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괘(訟卦) 송(訟)은 다툼, 논쟁, 쟁탈, 쟁송의 뜻이다. 다툼은 화기(和氣)를 손상시킨다. 화(和)함이 없으니 분열이 일어난다. 분열은 힘의 약화를 의미한다. 에너지의 손실이다. 고립된다. 출로가 없다. 궁지에 몰린다. 실패한다. 다툼이 생기면 어떻게 하여야 할까? 『좌전(左傳)』은 말한다. “어지러움으로 정돈됨을 바꾸는 무덕(武德, 안: 무력을 씀에 있어서 반드시 지켜야 할 원칙)이 아니다.”1) 무슨 말인가? 분열과 혼란으로 단결을 대체하는 것은 무사의 도리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오늘날에 적용한다면, 고의로 다툼을 야기하고 단결을 저해하며 혼란을 초래하여 평화안정과 번영발전을 대체하는 것은 조화로운 사회를 건설하는 목표에 부합하지 않는다. 『주역』은 말한다. “송은 믿는 바가 있으나 막혀서 두려우니, 중지함은 길하고 끝까지 함은 흉하다."2) 늘 다른 사람과 다투는 사람은 승부욕이 강하여 항상 이기려고만 한다. 그런 사람은 점차 앞길이 막히고 고립되게 된다. 고립돼 외로워지면 중정지도(中正之道)를 두려워하고 경계하게 된다. 중정(中正: 치우치지 않고 올바름, 정직하고 공정함)하지 않으면 길하지 않다. 결국 나쁜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다툼이
◆ 수괘(需卦) 수(需)는 ‘기다리다’ 뜻이다. 사람이 살아가다보면 기다려야 할 때가 많다. 새가 둥지로 날아들 때를 기다려야 하고 봄이 오기를 기다려야 한다. 아름다운 꽃이 만개할 때를 기다리고 씨앗이 발아할 때를 기다려야 한다. 풍성한 수확의 과실을 기다려야 한다. 아기의 탄생을 기다려야 하고 연인이 돌아오기를 기다려야 한다. 친구와 만남을 기다려야 하고 꿈이 실현되기를 기다려야 한다. …… 성급히 성공하면 어떻게 하여야 할까? 동틀 무렵 캄캄할 때, 사람은 기다려야 한다. 여명을 기다려야 한다. 햇빛이 비추기를 기다려야 한다. 만물이 소생하기를 기다려야 한다. 봄기운이 완연하기를 기다려야 한다. 농작물의 싹이 건강하게 자라날 때 풀을 뽑아주어야 하고 토양을 부드럽게 해줘야 한다. 물을 대고 비료를 주어야 한다. 기다려야 한다. 익을 때를 기다려야 한다. 『주역』은 말한다. “수(需)는 성실함을 가지면 빛나게 형통하다. 큰 내를 건너는 데에 이롭다.”1) 우리에게 알려주고 있다. 꿋꿋이 지키라고, 성실하라고, 시기를 기다리라고. 성실하면 어진 사람을 끌어들일 수 있다. 어진 사람의 도움이 있으면 우리 능력은 끊임없이 커지게 된다. 점차 형통(亨通)으로 나
◆ 몽괘(蒙卦) 몽(蒙)은 덮다, 덮어 가리다 뜻이다. 처음에는 세상사람 모두에게 영성1)이 있었다. 천부적 자질도 차이가 없이 인생의 길을 걸었다. 그런데 나중에는 어째서 부질없이 바쁘게 보내며 아무 것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이 생기는 것일까? 반면에 어떤 사람은 대업을 이룰 수 있는 것인가? 도대체 무엇이 아무 것도 이루지 못한 사람의 앞길을 막아선 것인가? 무엇이 그 사람의 지혜의 불꽃을 덮어 가린 것인가? 건성건성하고 산만하고 해이하면 어떻게 하여야 할까? 강물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면 바다는 강물의 진행 방향을 좌우한다. 강의 아름다운 흐름을 덮어버린다. 이로써 강물 자신은 존재하지 않는다. 강물의 이름도 바다로 대체된다. 나무를 불 속으로 던져 넣으면 불은 ‘동량’이 되려던 나무의 꿈을 삼켜버린다. 거대한 ‘옥체’를 태워 버린다. 목재는 끝내 공기 중에 흩날리는 부드러운 재가 되어 버린다. 바람이 불면 그나마 남아있던 재도 어디로 갔는지 사라져 버린다. 그래도 그건 아무 것도 아니다. 적어도 그들은 정당한 귀착점이나마 있지 않던가. 반면에 사람이 해이하고 태만해지면 사상을 갉아 먹히고 정신을 빼앗겨 버린다. 이때부터 사람은 자유가 없게 된다. 용부(庸
