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멀구슬 나무. 대나무 숲과 올레는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다. 올레에는 봄이 짙어 오면서 갖가지 야생화들이 피어오른다. 초록색 잎에 분홍빛과 옅은 파란색 꽃이 활짝 피어나 분위기가 달라졌다. 사람들이 꽃길만 걸을 수 있다면 좋으련만 이 땅에서 살아 온 농민들이 걸어 온 길은 모두 험난한 가시밭길이다. 이 꽃길 양편으로는 밭담이 끝없이 이어진다. 밭담은 조상들이 황무지를 개간하면서 쏟아져 나오는 돌을 걸러내어 밭을 일구고 그 돌로 울타리를 쌓아 올려졌다. 제주도의 밭담은 길이가 2만2108km이고 만리장성의 10배에 이르러 흑룡만리(黑龍萬里)라는 이름으로 세계중요농업유산에 등재 되었다. 밭담은 토지 경계선이기도 하고 바람과 짐승을 막으며 비바람에 무너지면 다시 쌓기를 반복하면서 수백년을 이어왔다. 그런데 돌 한 덩어리는 보통 10kg 이상이라서 한 사람이 들기에도 벅차고 그 보다도 훨씬 큰 돌들이 수없이 많다. 수백이 아니라 수천 수만개다. 조상들이 맨손으로 쌓아 올린 이 밭담의 무게는 삶의 무게다. 밭담만큼 무거운 삶이었다. 그 밭담들 사이로 백년은 더 살았을 듯한 '멀구슬 나무'가 힘이 겨운 듯 허리를 잔뜩 구부
▲ 주요항만의 컨테이너 야적장, 선적과 하역, 운송장면. 제주도는 홍콩을 꿈꾸면서 제주특별법 제2조는 '사람.상품.자본'의 국제적 이동이 최대한 보장되는 '국제자유도시'라 하여 세계적으로 유래를 찾을 수 없는 독특한 도시를 정의하였다. 제주국제자유도시 미래전략 수립 용역보고서는 '신항만 배후부지 내 항만배후물류단지'를 조성하고 '종합물류센터'를 직접 건립하여 운영하겠다고 한다. 그러나 이 용역은 제주의 배후시장에 대한 디테일(detail)을 검토하지 못한 것 같다. 국제자유도시 정책입안자들은 영화에서 홍콩에 드나드는 대형 컨테이너 무역선들의 모습을 그렸을 듯하다. 그러나 홍콩의 물류는 거대한 중국의 배후시장에 의존하며, 그나마도 물류의 중심은 상해와 심천, 광저우와 천진 등으로 이동하여 버렸다. 우리나라 부산항은 전세계 6위이며, 홍콩은 8위로 내려앉았다. 2019년 제주 지역 전체의 항만 운송량은 2026만3148톤으로 부산항의 2억2691만3602톤에 비하여 9% 정도이다. 외항선 기준으로는 제주지역 항만이 1만7022톤이며, 부산항은 2억1724만3942톤에 비하여
숲길은 한적하고 아직 억새들은 바싹 말라 황량하지만 새 풀이 돋아나면서 봄이 더 가까워 졌다. 두꺼운 등산화를 신었지만 구름 위를 걷는 것처럼 촉감이 상쾌하다. 곶자왈이나 올레길, 오름을 걸을 때와는 다른 기분이다. 아스팔트나 보도블럭, 주차된 차량들 사이를 비집어 걸어야 하는 도시 사람에게 부드러운 흙을 밟고 풀잎 냄새를 맡으며 부드럽게 걸을 수 있는 기회를 만난 것은 특별한 축복이다. 조용하고 평화로운 숲길을 걸어가다가 붉게 물들며 시들어 가는 소나무들이 다가왔다. 몇 년 전부터 제주의 산야를 휩쓸어 버린 소나무 재선충 전염병이 아직도 진압이 다되질 않은 모양이다. 가까운 밭에서 콜라비 수확 작업 중인 젊은 농민에게 안타까운 심정으로 말을 붙여보았다. 농민은 “신 군수님이 셔시믄 이런 일 어서실 꺼우다!”라며 언성이 높아졌다. 돌아가신 신철주 군수님이 계셨으면 이런 자연재난은 미리 막았을 거라고 확신한단다. 뛰어난 지도자가 없어서 자연재난을 막지 못한 아쉬운 결과로 오래도록 이어지고 있단다. “책상에 아장 인터넷이나 두닥두닥 허당....밥 먹어지믄 몇 글자 찍어 보당....인사철 되민 자리 다툼이나 허멍
