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감사위원회가 제주시 종량제 봉투 판매대금 횡령 사건과 관련해 다음 달 한 달간 전 부서 특별점검에 나선다. 제주시 쓰레기 종량제봉투다. [연합뉴스] ](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835/art_17562747039034_b295a8.jpg?iqs=0.32577685506820164)
제주도감사위원회가 종량제 봉투 판매대금 횡령 사건과 관련해 다음 달 한 달간 제주시 전 부서 특별점검에 나선다. 수년간 이어진 억대 횡령 정황이 드러난 만큼 현금 취급 업무 전반에 대한 내부 통제 강화를 예고했다.
감사위는 다음 달 1일부터 30일까지 제주시 생활환경과를 대상으로 종량제 봉투 판매대금 운영·관리 실태를 집중 점검한다고 27일 밝혔다. 동시에 제주시 전 부서의 세외수입 현금 취급 업무 절차와 시스템 운영 실태를 전수 조사할 계획이다.
예비 점검은 다음 달 1일부터 5일까지, 본 조사 기간은 다음 달 8일부터 30일까지 23일간 이뤄진다.
주요 점검 항목은 ▲봉투 판매 취소 내역과 세입 처리 적정성 ▲현금·카드·계좌 등 수납 방식의 구조적 문제 ▲회계 관계 직원 지정 여부 ▲장기근무자 업무 분장 및 순환보직 여부 ▲내부 통제 시스템 실효성 등이다.
감사위는 위법·부당 사항이 적발될 경우 관련 규정에 따라 엄중 조치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점검은 제주시 소속 공무직 직원 A씨가 수년간 봉투 판매대금을 빼돌린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으면서 시작됐다. 경찰은 2021년 이후 800만원 규모를 확인했으나 시 자체 조사에선 피해액이 6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
사건이 불거지자 김완근 제주시장은 지난달 29일 긴급 브리핑을 열고 "내부 통제의 허점을 사전에 점검하지 못한 행정 책임을 통감한다"며 공식 사과했다.
시는 현금 수납을 차단하는 선불 시스템 전환, 현금 취급 전수조사 정례화, 담당자 순환보직 의무화 등 제도 개선책을 마련 중이다.
감사위원회 관계자는 "이번 특별점검을 통해 현금 취급 분야의 구조적 문제를 바로잡고 투명한 재정 관리체계를 확립하겠다"며 "부정·비리를 사전에 차단해 도민 신뢰를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사건을 수사 중인 제주동부경찰서는 A씨가 근무하던 시기 종량제 봉투를 신청한 업체들을 상대로 조사를 이어가고 있다. 전산 기록과 시의 전수조사 결과 간 차이가 드러난 만큼 정확한 피해 규모를 규명하기 위한 절차로 풀이된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