◆ 준괘(屯卦) 준괘의 준, 즉 둔(屯)1)은 어린 싹이 처음 흙을 뚫고 나오는 상태다. 애기가 태어나 젖을 달라고 앵앵 울고 있다. 작업의 기초를 잡기 전 최초의 준비 단계다. 큰일을 시작하기 전 웅대한 뜻을 세우는……, 시작이다. 연약하다. 미숙하다. 일하는데 미숙하면 어떻게 하여야 할까? 『삼자경(三字經)』 첫 구절은 이렇다. “사람은 처음부터 본성이 선하다.” 인성은 본래 선량(善良)하고 순정(純正)하며 천진(天眞)하고 유치(幼稚)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한창 때의 젊은이는 생기가 넘쳐흐른다. 깊이 생각하지 않고 일을 진행한다. 일단 뜻을 세우면 저지르고 본다. 막 태어난 송아지는 호랑이도 두려워 않지 않던가. 젊은이는 늘 기세등등하게 세상에 나갈 생각을 한다. 『주역』의 ‘원(元)’은 처음, 시작이다. 중국 신화 속의 반고개천(盤古開天)이 원(元)이다. 한 왕조가 교체되는 것이 원이다. 새로운 세기가 시작되는 것이 원이다. 총명하고 귀여운 어린아이가 태어나는 것이 원이다. 새해 첫 날을 우리는 원단(元旦)이라 한다. 원(元)은 처음이요 시작이다. 분명 참신하다. 그러면서도 유약하다. 하늘의 원(元)은 혼돈이다. 안개 속이다. 사방이 몽롱하다. 곳곳에서
◆ 곤괘(坤卦) 곤(坤)은 땅이다. 대지는 만물생령의 어머니이다. 대지는 하늘을 떠받치고 땅에 우뚝 선 높고도 큰 청산을 우리에게 주었다. 옥같이 맑고 얼음처럼 깨끗하며 넓디넓은 강하를 우리에게 주었다. 넓으면서도 무한한 풍요로운 강토를 우리에게 주었다. 풍부함을 선사하였고 부유함을 전해주었다. 대지는 조급함을 끊을 수 있도록 한다. 마음이 들뜨고 조급할 때 어떻게 하여야 할까? 미인이나 미남을 만났다고 치자. 마음의 꽃이 활짝 핀 것처럼 무척 기쁘다. 마음이 싱숭생숭하고 터무니없는 생각이 난다. 밤에도 잠 못 이루고 입맛도 잃게 되며 일손도 잡히지 않는다. 그렇다면 당신은 마음이 들떠있다. 조급해졌다. 들썽해졌다. 당신이 관계(官界)에 있다고 하자. 사방에서 건네는 아첨과 금전의 유혹에 득의양양하고 이기심이 동하여 욕망에 사로잡히고 양심을 버린다면, 당신은 들떠있다. 이른바 ‘부조(浮躁)하다’는 말이다. 마음이 굳지 않고 흔들린다는 말이다. 사람은 왜 들뜬 것처럼 마음이 흔들리는가? 탐욕이 있기 때문이다. 탐욕은 마음을 불안하게 만든다. 평정심을 잃게 만든다. 세속을 바르게 보지 못하게 한다. 탐욕은 모든 것을 받아들이는 드넓은 기개를
◆ 건괘(乾卦)(2) “하루 종일 자강불식하는 것이 도를 반복함이다.”1) ‘건건(乾乾)’은 자강불식(自强不息)의 뜻이다. 이 말은 이렇다. 용이 덕으로 천하에 널리 베풀지만 필연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만나게 된다. 어려움이 있으면 극복할 방법을 생각하여야 한다. 자강불식을 통하여 모든 사악한 세력과 투쟁하고 하늘의 법칙을 실천하며 시대와 같이 나아가면서 자신을 더욱 강하게 단련시켜야만 승리를 얻을 수 있다. 현실에서, 열심히 일하면서 사회에 공헌하려 할 때 여러 가지 어려움에 봉착하게 된다. 이때는 자강불식하여야 한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분투하여야 한다. 대국을 중히 여기고 용감하게 책임져야 한다. 적극적이며 주동적으로 자신이 주인공이 되어 짐을 맡아야 한다. 어려움 속에서 자아를 완성해 나가야 하고 고난 속에서 자신을 단련해 나가야 한다. “뛰어오르기도 하나 연못 속에 있으니 나아가도 허물이 없다.”2) 용은 고난 속에서 자아 단련한 이후에 중인의 심임과 존경을 받게 되면 만인이 들어 올리는데, 그런 용은 깊은 연못에서 뛰어오를 수 있다. 이때는 어떤 재난도 용을