▲ 면세점. 법률이 개정되려면 '개정이유와 근거, 신구조문 비교 등'이 자세히 설명되어야 한다. 이번에 공개된 제주특별법 전부개정안은 특별자치를 내세웠을 뿐, 각각 변경되는 수십개의 조문의 개정이유와 근거, 신구조문 비교 등에 대한 설명도 없다. '도민들은 알아서 공부해라!'라는 뜻이라면 단추가 잘못 꿰어졌다. 전 제주도 고위 공무원은 제주특별법 개정 공청회마다 "제주도 전 지역을 관세자유지역으로 지정하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주장을 반영하였는지 제주특별법 개정안 279조는 '지정면세점'을 '제주자치도 내에서'라고 변경하여 '물품을 구입하여 대한민국의 다른 지역으로 반출하는 경우'에 관세 등을 면제하거나 환급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현행 '지정면세점(내국인면세점)'의 면세 또는 환급규정을 '도내 전 지역'으로 확대하겠다는 의미로 보아진다. 제279조(제주자치도 여행객에 대한 관세 등의 면제 또는 환급) ① 제주자치도 여행객이 제주자치도 내에서 물품을 구입하여 대한민국의 다른 지
▲ 동백꽃. 나즈막한 언덕 양지 바른 숲 사이로 동백나무의 빨간 꽃 한송이가 눈에 들어왔다. 가시덤불을 뚫고 솟아오르려 몸부림치는 이 동백은 잠시 화려하게 피었던 한송이가 시들어가며 곧 떨어질 듯이 위태롭고 다른 꽃송이들이 곧 피어날 준비를 하는 중이다. 도시에서 많이 보던 개량종이 아니라 이 숲속에서 나고 자란 야생동백이다. 동백은 사연이 많다. 제주의 근대사에 큰 아픔을 간직한 채 살아가는 농민들은 매해마다 동백꽃이 떨어지는 계절이 다시 오면 가슴이 쓰려오고, 큰 상처가 다시 돋아나기도 한다. 아파도 너무 오래 아프다. 겨울에 꽃을 피워 붙여진 이름이 동백(冬柏)이다. 다른 나무와 꽃들은 모두 낙엽이 지고 겨울잠을 자는 사이에 동백은 홀연히 꽃을 피운다. 북풍 한설이 몰아치는 겨울에도 붉은 꽃은 하나둘씩 피어나다가 봄이 끝자락에는 한꺼번에 화려하게 피어난다. 동백은 항상 윤기가 흐르는 푸른 잎을 배경으로 삼아 붉고 화려한 꽃잎과 꽃가루를 만드는 노란 수술과 꽃밥을 자랑한다. 그러다가 동백꽃은 가지에 매달려 시들어 가면서 화려하였던 시절의 미련을 버리지 못한 모습으로 툭 떨어져 버린다. 한 송이씩 떨어지는 모습이 처연하여 슬프
제주특별자치도 의회가 마련한 제주특별법 전면개정안 제390조(풍력자원개발대금의 부과ㆍ징수 등) 제3항은 '풍력자원개발대금 및 부가금의 산정방법ㆍ부과절차ㆍ징수절차ㆍ감면 등에 관한 사항은 도조례'로 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헌법 제59조 조세법률주의 위반 그러나 헌법 제59조는 '조세의 종목과 세율은 법률로 정한다'는 조세법률주의 원칙에 따라 모든 조세는 반드시 국회가 정한 형식적 '법률'로 조세의 종목과 세율을 명시하여야 하고, 조례에 위임할 수 없다. 조세는 국세와 지방세 뿐 만이 아니라 부담금이나 기여금과 같이 명칭 여부를 불문하고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법령에 의하여 부과되는 모든 재정상 부담이 포함된다. 조세법률주의는 '법률'에 비하여 제정이 쉬운 '하위 법령'을 자의적으로 제정하여 함부로 국민의 권리를 제한하거나 의무를 부과하고, 벌칙을 부과하여 국민의 기본권을 과도하게 침해하는 것을 막고자 하는 헌법의 기본원칙이다. 이 원칙은 헌법상 법률유보의 원칙으로 다시 강조되며,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하려면 반드시 국회가 제정하는 '법률'에 명시되어야 하며,
