산 케이블카 설치 문제가 다시 공론화될 전망이다. 제주도의회가 올해 상반기 중 도민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공식적인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한라산 구상나무다. [제주도 세계유산본부 제공]](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312/art_17422613383417_2208bf.jpg)
60년 넘게 찬반 논란이 이어져 온 한라산 케이블카 설치 문제가 다시 공론화될 전망이다. 제주도의회가 올해 상반기 중 도민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공식적인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18일 제주도의회에 따르면 '한라산 케이블카 설치에 대한 도민 인식조사'가 올해 상반기 중 진행될 예정이다. 조사 예산은 1500만원으로 다음 달 중 용역 대행기관을 선정한 뒤 5~6월 사이 조사를 마무리하는 것이 목표다.
도의회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토론회를 열어 케이블카 설치 여부에 대한 도민 의견을 수렴할 방침이다.
도의회 관계자는 "현재 조사 방식과 설문 문항 등을 논의하는 단계"라며 "이번 조사를 통해 도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듣고, 조사 결과에 따라 공론화 방향이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라산 케이블카 설치 논의는 1960년대부터 제주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제기돼 왔으나 환경 훼손 및 경관 파괴 우려, 도민 의견 대립 등으로 번번이 무산됐다.
2005년에는 환경부 지침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논의가 중단됐다. 2010년에도 도민 사회에서 '부적절하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하지만 최근 한라산 탐방객 증가와 특정 탐방로 집중 현상이 심화되면서 탐방객 분산을 위한 대안으로 케이블카 설치가 다시 거론되고 있다.
도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재지정 문제와 도심항공교통(UAM) 도입 등을 이유로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오영훈 제주지사는 지난해 도의회 도정질문에서 "세계자연유산 지역에서 개발사업이 추진될 경우 세계유산위원회에 보고해야 하며 이는 유네스코 재지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반면 관광업계를 비롯한 찬성 측에서는 노인과 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제주 관광 활성화 차원에서 케이블카 설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탐방객 집중 문제 해결을 위해 일부 탐방로를 대체할 수 있다는 점도 찬성 측 논리로 거론된다.
지난달 12일 열린 '서귀포시 크루즈 관광 활성화를 위한 민·관 합동 워크숍'에서는 크루즈 관광객 유입을 위한 방안으로 한라산 케이블카 설치가 언급되기도 했다.
당시 참석자들은 크루즈 관광객들의 제주 체류 시간이 짧다는 점을 고려해 한라산 케이블카와 같은 이동 편의 시설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승하차 장소를 다양화하고 관광지와 연계된 노선을 개발해 관광객 분산을 유도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제주도내 관광업계 관계자는 "케이블카가 설치되면 한라산 접근성이 높아져 크루즈 관광객 유입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크루즈와 연계한 관광 상품 개발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의회가 추진하는 이번 도민 인식조사는 한라산 케이블카 설치 논의를 다시 본격화하는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 찬반 양측의 의견이 팽팽한 만큼, 조사 결과에 따라 논쟁이 더욱 가열될 가능성도 크다.
익명을 요구한 도의회 관계자는 "구체적인 계획은 없지만 도의회 일부 의원들 사이에서 일정 부분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며 "설치에 대한 도민 공감대 형성 방안 등을 마련 중이며 인식조사를 거친 후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고종석 제주도 세계유산본부장은 이와 관련해 "관련 지침이 개정돼 설치가 가능해졌지만 오랫동안 도민사회에서 찬반 논란이 이어져 온 만큼 논의가 재개되려면 도민 공감대 형성이 우선되어야 한다"며 "현재로서는 도 차원에서 검토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