◆ 건괘(乾卦)(1) 건은 하늘이다. 건(乾)괘가 위아래로 되어 있다. 건(乾)은 원형이정(元亨利貞)〔으뜸 원, 형통할 형, 이로울 리, 곧을 정〕이다. 「문언전(文言傳)」에 다음과 같이 풀이하였다. “원은 착함이 자라는 것, 형은 아름다움이 모인 것, 이는 의로움이 조화를 이룬 것, 정은 사물의 근간이다. 군자는 인을 체득해 사람을 자라게 할 수 있고 아름다움을 모아 예에 합치시킬 수 있으며, 사물을 이롭게 하여 의로움과 조화를 이루게 할 수 있고 곧음을 굳건히 하여 사물의 근간이 되게 할 수 있다. 군자는 이 4덕을 행하는 까닭에, 건은 원형이정이라고 한다.”1) 원형이정은 보통 만물이 처음 생겨나서 자라고 삶을 이루고 완성되는, 사물의 근본 원리를 말한다. 여기서 원은 만물이 시작되는 봄(春), 형은 만물이 성장하는 여름(夏), 이는 만물이 이루어지는 가을(秋), 정은 만물이 완성되는 겨울(冬)에 해당된다고 한다. 원형이정은 인(仁)·의(義)·예(禮)·지(智)를 뜻한다고도 한다. 건(乾)은 하늘(天)을 상징한다. 높고도 크다. 무궁무진하다. 정도를 헤아릴 수 없다.
『주역(周易)』이란 무엇인가? 사전적 풀이는 이렇다: 『주역(周易)』은 유교의 경전 중 3경(經)의 하나인 『역경(易經)』을 말한다. 『역(易)』이라고도 한다. 점복(占卜)을 위한 원전(原典)과 같은 것이다. 어떻게 하면 조금이라도 흉운(凶運)을 물리치고 길운(吉運)을 잡느냐 하는 처세상의 지혜다. 나아가서는 우주론적 철학이기도 하다. ‘주역’이란 주(周)나라의 역(易)이란 말이다. 이전에 하(夏)나라 때 ‘연산역(連山易)’, 상(商)나라 때 ‘귀장역(歸藏易)’이라는 역서가 있었다고 한다. 천지만물이 끊임없이 변하는 자연현상의 원리를 설명하고 풀이하였다. ‘역’에는 이간(易簡)·변역(變易)·불역(不易) 세 가지 뜻이 있다. ‘이간’이란 천지 자연현상은 끊임없이 변하나 간단하고 평이하다는 뜻이다. 단순하고 간편한 변화가 천지의 공덕이라 말한다. ‘변역’이란 천지만물은 멈추어 있는 것 같으나 항상 변하고 바뀐다는 뜻이다. 양(陽)과 음(陰) 기운의 변
뛰어난 의사는 발병 초기에 병자를 완치시킬 수 있다. 일을 고려할 때에 되도록 일찍 착수하여야 한다. 싹이 틀 때에 없애버리지 못하면 형세가 변함에 따라 손쓸 틈도 없이 급변할 수 있고 심지어는 큰 재앙이 되어 되돌아올 수도 있다. 나뭇가지와 다름없다. 어린 가지는 손으로 쉽게 없앨 수 있지만 크고 나서는 도끼를 쓰지 않으면 없앨 수 없다. 송(宋)나라 때에 도적 장해1)가 고우(高郵)성을 지나가려 하고 있었다. 고우성의 수장 조중약(晁仲約)은 그 도적을 막을 방법이 없다고 생각하여 효유(曉諭)군에서 부유한 토호에게 소와 돼지를 잡아 잔치를 베풀어 도적떼를 대접하도록 했다. 그 사실이 전해지자 재상 부필(富弼)은 조중약을 붙잡아다가 법에 따라 극형에 처해야 한다고 제의하였다. 범중엄(范仲淹)은 인정에 호소하며 말했다. “군현의 병력과 무기를 가지고 도적떼를 물리치고 성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습니다. 조중약이 도적떼를 만나 막아서지도 않고 오히려 뇌물을 주었으니 법에 따라 주살하여야 마땅합니다. 그러나 지금 고유에는 병사가 없을 뿐 아니라 무기도 없습니다. 백성조차 마음속으로 모두 나서서 재물을 모아 주는 것이 강탈당하고 목숨 잃는 것보다 좋지 않으냐고 생각하
