굳어지는 것인가? 우선, 이 물음에 대한 필자의 답부터 해보고자 한다. 민주당은 2008년 18대 총선부터 내리 24년 동안 제주의 3석 모두를 휩쓸었다. 만약 이번 총선에서도 민주당이 3석 모두를 차지한다면 제주는 약30년 동안 민주당의 안방이 되는 셈이다. 그러니 좋든 싫든 제주는 정치적 호남변방이 아니 되래야 아니 될 수 없는 것이다. 문제는 제주가 호남의 ‘정치적 변방’으로 그치는데 있지 않다는 것이다. ‘정치적 변방’이 ‘사회적 변방’ ‘문화적 변방’ ‘정서적 변방’에 이어 완전무결한 변방이 되어버린다는 데 있다. 그리고 제주의 정신이 호남화(湖南化) 되어버린다는데 있다. 혹자는 “그러면 어떠냐? 당신의 그 우려는 폐쇄적 사고에서 비롯된 것일 뿐이야.”라고 필자를 나무랄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 필자는 ‘제주정신’에 관한한 폐쇄적이다. 그리고 바람직하지 않다는 생각도 갖고 있다. 그러나 그 폐쇄적 사고(思考)는 당위성을 갖고 있다. 조선조 말기 200년 동안(1629~1825) 제주사람에게는 ‘출륙금지령(出陸禁止令)’이라는 멍에가 씌워졌었다. 200년 동안 제주사람이 육지에 나오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해버린 것이다. 그 ‘출륙금지령’이 내려진 이유
‘선량(選良)’이란 뛰어난 인물을 뽑거나 혹은 그렇게 뽑힌 인물을 말한다. 그리고 국회의원을 또 다른 말로 그렇게 부르기도 한다. 엊그제 등록이 마감된 제주지역 총선에 나서는 후보가 15명에 이른다. 우리 제주도민은 그중 3명의 인물을 뽑아야하는데, 결코 쉬운 일이 아닐 뿐만 아니라 소홀히 할 수도 없는 일이다. 그렇다면, ‘이 후보는 아니다’하는 사람부터 솎아내는 것도 선량을 하는데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말하자면, ‘이런 후보는 우리를 대변해 줄 국회의원으로서 곤란하다’는 후보부터 순차적으로 골라내면 마지막 남은 후보가 선량이 되는 것이다. 먼 선조(先祖) 때부터 고향이 제주이고, 인생의 절반 이상을 제주에서 삶을 영위했으며, 제법 오랫동안 제주정치마당에 몸 담았던 필자가 생각하는 ‘곤란한 후보’ 몇몇은 다음과 같다. 감히, 4.3에 대해 거짓말하는 후보 어느 후보가 언론사 초청 대담에서 '총선 직후 열리는 4월 국회 임시회에서 4.3특별법이 처리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노력하겠다’고 했으
“○○○로 확장공사 속개할 것” “○○지역 주민에게 도시가스 공급 노력” “월동채소 수급조절 특별대책 마련” “○○읍에 농수산식품 바이오산업단지 조성” “○○읍 특산물-관광지 등 통합마케팅” .... 착각하지 말자. 이러한 공약들은 육지의 어느 지역 시장․군수 선거에 나선 후보들의 공약이 아니다. 이번 4․15 국회의원 총선거의 제주지역 후보들이 내세우는 공약들이다. 한마디로 국회의원의 역할과 격에도 한참 동떨어진 공약들인 것이다. 문제의 심각성은 이러한 류(類)의 공약들이 그들 공약의 절대다수를 차지하는데 있다. 작금에 이르러 도내 언론사들은 빠짐없이 4․15총선 관련 지면을 할애하여 후보들의 공약과 동향 등을 보도하고 있다. 필자는 어느날 어느 언론사의 그 지면을 유심히 살펴 본적이 있었다. 그 지면엔 제주도내 3개 선거구마다 각 5건 씩 모두 15건의 선거 기사가 실려 있었는데, 그 중 공약관련 기사가 10건이었다. 그리고 그 중 8건의 기사가 기초자치단제장이나 기초의회 의원 선거에서나 볼 수 있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최근 대구 수성관광호텔에서 열린 「아시아포럼21」 정책토론회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주변 이야기를 잘 듣는 것 같지만 그렇지 않은 것 같다. 거기에 특정한 문제에 굉장히 고집이 세다. 소수 측근에 둘러싸여 바깥으로 나서려고 하지 않는다는 건, 남자 박근혜 같은 느낌을 받을 때도 있다”고 발언했다. 지식인 혹은 정치인으로써 현실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안에 대한 자신의 인식을 표현한 것으로써 지극히 자연스러운 발언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박근혜 전 대통령과 비유한 것도 효과적 인식전달의 측면에서 보면 전혀 이상할 게 없다. 그런데, 이를 두고 참으로 희한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그 희한한 일의 제1탄은 도내의 어느 유력 인터넷신문인 J신문이 쏘아 올렸다. 정책토론회가 있은 바로 그날, ―원희룡 ‘문재인 대통령은 남자 박근혜’ 발언 파장― 이라는 제목을 단 기사를 게재한 것이다. 그런데 막상 기사를 읽어보면, 기사제목과 부합되는 즉, ‘파장’과 관련한 내용은 단 한 줄 뿐이다. 어느 현장기자가 ‘발언이 너무 센 것 같다’고 했다는 것이다.
