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어머니 한라산이 숭고한 이름으로 남을 때까지 (1)

  • 등록 2025.02.06 10:30:55
크게보기

김유정의 '길 가는 그대의 물음' ... 제주문화이야기(34) 한라산이 제주도, 제주도가 바로 한라산

서양화가 오승익은 제주대 미술학과 강사로 한라산을 주제로 줄곧 작업하고 있다. 마음에 깊이 남은 트라우마를 한라산을 보면서 치유하는 심정으로 가족과 지역 공동체의 삶의 기억을 되새기며. 역사속의 사계절을 마음속에서 흐르는 시간의 흐름으로 인식하여, 마치 허물을 벗어버리고 새로운 속살로 시작하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그에게 한라산은 어머니이자 제주의 상징이 되었다.

 

2025년 1월 22일부터 2월 3일까지 서울 인사동에 있는 제주갤러리에서 개인전 '그 자리 한라산'을 열었다.

 

그곳이 내 마음이 사는 곳이다

 

우리는 평생 장소에 귀속돼 산다. 장소는 우리에게 이미 주어져 있는 활동공간을 말하기도 하지만 나 자신이 몸소 겪는 자리이기도 하다. 우리는 최소한 한 곳 이상에서 살면서 그곳의 경험을 몸으로 습득한다. 이것은 역사적 경험이라는 실존의 현실적 ‘겪음’을 의미한다. 내가 있음으로써 비로소 세계가 있는 것이다. 나는 곧 내 몸이라는 시간의 기억을 가지고 살아가는 현재다. 나의 현재는 나의 모든 과거의 기억과 공동체의 상황적 관계들, 사건, 경험, 그리고, 그것들의 기억을 쌓아놓은 의식 속의 지층과 같은 것이다. 그러므로 과거는 내몸의 현재를 이룬다. 그 현재는 미래에는 도달할 수 없을지라도 그 미래만은 가리킨다, 나는 존재하므로 현실에 살면서 생각한다.

 

자리(place)는 처소(處所)라는 의미의 곳, 장소를 가리키는 공간적 개념이다. 그러므로 자리는 어떤 대상이 차지하거나, 차지할 수 있는 표면에 있는 공간을 말한다. 또한 자리는 어떤 변화가 일어나거나 작용이 생기는 곳인 현재의 시간에 놓여있거나, 어떤 대상이 있었던 곳으로써 과거의 공간이기도 하다. 또 좁은 의미로써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곳이기도 하고, 그리고 지위를 나타내는 상징적인 위치이기도 하다. 그러나 여기에서 말하는 자리는 시공간을 감싸고 있는 특정한 장소를 지칭한다.

 

‘그’는 이미 알려진 대상을 가리키는 관형사이다. 그 자리란 꼭 집은 점을 말하는 ‘그곳’으로, 지리학적 특정한 장소를 말하는 것이다. ‘곳’은 공간의 어느 일정한 점이나 부분을 말하며, ‘그곳’은 그런 특정한 위치를 지명(指名)한 것이다. 여기서는 그곳은 한라산이다.

 

우리는 평생 많은 것을 가리켜왔다. 방향이란 상징적으로 목표를 나타내기도 한다. 한 사람이 가리키는 방향은 삶의 이유, 살아가는 지향점을 표현함으로써, 거기서 어떤 의미를 찾게 된다. 서양화가 오승익에게 그 자리는 한라산이었다. 하나의 상징인 한라산은 그에게는 인식의 대상이자 직간접적인 역사 경험의 장소가 된다. 한라산은 바다의 피라미드이다. 타원형의 섬 가운데 솟아난 삼각형의 피라미드가 마냥 제주인의 삶 속에서 건져 올린 사랑과 슬픔, 기쁨과 희망, 좌절과 절망마저도 그대로 쌓아 올려버린 섬 공동체의 산이다.

 

최초로 한라산이라고 한 사료는 1374년 최영이 탐라에서 목호를 토벌할 때 '여러 장수가 한라산(漢拏山) 아래에 주둔하면서 군사들을 쉬게 하였다(諸將屯漢拏山下休兵)'라는 『고려사』 「열전」 최영의 기록에서부터이다. 또 1388년 산방산에 살아서 산방법승(山房法僧)이라고 불렸던 혜일(慧日) 선사(禪師)의 시에 '한라산의 높이가 어느 만큼인가(漢拏高幾仍).'라는 시에도 나오고, 조선 초기 권근의 시에도 '푸르르고 푸른 한 점의 한라산(漢拏山)이, 만경창파 아득한 속에 멀리 있네.'라는 기록에서 보는 것처럼 한라산이라는 지명의 계보를 알 수 있다.