조그만 일이라고 홀시하면 더 큰 문제가 발생하는 법이다. 일을 처리하거나 사람을 쓰는 데에는 나쁜 일이 아직 경미할 때에 더 이상 커지지 않게 방지하여야 한다. 시작과 끝을 신중하게 하여야 한다. 자질구레한 일 때문에 돌이킬 수 없는 손실을 가져와서는 안 된다. 인생은 한 단계 씩 업그레이드 시키듯이 정확한 판단을 내려야 하고 손실을 피해야 한다. 경쟁 중에는 정신을 똑바로 차리고 있어야 한다. 추리하여도 로직에 맞아야 하고 판단도 오류 없이 정확하여야 한다. 우리가 패를 잘못 내면 얻어야 할 것을 얻지 못하고 이길 수 있는 것을 이기지 못한다. 그러면 우리 처지는 급전직하하게 된다. 형태가 크게 변하여 세 번이든 네 번이든 뒤집기 어려워진다. 심지어 철저히 실패하게 되어 모든 국면을 끝내야 할 때가 있다. 생활에서 잘못을 저지르고 난 후 많은 사람들은 자신에게 ‘이번 것은 제외’ 라고 말하기를 좋아한다. 가장 무서운 생각이다. 사람의 마음은 위태롭고 도의 마음은 미약하다.1) 노자는 말한다. “문제가 터지기 전에 도모하고 혼란해지기 전에 다스려야 한다. ……시작할 때처럼 마지막에도 신중하면 실패하는 일이 없을 것이다.” 이렇게 해야만 작을 일로 큰 것을 잃
모택동은 말했다. “마땅히 남은 용기로 적을 끝까지 쫓아야 하느니, 허명을 쫓다만 초패왕을 배워서는 안 되리니.” 화근을 철저히 없애버리고 상대에게 쉴 기회를 주지 않는 책략은 너 죽고 나 사는 전쟁 중에는 필요하다. 그러나 평화로운 시대에서 결사항쟁은? 상대를 사지에 몰아넣어야 마음이 후련해진다면? 상대는 최후의 발악을 할 수 밖에 없다. 궁지에 몰린 쥐가 어떻게 할까? 자기도 불필요한 손실을 입게 된다. 궁지에 몰린 짐승은 결사적으로 반항한다. 겹겹이 포위된 짐승은 사투를 벌이기 마련이다.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만은 없지 않은가. 짐승에게는 용맹이라는 본성을 가지고 있다. 사투를 벌인다. 대자연의 한 현상에 불과할까? 아니다. 정치계나 상업계에서도 자주 보인다. 그물 한쪽을 벌려 놓듯이 빠져나갈 길을 열어주는 책략이 필요하다. 상대를 끝까지 몰아붙여서는 안 된다. 송(宋) 인종(仁宗, 1022~1063 재위) 때에 재상 부필1)은 단주(澶州) 상호하(商胡河)부터 육탑거(六漯渠)를 뚫어 섬서(陝西)를 가로 지르는 옛 수로로 물을 끌어드리려 했다. 평소에 부필을 싫어하던 대명부(大名府
지금 사람들은 온갖 수단을 동원하여 명예를 좇아 날카로운 말솜씨로 타인의 이름을 훼손하는 것을 마다하지 않는다. 정말 알지 못하는 것일까? 사람과 만나고 일을 처리는 데에 덮어놓고 말을 많이 하면 정반대가 되어 되돌아온다는 것을. 심지어 건드리지 말아야 할 것을 실수하여 건드려 불운은 자처하게 된다는 것을 모르는 걸까? 천기를 누설한 사람은 쉽게 천벌 받는다. 사람을 잘못 건드리면 쉬이 원망 듣게 된다. 명(明, 1368~1644) 성조(成祖, 주체朱棣, 1402~1424 재위) 시기에 광동 포정사(布政使) 서기(徐奇)가 도성에 들어와 황제를 알현할 때 영남의 등나무 돗자리를 가지고 와서 경성의 관원들에게 선물하려고 했다. 그런데 생각지도 않게 경성에 들어서자마자 순성관에게 압수당했다. 순성관은 선물 주려던 관원 명단을 황제에게 보고하였다. 황제가 보자 선물 명단에 ‘여러 어진 사람이 모두 모여’ 있었지만 오직 양사기1) 이름만 보이지 않았다. 황제는 그의 청렴결백이 마음에 들어 단독으로 그를 불러서 물었다. 양사기가 말했다. “당초 서기가 명을 받아 광동에 부임할 때에 여러 관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