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에도 바다에도 현무암 돌투성이 ... 대나무 낚시, 고망 낚시가 제격

  • 등록 2025.05.20 16:30:53
크게보기

김유정의 '길 가는 그대의 물음' ... 제주문화이야기(38) 원담, 과거 마을 공동체의 돌그물 ①

 

대나무 낚시가 적합한 제주바당

 

제주바다는 검은 현무암 돌투성이가 땅과 바다에 주를 이룬다. 화산섬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물은 쉽게 찢겨서 대나무 낚시가 발달했다. 조간대에서는 보이는 것도 돌이요, 보이지 않는 해저도 돌로 꽉 차있다. 그래서 해안에는 아무데나 배를 댈 수가 없다. 현무암 무더기 틈새로 작은 포구들이 마을과 인접해서 이루어져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제주바다는 암초와 암반이 발달해 있어서 소위 정착 생물의 서식환경이 좋은 편이다. 약 250여종의 해조류가 제주 연안을 중심으로 자라고 있다. 특히 해조류를 주먹이로 하는 오분자기, 전복, 소라, 조개 등 150여 종의 패류가 이와 관련하여 서식하고 있다.

 

제주해안은 겨울에도 수온이 따뜻하여 여러 가지 어류들의 산란장으로 적합하거나 겨울을 지내기 좋은 여건에 있어서 350가지에 달하는 다양한 어류들이 서식하고 있는데, 이는 동해나 서해에서 흘러드는 한류와 쿠로시오 난류의 영향으로 해석되고 있다.

 

제주도 어장은 강화도조약 이후 일본어민들이대거 침탈하였다. 비양도, 가파도, 우도 등 곳곳에 어물 창고를 만들고 나가사키 방면으로 수송하여 돈을 벌었다. 일제감점기에는 하루에 200척이상 제주바다를 침탈했다.

 

흥미롭게도 약 300년 전에 저술된 이형상의 《남환박물》에는 제주에서 잡히는 물고기들이 많이 등장한다. 그는 제주에서 물고기를 잡는 방법을 ‘어장(漁場)이나 그물(漁網)을 사용하는 바가 없고, 단지 낚시질로 고기를 잡는다’고 기록하고 있다. 제주도 해역이 화산암 투성이어서 일부 해수욕장 외에는 그물 사용이 어렵다.

 

물고기 종류로는 상어(鮫魚), 악어(鰐魚), 고래(鯨魚), 문어(文魚), 고등어(古刀魚), 멸치(行魚), 생어(生魚), 옥돔(玉頭魚), 날치(飛魚), 은어(銀口魚), 숭어(秀魚), 오징어(烏賊魚), 방어(魴魚) 등이 난다고 하며, 특히 우도 등지에는 혹 수달(水獺)이 있다고 전한다.

 

또한 지금의 우리가 아는 흔한 토착 어종의 이름인 고맹이(놀래기), 복쟁이(복어), 멩치(쑤기미), 보들래기(장글레기), 눈큰볼락, 손치, 어렝이, 우럭, 졸락, 패감생이들은 소위 대나무로 하던 바다 낚시나 고망 낚시를 해본 사람들에게 추억이 되는 물고기들이다. 전문 낚시꾼들은 흑돔, 감성돔, 황돔, 다금바리 등의 고급어종들을 선호하고 있다.

 

 

서촌에서는 원담, 동촌에서는 갯담

 

원담은 원, 갯담, 개라고도 한다. 원담은 제주의 원시적 어로 시설이다. 원담은 해안에 작은 여가 형성된 곳을 서로 이어 막아 밀물 때 고기가 들어오게 하고 썰물 때 가두어진 고기를 잡는 돌담이다.

 

내가 생각하기로 원(垣), 담(垣)은 오래전 한나라 때부터 생긴 말로 하늘의 천체 속 자미원(紫薇垣), 태미원(太薇垣), 천시원(天市垣)에서 유래했다. 여기에서 원은 28수(宿)를 모은 무리 진 하늘을 3개의 구역으로 구분하여 하나의 둘레를 지은 형태를 말한다. 산담 또한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 사상이 깃들어 있는 바 이 삼원(三垣)과 관련이 깊다. 산담이 하늘을 염두에 두고 망자가 죽음을 관장하는 북두칠성에 머문다는 말로 해석된다. 즉 체백은 땅에 머물고, 혼백은 하늘로 간다는 것을 상징한다.

 

원담은 바다 방향은 완만하게 만들고 마을 방향은 수직으로 만들어 고기가 들어오기는 쉬우나 썰물이면 막혀서 못 나가게 만든 겹담 구조의 돌그물이다. 원담의 형태는 ㄱ자형, 一자형, ⁀형 등 다양한 모양이 있다. 원담은 마을마다 원, 갯담, 개라고도 불렀다. 모슬포는 원담이라고 부른 것과 달리 구좌읍 동복, 김녕, 행원, 월정, 평대, 세화, 하도지역에는 갯담, 개라고 부른다.

 

원담에는 주로 멜이 들었고, 그 뒤를 따라 갈치도 따라올 때도 있었다. 고도리(고등어 새끼), 각재기 등의 어종도 있었다. 원담에 멜이 들면 개인용 사둘이나 족바지로 잡는다. 큰 규모로 멜을 잡을 때는 그물접의 계원들이 공동으로 잡았다.

 

원담은 어선이 등장 않던 시기의 어로 방식으로 작은 마을 단위로 골을 만들어 원담을 쌓았다. 크기는 약 100평의 작은 원담에서 1500평의 큰 원담까지 마을의 규모와 지형에 따라 다양하다. 높이는 80cm~1m 내외, 넓이 1.5m 정도로 두 사람이 왕래할 수 있다. 또 이 원담은 허채(許採)시 미역이나 천초 등의 해산물을 나르는 길의 역할도 병행했고, 마을 어린아이들의 안전한 물놀이 터가 되기도 했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김유정은?

= 최남단 제주 모슬포 출생이다. 제주대 미술교육과를 나와 부산대에서 예술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술평론가(한국미술평론가협회), 제주문화연구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는 『제주의 무신도(2000)』, 『아름다운 제주 석상 동자석(2003)』, 『제주의 무덤(2007)』, 『제주 풍토와 무덤』, 『제주의 돌문화(2012)』, 『제주의 산담(2015)』, 『제주 돌담(2015)』. 『제주도 해양문화읽기(2017)』, 『제주도 동자석 연구(2020)』, 『제주도 산담연구(2021)』, 『제주도 풍토와 문화(2022)』, 『제주 돌담의 구조와 형태·미학(2022)』 등이 있다.


 

김유정 제주문화연구소장 jci6108@hanmail.net
< 저작권자 © 제이누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추천 반대
추천
1명
100%
반대
0명
0%

총 1명 참여


3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원노형5길 28(엘리시아아파트 상가빌딩 6층) | 전화 : 064)748-3883 | 팩스 : 064)748-3882 사업자등록번호 : 616-81-88659 |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제주 아-01032 | 등록년월일 : 2011.9.16 | ISSN : 2636-0071 제호 : 제이누리 2011년 11월2일 창간 | 발행/편집인 : 양성철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성철 본지는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Copyright ⓒ 2011 제이앤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jnuri@jnuri.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