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도의 환경소음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낮보다 밤이 더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올해 상반기 환경소음 측정 결과 측정지점 44%가 환경소음 기준치를 넘었다고 17일 밝혔다.
올해 상반기 측정 결과 35개 측정지점 중 낮 시간대에는 9개, 밤 시간대에는 22개 지점이 소음 기준치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시 환경소음 측정 결과 일반지역에서 낮 시간대에 33%, 밤 시간대에는 50%가 환경기준(2~15dB)을 초과했다.
도로변지역에서는 낮 시간대에는 환경기준 초과지역이 없었다. 그러나 밤 시간대에는 88%가 환경기준(1~8dB)을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귀포시 환경소음 측정 결과 일반지역에서 낮 시간대에는 11%, 밤 시간대에는 33%가 환경기준(1~7 dB)을 초과했다. 도로변 지역은 낮 시간대는 67%, 밤 시간대는 모두 환경기준(1~10 dB)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체로 도로변 지역이, 시간대별로는 밤 시간대가 환경기준 초과율이 높았다.
특히 도로변 야간인 경우 제주시 88%, 서귀포시는 모두 환경기준을 초과했다.
상업지역인 경우 음악소리, 행인소리, 자동차 소리 등 다양한 소음발생원으로 인해 낮 보다 밤 시간대에 소음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기준 초과율이 높은 도로변 지역은 도로포장 방법 개선 및 교통량 분산대책 등이 필요하다”며 “경적음 자제, 과속 자제 등이 소음 감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지속적으로 환경소음을 모니터링해 향후 소음저감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제이누리=김혜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