데자뷰(DÉJÀ VU) ― 이런저런 사전에서는 이 용어를 ‘최초의 경험임에도 불구하고, 이미 본 적이 있거나 경험한 적이 있다는 이상한 느낌이나 환상. 프랑스어로 이미 보았다는 의미로서 영어로는 already seen에 해당한다.’고 대충 정의하고 있다. 1960년대를 살아온 세대의 많은 이들은 현재 진행 중인 「제주 제2공항건설」과 관련한 논란을 접하면서 데자뷰를 느낄 것인데, 그 느낌의 끄트머리에 당시 「경부고속도로 건설」 논란을 머리에 떠올릴 것이다. 그렇다. 제주 제2공항 건설의 논란은 데자뷰를 느낄 정도로 50여 년 전의 경부고속도로 논란과 참으로 많이 닮아있다. 둘 다 미래를 향한 개발 사업이라는 점, 대규모 재원이 필요하다는 점, 건설 필요성의 찬반논란이 첨예하다는 점, 지역이기주의가 발현된다는 점, 반대의 양태가 거칠다는 점, 군사시설 겸용 의혹이 있다는 점 등등 닮은 점이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것이다. 그 많은 닮은 점에 대하여 필자는 아래와 같이 중요한 몇 가지만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필요성에 대한 논란의 양태가 닮은꼴이라는 것이다. 당시 경부고속도로 반대진영에서는 서울~부산 간에는 이미
상상해 보자. ‘제주도 전기차(電氣車) 전환 100% 달성’이라는 제목을 단 기사가 한국의 각 언론에 머릿기사로 장식되고, 이어서 세계의 유력 언론들이 주요기사로 다룬다. 제주도 어디를 가 봐도 화력발전소 굴뚝을 볼 수 없다. 세계에서 가장 큰 공신력과 영향력을 발휘하는 유엔 환경계획(UNEP)이 드디어 세계에서 가장 청정한 지역으로 제주도를 선정한다. 그러자 제주의 농산물 임산물 등이 없어서 못 팔정도로 외국으로부터의 오더(Order)가 쇄도하고. 대형 병원 및 요양원과 식품회사 약품회사 등 청정한 환경을 필요로 하는 육지의 기업들이 속속 제주로 몰려든다. 그럼으로써 제주지역 청년실업률이 제로(Zero)에 근접한다. 또한 청정한 환경에서 관광을 즐기려고 스위스 하와이를 찾던 관광객이 제주로 발길을 돌린다. 우리의 가슴을 설레게 하는 상상이 아닌가. 이러한 상상을 현실화 되게 하는 것이 바로 「Carbon-Free Island Jeju 2030」(이하 ‘카본프리’라고 함)프로젝트다. 이 프로젝트의 목적이 달성된다면 위 상상은 현실이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달성될 것인가? 하는 물음이 던져진
이 이야기의 시점은 6․13지방선거를 치르고 1년쯤 뒤에 맞추어져 있다. 어느 가족의 가장(家長)이 있었다. 불행스럽게도 그 가장은 자식들로부터 의혹을 받고 있었다. 가장으로써의 도덕성과 자질을, 그것도 여러 종류의 수많은 의혹을 받고 있었다. 그래서인지 말 짓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그를 ‘양파가장’이라 불렀다. 양파껍질처럼 아무리 벗겨도 양파의 모습이 그대로이듯, 그의 의혹을 아무리 벗겨도 ‘의혹덩어리’의 모습은 그대로였기 때문이다. 그가 여러 명의 새아버지 후보 중 한 사람으로 떠올랐던 그 당시, 새 아버지의 선택권이 있었던 자식들은 그가 훌륭한 가장이 될 것이라는 믿음이 있었다. 그를 감싸는 포장이 그럴싸한 것이 그 믿음의 이유였다. 어떻게 맺어졌는지 모르지만 대통령과의 가까운 인연, 직전엔 청와대의 식구였고 한 때는 지방의회의 수장을 지냈다는 이력, 어떻게 취득했는지는 모르지만 석사학위소지자라는 높은 학력 등등이 그를 감싸는 포장이었던 것이다. 애당초, 그러니까 그를 가장인 새아버지로 맞아들일 때부터 자식들의 마음은 편치 못했다. 어찌 보면 화려하기까지 한 아버지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