▲ 송악나무. 다른 나무들은 하늘을 향해 쑥쑥 자라며 기지개를 켜듯이 가지를 뻗어가며 다른 나무 가지들을 밀어내면서 힘자랑을 하기도 한다. 그런데 송악나무는 시골의 돌담에 붙어 살아야 하는 운명이다. 뿌리와 가지들은 돌담에 얽히면서 한 몸처럼 자라난다. 송악나무 잎은 돌담 위에서 사철 무성하게 자라면서 오랜 세월을 소의 훌륭한 먹이가 되어왔다. 그래서 제주 방언으로는 '소왁낭'이나 '소밥나무'라고 불려 지게 되었다 한다. 농부들은 밭에서 일을 끝내고 날이 어두워지면서 소들을 몰고 집으로 올 때 소들의 고개는 싱싱한 송악나무 잎으로 쏠리며 군침을 흘렸는데도 야박하게 고삐를 죄어 재촉했었다. 그래도 농부들은 힘든 밭 일이 끝나면 소의 식욕을 돋구어 주기 위해서 송악나무 잎을 한 짐 베어다가 특별한 식단을 만들어 주었다. 소들은 허겁지겁 먹어치웠다. 소의 먹이로 쓰여졌던 송악나무는 지금은 돌담이 안보일 정도로 무성해지고 있지만, 가공 사료가 대량으로 공급되면서 관심이 멀어져 버렸다. 송악나무 열매는 5월이 되면 까맣게 익어 갈 것이다. 누가 알아주지는 못할망정 할 일은 한다. 신선한 바람을 타고 새로이 돋
제주국제자유도시 미래전략용역은 제주도의 신교통수단으로 트램(tram)을 제시하면서, 트램 노선은 ① 도심 내 교통 원활화를 위한 '도심형' ② 주요거점 연계를 위한 '거점 연계형', 그리고 ③ 관광상품화를 위한 '해안일주형'을 구상하고 있다. 트램은 도시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도시교통권역에서 건설 운영하는 철도, 모노레일, 노면전차, 선형유도전동기, 자기부상열차 등 궤도에 의한 교통수단의 하나이다. 유럽과 미주에서는 트램, 경전철, 모노레일, 케이블카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된다. 오래 전부터 있어왔던 마차(馬車)와 시가전차(市街電車)는 1차원이고, 현재의 트램은 2차원으로 전세계 380여개 도시에서 대중교통수단으로 인식되고 일부는 관광수단으로 운행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16개 도시에서 총연장 224km의 트램을 경쟁적으로 추진 중이며, 이미 기술적인 문제와 재정 파탄을 경험한 바 있다. 대전시에서는 36km의 트램 로선 건설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처음에는 '고가도로형 자기부상열차' 방식으로 추진하다가 주민들의 민원이 제기되어 9년 만에 트램으로 바꾸어 추진하고 있다. 애
▲ 호랑가시나무. 다른 지방에서 호랑가시나무는 햇빛이 잘 들고 토심이 깊어 양분이 풍부한 비옥한 토지에서 잘 자란다. 이에 비하여 제주도의 호랑가시나무는 튼튼한 암반 사이로 뿌리를 내리면서 강한 생명력으로 어떠한 폭풍이나 눈보라가 치더라도 견디어 내면서 자란다. 제주도의 암반은 시멘트 콘크리트 바닥이나 다름이 없다. 흙 한줌도 보기 힘들고 양분도 없는 커다란 돌 덩어리 위에서 금방 흘러 내려 한 모금 남는 빗물에 의지하면서 자라나는 이 나무는 조상들의 강인함을 이어받은 듯하다. 그런데도 겨울에 하얀 눈이 쌓여 내려앉을 때에는 항상 빛나는 푸른 잎과 속이 알찬 빨간 열매는 도드라진다. 찬바람이 불 때에는 새들에게는 피난처가 되기도 하고, 늦은 가을에 맺는 빨간 열매는 겨울을 견디고 이듬해 봄날까지 버티면서 새들에게 먹이가 되기도 하지만 한 치도 흐트러짐이 없다. 나뭇잎의 가시가 호랑이 발톱과 같이 억세다고 하여 붙여진 '호랑가시나무'라고 이름과 '가정의 행복'이라는 꽃말을 가진 이 나무는 자신은 한 톨의 영양분을 공급받지 못하면서도 빨간 열매를 알차게 키워낸다. 자신을 희생하며 가정의 행복을 지켜낸 이
