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지역 학교들의 전기요금 부담이 최근 4년 사이 전국에서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415/art_17440706501472_0ff482.jpg)
제주 지역 학교들의 전기요금 부담이 최근 4년 사이 전국에서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AI) 디지털 교과서 도입과 냉·난방기 사용 증가로 전기 사용량이 높아지면서 학교 재정에 대한 압박이 심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8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백승아 더불어민주당 의원(비례대표)이 교육부와 한국전력공사로부터 제출받은 '2020∼2024회계연도 학교 전기요금 부담 증감 현황'에 따르면 제주지역 유치원·초·중·고·특수학교의 지난해 전기요금은 10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0년 56억원보다 85.4% 증가한 수치다.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같은 기간 전국 평균 상승률은 71.9%였다. 뒤를 이어 광주(83.6%), 세종(81.3%), 경기(79.3%) 순으로 나타났다. 제주의 경우 2021년부터 2023년 사이 63억원에서 97억원으로 53.9% 급등해 급격한 상승세를 보였다.
학교 운영비보다 전기요금 비중도 늘고 있다. 전국 기준으로 2020년 3.68%에서 2024년 4.12%로 확대됐다. 에너지 가격 인상뿐만 아니라 AI 기반 디지털 교과서 활용 확산, 폭염·한파 대비 냉난방기 가동 증가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이에 따라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는 지난달 27일 충남 보령에서 열린 총회에서 교육용 전기요금을 농업용 수준으로 인하해 달라는 내용의 건의안을 채택했다.
협의회는 "전기요금 인상으로 인해 냉난방 운영 축소가 불가피해지며 이는 학생들의 학습 환경과 건강권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제주지역 교육계 관계자는 "제주에서도 점점 늘어나는 에너지 비용이 교육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어 실질적인 지원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고 진단했다.
백승아 의원은 "전기요금 인상과 AI 교육 확대 등으로 전력 사용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학교 현장의 부담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며 "정부는 교육의 공공성과 특수성을 반영해 교육용 전기요금을 농사용 수준으로 조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
![백승아 더불어민주당 의원(비례대표)이 교육부와 한국전력공사로부터 제출받은 '2020∼2024회계연도 학교 전기요금 부담 증감 현황'이다. [백승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제공]](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415/art_17440706505607_2aed6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