 

한라(漢拏)라는 말은 ‘은하수를 끌어당길 만한 산’을 말한다. 흔히 한라산을 진산(鎭山)이라고 하여 탐라의 수호신으로 여겼다. 한라산은 바다에서 솟아오른 화산이며, 곧 한라산이 제주도이고, 제주도가 바로 한라산이다. 

 

삶에서의 희망의 원리

 

세상은 형태이고 색으로 표현된다. 자연이 모든 미의 근원이었으며, 우리의 실체였다. 거기에서 우리는 단지 시간의 길을 헤쳐 나가는 한 점 나그네일 뿐이다. 우리는 그 자연에 내던져진 존재이다. 사회적 존재란 자연에서 살아가기 위해 무리를 지어야만 공포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무리 지음이 종국에는 또 다른 욕망의 공포를 만들어낸다. 그 공포에서 나오는 것이 무리 짓고 살아가는 자들의 오랜 역사였다.

 

역사는 개인과 개인, 개인과 집단, 집단과 집단의 정치적 행위에 대한 이데올로기를 만들어내는 관계일 것이다. 자유롭기는 개인처럼 자유로운 것이 없지만, 남과 여의 삶이 가족을 이루면서 살아감으로써 운명공동체가 만들어지고, 거기에 경제적 분배가 수반함으로써 이해관계는 복잡해진다. 부와 빈의 차이란 개인의 자유로운 욕망의 크기에서 비롯된 것이다. 결국 경제적인 표현으로써 최고의 단계가 전쟁이라는 이름의 약탈과 방어의 수단으로 나타나게 된다.

 

어쩌면 역사는 전쟁과 평화가 오가는 두 줄의 다리라고 할 수도 있다. 두 다리 사이에서 욕망하는 자들이 벌이는 탐욕과 그것을 인내하는 관계가 역사의 실체일 것이다. 이 두 다리에서 역사는 고민 끝에 개인으로 사는 것처럼 자유로운 삶을 꿈꾼 것이 오늘날 인류가 찾아낸 민주주의 체제일 것이다.

 

사회는 서로서로 인정하는 관계일 때에만 평화롭다. 인간은 이성적이며, 윤리적이며, 도덕을 판단할 수 있는 정신세계를 갖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선과 악에 대한 사회적 기준을 만들어내어 급진적인 상황들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인 법을 만들었다. 물론 법도 다양한 체제의 사회적 스펙트럼을 갖게 된다. 그러나 어떤 체제라도 그것의 목표는 잘 사는 것이며, 안전한 평화를 누리는 삶을 얻을 수 있을 때 그 체제의 존속성이 유지되고 희망의 원리로써 인정된다.

 

 

변화하는 자연의 몸, 화산의 마음

 

약 200만 년에 달하는 한라산의 몸체에도 여전히 자연은 오고 가기를 반복한다. 자연의 본질이 변화에 있지만 결코 무란 없다. 없는 것처럼 보이는 것도 다른 형체에 녹아있어서 그 녹아있는 것이 만물을 이루는 것이다. 만물이 자연의 실체이다. 자연에서는 모든 것이 동등하여 그대로 머무는 것이 단 하나도 없다. 길고 짧은 시간의 차이는 있으나 서로 교감하면서 자연히 이합집산(離合集散)이 일어난다. 물과 불, 흙이, 고체와 액체, 기체가 하나인 순환 체계이며, 보이는 것들과 보이지 않는 것들도 원소의 원자가 된다.

 

우리의 세계에서 빛으로 표현한 색에서 가장 오래된 색상은 RGB라는 3원색일 것이다. 우리가 사는 세상의 색은 Red(빨강), Green(초록), Blue(파랑)라는 3원색을 가산혼합한 색으로 구현된다. 이 3원색(RGB) 공간에서는 이 RGB색 모두가 0인 지점에서는 검은색이 되고, 반대로 RGB색 모두가 최대인 지점에선 흰색이 된다. 현재 RGB색은 0에서 255까지 256단계의 색가(color value:色價)로 표현된다. 그러므로 우리가 볼 수 있는 색상의 수는 RGB색에서 만들어진 1677만6216(R256xG256xB256)가지가 된다.

