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三多 ... 이제는 돌·바람·오름이다

  • 등록 2019.03.29 09:01:03
크게보기

다양한 제주 돌담문화 ... 제주인의 정체성.향토성.예술성 그리고 미래의 숨결

 

제주 마을 이름에 가장 많이 들어간 단어는?

 

城(성)이다. 무근성, 고성, 봉성, 금성, 성산, 성읍, 보성, 인성, 안성, 월성부락, 죽성부락 등. 이 마을들의 공통점은 돌과 관련 있다는 것이다. 화산섬 제주는 돌무더기와 바람이 많은 척박한 환경이었음에도, 선인들은 돌을 십분 활용하는 지혜를 발휘하였다. 밭담, 울담, 축담, 올렛담, 산담, 잣담(성), 원담, 불턱(담), 진성, 환해장성 등 다양한 돌담이 이를 웅변한다.

 

이러한 돌담들을 보는 재미로 출퇴근길이 즐겁다. 한림읍 귀덕리의 밭담과 성로동의 돌담은 더욱 특이하다. 귀덕리의 옛 이름은 석천촌이다. 돌들이 지천으로 널려있는 촌락이란 의미의 고어에 더 애정이 간다.

 

그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지방기념물인 명월진성이 있다. 이 지역은 1270년대에 삼별초에 이어 여몽연합군이, 탐라국을 백 년간 통치한 몽고군이, 목호 진압 차 제주에 온 최영 장군 군대가 상륙하였던 역사의 현장이다.

 

을묘왜란과 임진왜란을 전후한 일본인들의 노략질과 4·3의 아픈 역사가 배어있는 비극의 현장이기도 하다. 이러한 역사적 사건들을 전후하여 제주선인들은 환해장성, 성담, 잣성 등을 축조하는 데 동원되었을 것이다.

 

필자의 출퇴근길도 어쩌면 당시의 전투현장이었을 것이다. 비양도 주변의 해안가로 상륙하는 수백 척의 전함들과 돌담을 방패로하여 일진일퇴하는 병사들을 부질없이 그려본다.

 

 

돌담 중 잣백담 또는 머들은 농경문화 이래 밭에서 캐낸 돌들을 성처럼 쌓아올린 담이고, 잣성은 조선 초기부터 한라산 지역에 설치된 목마장의 경계에 쌓은 담이다. 환해장성은 고려시대부터 적을 방어하기 위해 해안선을 돌아가며 쌓았던 성담이다. 하지만 읍성, 현성, 진성 등의 성담들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항만공사 등으로 매몰되고 말았다. 허무한 역사의 한 단면이다.

 

일본의 역사소설가인 시바 료타로는 1986년 펴낸 탐라기행에서 ‘오래된 집들이 땅에 납작 웅크리듯 있는데, 이는 바람을 피하기 위해서다. 또한 바람막이를 위하여 돌담으로 에워쌌다. 돌담은 틈새가 많다. 살며시 밀기만 하여도 허물어질 것 같은데, 끄떡없이 견디니 참으로 명인의 솜씨랄 수밖에 없다.’라고, 제주를 2회에 걸쳐 방문한 ‘25시’ 작가 게오르규는 ‘제주가 제주다운 것은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돌담집과 울담, 밭과 밭을 구획하는 밭담 등은 제주만의 명물이다.’라고 평하기도 했다.

 

척박한 자연환경을 지혜롭게 극복한 선인들의 개척정신의 산물인, 다양한 돌담문화에서 필자는 제주인의 정체성과 향토성 그리고 예술성을 느낀다. 그리고 제주 미래의 숨결을 듣는다.

 

2006년 문화관광부가 선정한 100대 민족문화 상징에 제주 밭담이 초가집과 더불어 선정되었다. 2013년에는 국가 중요농업유산 제1, 2호로 ‘완도 청산도 구들장 논’과 함께 ‘제주도 흑룡만리(黑龍萬里) 밭담’이 지정되었다.

 

제주도는 계속하여 밭담을 세계농업유산으로 지정되기 위해 신청 중이다. 흑룡만리돌담의 미학이 외국관광객 500만 시대의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길 기도한다.

 

추신: 2014년 제주 밭담은 세계농업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삼다의 섬 제주를 속 깊이 들여다보자. 바람과 돌은 이제 황금알을 낳는 거위처럼 제주를 더욱 제주답게 견인하는 자원재화이다.

 

반면 여자는 이제 남자로 대체해야 할 만큼, 남성이 여성보다 많다. 삼다(三 多)에서 여다(女多)는 옛말이 되었다. 어려웠던 시절을 거치며 생활력의 상징으로 우뚝 서야만 했던 여성을, 남여 평등사회를 맞아 이제는 해방해야 할 것이다. 돌과 바람이 자연재화이듯 삼다는 제주의 자연경관에서 찾아야 하겠기에, 돌·바람·오름으로 하면 어떨는지?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문영택은?
= 4.3 유족인 부모 슬하에 부산 영도에서 태어났다. 구좌중앙초·제주제일중·제주제일고·공주사범대·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프랑스어교육 전공)을 졸업했다. 고산상고(현 한국뷰티고), 제주일고, 제주중앙여고, 서귀포여고, 서귀포고, 애월고 등 교사를 역임했다. 제주도교육청, 탐라교육원, 제주시교육청 파견교사, 교육연구사, 장학사, 교육연구관, 장학관, 중문고 교감, 한림공고 교장, 우도초·중 교장, 제주도교육청 교육국장 등을 지냈다. '한수풀역사순례길' 개장을 선도 했고, 순례길 안내서를 발간·보급했다. 1997년 자유문학을 통해 수필가로 등단, 수필집 《무화과 모정》, 《탐라로 떠나는 역사문화기행》을 펴냈다. 2016년 '제주 정체성 교육에 앞장 서는 섬마을 교장선생님' 공적으로 스승의 날 홍조근정훈장을 받았다. 2018년 2월 40여년 몸담았던 교직생활을 떠나 향토해설사 활동을 하고 있다.
문영택 yeongtaek2412@daum.net
< 저작권자 © 제이누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27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원노형5길 28(엘리시아아파트 상가빌딩 6층) | 전화 : 064)748-3883 | 팩스 : 064)748-3882 사업자등록번호 : 616-81-88659 |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제주 아-01032 | 등록년월일 : 2011.9.16 | ISSN : 2636-0071 제호 : 제이누리 2011년 11월2일 창간 | 발행/편집인 : 양성철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성철 본지는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Copyright ⓒ 2011 제이앤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jnuri@jnuri.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