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기초 원재료 중 하나는 철강이다. 공업의 '식량'으로 간주된다. 특히 중국의 철강산업은 그간 큰 성장세를 거듭했다. 글로벌 점유율도 높이고 영향력을 키운 바 있다. 2020년 중국 철강 생산량은 총 11억6000만 톤이다. 세계 철강 생산량의 57% 비중을 차지1)하고 있다. 한국의 강력한 경쟁자다.
철강산업은 ‘탄소중립(碳中和)' '탄소피크(碳达峰)'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질적·감량화 발전을 촉진해야 할 필요가 절박한 위기 산업이다. 치열한 산업경쟁 환경 속에서 지속성장의 엔진을 확보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현재의 무한 경쟁 체제 속에서 성장이 지속되어야 하고 그 성장 속에서 온실가스는 저감해야 하는 극한의 시장 환경을 극복해야 한다.
성장을 지속할 수 있는 신규시장 창출과 온실가스 저감이라는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해법이 '부유식해상풍력발전'이다. 울산 부유식해상풍력발전 9.2GW가 성공적으로 완공되면 약 404만8000Ton의 강재가 소화되고, 온실가스는 매년 1837만4976tCO2eq이 저감된다.
'부유식해상풍력발전'은 전력 판매 사업 분야와 발전을 위한 주요 기자재와 서비스를 창출해 납품하는 산업 분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사업 분야는 국민의 공공재를 생산한다는 측면에서 공공성의 의미가 클 수 있겠으나, 현재 산업적으로 시장 진입이 미숙한 상태에서 이 시장을 능동적으로 창출해야 주요 기자재와 서비스를 창출해 납품하는 산업 분야로의 자연적 낙수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때문에 시장이 성숙하기 전까지 모든 사업적 리스크와 투자의 부담을 공공성만으로 접근하는 것은 시장 진입에 녹록지 않다.
시장의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에는 큰 격차를 보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사업 초기 시장 형성을 위해서라도 국내·외 투자를 적극 유치해 사업성을 확보를 하고 리스크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실적을 확보하는 것이 사업적 측면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부유식해상풍력발전은 기존 산업과 중첩되지 않는 신규산업이므로 그에 따른 고용창출효과가 매우 크다. 상기 내용과 같이 '하와이 부유식해상풍력발전단지 개발에 따른 예상 일자리 창출'에 따르면 상시 고용은 425명/GW이며, 9.2GW에 약 3910명의 신규 고용창출이 기대된다.
부유식해상풍력발전은 고정식해상풍력발전과 다르게 10GW급으로 울산광역시가 시범/실증 사업을 주도할 수 있다. 강원도와 다르게 적절한 수심과 풍황을 지닌 제주도는 100~200GW급의 상업적 규모의 경제로 성장할 수 있는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유일한 해역을 관할하고 있다.
제주 관할 수역 11만4950㎢은 이론적으로 370GW의 부유식해상풍력발전 설치가 가능한 해상공간이다. 160GW 발전용량으로 500TWh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고, 7040만Ton의 강재 물량을 소화할 수 있으며, 약 6만8000여명의 직접고용이 가능하다.
또한 매년 1억9970만tCO2eq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데 이는 2018년 기준 철강산업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능가하는 양이다. 이렇게 생산된 전력을 본토로 손실 없이 송전하는 기술은 LS전선이 개발 성공한 초전도해저케이블로 가능하므로 초격차 기술 확보는 덤으로 확보할 수 있다.
제주공항을 기점으로 발전할 수밖에 없는 국내 항공업의 이유는 무엇보다도 지정학적인 이유 때문이다. 이러한 지정학적인 이유만으로도 제주는 재생에너지의 산업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모처럼의 기회를 맞고 있다. /장대현 한국철강협회 풍력분과위원
1) Source : 中, 철강제품 수출 환급세 폐지 조치와 산업 전망상하이무역관 방정 2021-09-03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410&CONTENTS_NO=1&bbsGbn=242&bbsSn=242&pNttSn=190313
☞장대현은? =현대그룹에 입사, (주)지엠비의 기술상무를 거쳐 (주)한라파워 대표를 지냈다. 2005년 아시아 첫 해상풍력발전단지를 표방했던 삼무 해상풍력발전단지 개발 초기 기술자문역이었다. 한신에너지(주)의 삼달풍력발전소장을 거쳐 현재 WPK(주)의 기술총괄 부사장, H-WIND의 기술부분 총괄본부장,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부유식 분과위원, 대한조선학회 VLFS위원회 위원, 한국철강협회 친환경에너지강재위원회 풍력분과위원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