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기간이 짧아지고 가성비가 중시되면서 제주와 강원이 국내여행지에서 점차 외면받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신 수도권과 대전 등 가까운 여행지가 부상하고, 여행 목적도 '휴식'에서 '식도락·지인 만남'으로 변화했다. 제주 애월해안도로의 전경이다. [비짓제주]](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522/art_17483269061557_95d8b2.png)
여행기간이 짧아지고 가성비가 중시되면서 제주와 강원이 국내여행지에서 점차 외면받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신 수도권과 대전 등 가까운 여행지가 부상하고, 여행 목적도 '휴식'에서 '식도락·지인 만남'으로 변화했다.
여행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는 27일 '주례 여행 행태 및 계획 조사(매주 500명, 연간 2만6000명)'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고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올해 1~4월 기준 '1박 2일' 여행 비중은 52%로 2017년 조사 이후 처음으로 절반을 넘었다. '2박 3일' 이상 여행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가까운 거리와 효율적 체류가 가능한 지역이 주목받았다. 수도권은 서울·경기·인천 모두 소폭 상승했고, 대전은 1%p 가까이 오르며 새로운 여행지로 급부상했다. 대전은 레트로 거리, MZ세대 맞춤형 핫플, 프로야구 문화 등으로 '볼 게 없다'는 기존 인식을 뒤집었다.
반면 제주(-2.0%p)와 강원(-1.4%p)은 점유율이 감소했다. 항공료·숙박비·렌터카 등 고비용 구조가 여전히 유지되며 '멀고 비싼' 이미지가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컨슈머인사이트 조사 관계자는 "제주는 자연환경만으로는 선택받지 못하는 시대"라며 "콘텐츠·비용·체류밀도 등 구조 전반의 재설계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여행 목적도 변했다. 여행 중 '식도락' 활동은 코로나 전보다 14% 늘었고, '친지·지인 만남'은 8% 증가했다. 반면 '자연 감상'은 8% 줄었고 '휴식' 목적은 큰 변동이 없었다.
여행객들은 '멀리 가서 쉬자'가 아니라 '가까이서 먹고 즐기자'를 선택하는 흐름으로 바뀌고 있다.
제주관광협회 관계자는 "제주 등 전통적 여행지가 다시 선택받으려면 '자연이 좋으니까'라는 단순한 감성 중심 마케팅을 넘어 1박 2일처럼 짧은 여행에 맞춘 몰입형 콘텐츠 개발, 항공·숙박비의 탄력 요금제 도입, 체험·교류형 프로그램의 적극적 확산 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