 

색은 빛의 작용으로 감지된다. 자연에서 보이는 만물의 색은 바로 우리 눈이 감지하는 스펙트럼에 의한 색들이다. 우리 눈은 파장이 400~700nm 영역인 가시광선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눈의 시각세포를 통해 들어온 색 정보를 뇌가 인식하기 때문이다. 우리 뇌가 구분할 수 있는 수만 가지의 색의 이름을 말할 수 없으므로 우리 눈이 가장 뚜렷하게 감지할 수 있는 대표적인 3원색만의 머리글자만을 따서 모든 색의 기준으로 삼은 것이다(한원택 2022).

 

그러나 색은 빛의 물리적 작용으로 차이를 나타낼 수 있지만 그보다 중요한 것은 색이 감정을 자극한다는 데 있다. 우리가 아는 색의 감정을 보면, 빨강은 뜨거움:정열, 녹색은 자연:상쾌함, 파랑은 차가움:냉정 등으로 상징화되었다. 물론 색은 국가나 지역마다, 혹은 관습과 풍속의 역사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고, 또는 지역 풍토에 따라 표현되기도 한다.

 

 

오승익인 경우 제주의 색은 역사와 자연이 함께 숨 쉬고 있는 색으로 인식한다. 붉은색을 보면, 4·3역사의 색으로 인식하거나 화산암재인 스코리아(scoria)와 그리고 갈옷의 색깔을 연상하며, 초록은 한라산의 자연과 밭의 작물을 떠올리며, 파랑은 4계절 변하는 푸른 바다와 산호사(珊瑚砂)의 비취색의 해안을 떠올린다. 흰색은 눈이 덮인 오름과 한라산을, 그리고 갈색에선 잠자는 대지의 평원을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색은 전적으로 개인의 취향과 그 취향을 형성시킨 사회적인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한마디로 색의 상징들은 사회적으로 형성된 심리적인 경향성에 따라 만들어졌으며, 특히 만물에 밴 색에 따라서 사실적으로 불리는 이름 아래 감정이입을 시킨 경우에서 비롯되기도 한다.

 

하늘색은 파란 하늘에서 비롯되고, 살색은 피부색을 말하며, 살구색, 복숭아색 등 자연물의 색깔을 따오기도 했다. 검정색은 사회적으로 권위와 위엄의 제복으로 상징되거나, 까마귀처럼 흉조라는 의미에서, 혹은 어둠이라는 암흑이 두려워 죽음의 색으로 상징화되어 애도의 색이 되기도 했다. 색은 본래의 의미가 있었던 것이 아니라 색과 연결되는 물질 속성의 색채와 사회적인 관념이나 이데올로기적 상징에서 불리기도 한다.

 

한라산을 지질적인 색으로 보면, 바탕에는 검은색과 적색, 변화된 갈색, 청색 등 돌이라고 하는 매재가 있으며, 기후 조건에 따라 그 위를 덮는 4계절의 변화무쌍한 생태 자연의 색과 더불어 날씨에 따라 달라지는 다양한 계절의 색이 있다. 그러나 화가 자신의 색은 자신의 환경적 조건에서 자기의 역사적인 경험과 성장 과정에서 받아들인 삶의 인상을 투사한 색의 감정으로 표현된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김유정은?

= 최남단 제주 모슬포 출생이다. 제주대 미술교육과를 나와 부산대에서 예술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술평론가(한국미술평론가협회), 제주문화연구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는 『제주의 무신도(2000)』, 『아름다운 제주 석상 동자석(2003)』, 『제주의 무덤(2007)』, 『제주 풍토와 무덤』, 『제주의 돌문화(2012)』, 『제주의 산담(2015)』, 『제주 돌담(2015)』. 『제주도 해양문화읽기(2017)』, 『제주도 동자석 연구(2020)』, 『제주도 산담연구(2021)』, 『제주도 풍토와 문화(2022)』, 『제주 돌담의 구조와 형태·미학(2022)』 등이 있다.



 

 

 

김유정 제주문화연구소장 jci6108@hanmail.net
< 저작권자 © 제이누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추천 반대
추천
6명
100%
반대
0명
0%

총 6명 참여


2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원노형5길 28(엘리시아아파트 상가빌딩 6층) | 전화 : 064)748-3883 | 팩스 : 064)748-3882 사업자등록번호 : 616-81-88659 |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제주 아-01032 | 등록년월일 : 2011.9.16 | ISSN : 2636-0071 제호 : 제이누리 2011년 11월2일 창간 | 발행/편집인 : 양성철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성철 본지는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Copyright ⓒ 2011 제이앤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jnuri@jnuri.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