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내 일정지역 주민의 이동수단이 전기자동차 또는 E모빌리티 등으로 대체될 지 관심이다. E모빌리티는 자동차보다 작은 개인 또는 다양한 맞춤형 이동수단을 뜻한다.
원희룡 제주지사는 22일 주간정책회의에서 "이번 국제전기차엑스포를 통해 전문가·중앙정부 그리고 국제사회와 몇 가지 시급한 신에너지 체계 구축 과제에 대해 논의가 모아졌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원 지사는 "전기자동차에 충전된 전기를 전력망에다 되파는 역전송을 통해 소비자들이 돈을 버는 V2G 겸용 전기충전스테이션 등의 충전 인프라 문제에 따른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들이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원 지사는 "전기버스·V2G·E모빌리티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은 중앙정부의 주요 관심사업인 만큼 이를 기회로 (활성화를) 시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원 지사는 "가파도의 탄소 없는 섬 프로젝트'에 대한 반응이 기본적으로 좋은데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원 지사는 "주민 자발적 참여를 전제로 (일정지역의) 전 차량을 전기차로 바꾸고, 또 자동차보다 더 작은 개인 내지 다양한 맞춤형 이동수단인 'E모빌리티'를 활성화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원 지사는 "(제주도가) E모빌리티의 전 세계 실험장이자 전시장 같은 역할, 그리고 관광상품이 될 수 있는 부분들에 대해 중앙정부와 청와대에서도 큰 관심을 갖고 있다"고 소개했다.
특히 원 지사는 "제주도 외에는 할 곳이 없기 때문에 이 부분들에 대해 일상적 행정 협조가 아니라 긴급조치에 준하는 추진력으로 성과를 만드는 것을 국가와 국제사회가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우리는 큰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며 적극 대응을 주문했다.
원 지사는 "이를 위해 추진체계와 기동력 있는 협력체계를 갖춰 중앙정부 및 기업들과 전반적인 체제를 정비, 상반기에 가시적인 성과를 내야 한다"면서 "하반기 또는 내년에 도민들이 피부에 와 닿는 성과가 나오도록 추진체계를 만들어 달라"고 관련부서에 지시했다.
이밖에 원 지사는 4·3희생자 추념기간 중 추모 분위기 확산 및 추념식의 차질 없는 준비 등도 지시했다.
원 지사는 22일부터 25일까지 중국 하이난 보아오진에서 ‘아시아의 새로운 미래, 새로운 활력과 새로운 비전’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제16회 보아오포럼에 참석하기 위해 출국했다. [제이누리=강한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