▲ ‘제주특별법 제도개선 과제’를 심의 확정하고 있는 제주특별자치도 지원위원회. 2022년 1월 시행되는 지방자치법 제4조는 '따로 법률로 정하는 바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선임방법과 기관구성 형태를 달리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지금과는 다른 의원내각제(기관통합형) 형태의 지방자치를 추진하려는 모양이다. 이 규정은 원래 제주특별법 제8조에 규정되면서 제주도에만 큰 혜택을 받은 것처럼 자랑삼아 왔다. 그러나 '이 법'으로 하던지 '저 법'으로 하던지 '다른 법률'이 없으면 아무런 효력이 없다. 그런데도 다른 지방자치단체에 비하여 차별성을 상실하였다면서 호들갑을 떨고 있다. 조삼모사(朝三暮四)가 따로 없다. 송(宋)나라 때 원숭이를 많이 기르는 저공(狙公) 이라는 사람이 식량이 떨어지자 “도토리를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를 주겠다” 고 말했다. 이에 원숭이들이 화를 내자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를 준다고 말을 바꾸자 행복해 했다는 얘기다. 관변학자들은 선진국이라면서 대충 둘러보고 가는
코로나로 전세계는 물론이고 제주에서도 어려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수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당하고 있지만 언제 끝날지도 모르는 어두운 터널을 지나고 있다. 조시중 제이누리 논설위원은 독자들에게 잠시나마 위안을 주기 위하여 제주도 구석구석에 숲길을 걸어가며 자연과의 대화를 통해 얻은 소재를 글로 옮긴다. 주요 소재는 사람들 발길이 드문 숲속에서 자생하고 있는 야생나무와 열매들이다. 자연을 있는 그대로 사진에 담기도 하고, 열매를 먹어보기도 하며 그 맛을 느껴보기도 한다. 농민들과 대화를 나눠보기도 하고, 조상들이 살아왔던 흔적을 찾아보기도 하고, 농작물들이 자라는 모습을 관찰하기도 한다. 풍부한 자연 생태계의 고마움에 감사하는 마음을 다시 새겨보기도 하는 생각이다. 학명이나 원산지 같이 어려운 내용은 전문가들의 몫이고 아름다움을 찬미하는 것은 시인의 몫이다. 이 영역을 넘어서기에는 과분하다. 대신에 이 글은 보통 사람이 느끼는 감정을 적은 이야기이므로 그저 신변잡기처럼 가벼이 읽어도 될 일이다. [편집자 주] ▲ 보리밥 나무. 또 한 해의 겨울이 지나간다. 봄이 가까워 오면서 보리 싹이 푸릇푸릇 해
제이누리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지방행정 현장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정책의 문제점에 대하여 진단하고 그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특별자치도라면 적어도 다른 지방자치단체에 비하여 그 역량이 뛰어나야 됩니다. 그러나 아직도 전근대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는 분야가 있다면 시급하게 개선이 되어야 합니다. 그러한 점에서 특별자치도의 정책을 진단하고자 합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편집자 주] ① 환경부의 권고를 묻어버린 조례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8조는 '주거 밀집지역으로 생활환경의 보호가 필요한 지역'에 대하여 각각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가축사육을 제한하여 주거밀집지역의 생활환경을 보호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2011년 '가축사육제한구역 지정기준 권고안'은 생활환경의 보호가 필요한 '주거밀집지역'을 '가구의 최소단위를 5호 내지 10호 기준'으로 정하도록 지방자치단체에 권고한 바 있다. 이 권고에 따라 전국의 기초자치단체 조례는 '주거밀집지역'을 5호 또는 10호로 정의하고 이 경계로부터 각각 몇 백미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