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예비후보는 “4∙3특별법이 제정된 지 15년이 지났지만 진실이 규명되면 피해에 대한 배·보상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논의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위 예비후보는 “4·3희생자들이 겪으신 인적·물적·정신적 피해를 금전적으로 해결할 수 없지만 배·보상 문제 역시 완전한 4·3 문제 해결을 위한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위 예비후보는 “정부는 제주4·3의 완전한 해결을 위해 노력했어야 했지만 이명박·박근혜 정부에서는 제주4·3 국가추념일 지정을 제외하면 홀대를 받아왔다”며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어 가기 위해서도 제주4·3희생자에 대한 배·보상 문제 해결이 뒷받침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위 예비후보 “이미 당사자격인 4·3유족회 차원에서도 배·보상 문제 해결을 위한 고민과 노력이 시작됐다”면서 “4·3유족과 시민사회를 비롯한 제주도민과 정치권이 힘을 합쳐 배·보상 문제가 제주4·3특별법 개정 과정에서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제이누리=김리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