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 녹산장 [사진=한국학중앙연구원- 향토문화전자대전] 비행장의 위치 그렇다면 교래리 비밀비행장의 위치는 어디일까? 지역 주민 사이에서 일제강점기에 일본 군인들이 뭔가를 만들어 놓았다고 소곤대는 곳이 있었다. 지리적으로 비행장이 들어설 수 있을 만큼 평평한 지형도 한군데 밖에 없었다. 지역 주민이 지목한 장소도 대부분 거기였다. 그곳은 녹산장(鹿山場) 터였다. 녹산장은 ‘광활한 개활지’란 지형적 확증과 별개로 또 다른 직접 증거를 가지고 있었다. 그것은 대록산 동굴 진지였다. 대록산에서 50m 길이의 갱도가 발견되었다. 갱도 중간 지점에는 산 정상과 연결되는 수직갱도가 뚫려 있었다. 수직갱도를 따라 오르다 보면 대록산 정상이 나온다. 그곳에서 내려다보면 탁 터진 일대가 한눈에 잡혀왔다. 정황상으로 대록산은 비밀비행장을 경비하는 병력이 배치된 요새일 가능성이 컸다. 육군서비행장이 도두봉에, 동비행장은 원당봉에 방어 기지를 두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였다. 그곳은 현재 대한항공에서 운영하는 훈련비행장이었다. 표선면 녹산로 주변 제동목장 터에 설치된 훈련비행장이었다. 비행장 뒤편에는 대록
▲ 일제가 태평양전쟁 당시 소위 가미카제호로 불리는 자폭용 비행기를 숨겨놓기 위해 만든 격납고. 바다의 천둥, 나는 제비 교래리 비밀비행장은 가미카제 전용 특공기지였다. 가미카제는 일본인들이 오래전부터 호국의 바람이라 믿었던 신풍(神風)에서 비롯된 이름이었다. 일제는 무엇보다 가미카제용 비행장이 필요했다. 1945년 7월, 교래리 비밀비행장이 완공되자 육해군 모두에게 비밀 지령이 하달된다. 미군이 제주도에 상륙하면 비행기로 자살특공을 펼치라는 내용이었다. 또다시 일본 육군과 해군간의 불꽃 튀는 경쟁이 시작되었다. 먼저 불을 지핀 쪽은 해군이었다. 일본 해군은 자살특공부대로 신요(震洋)와 카이텐(回天) 기지를 건설했다. 신요는 폭탄을 장착한 자폭용 소형 보트였고, 카이텐은 미사일 모양으로 생긴 1인용 인간어뢰였다. 어뢰 속에서 잠망경으로 바다 위 적함을 확인하고 전속력으로 달려가 부딪치도록 설계되었다. 1.55톤의 화약이 탑재된 카이텐은 한번 발사하면 그대로 죽을 수밖에 없는 시스템이었다. 탄두가 불발해도 수압 때문에 안에서 문을 열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서귀포 삼매봉․성산포 일출봉․고산 수월봉 해안에는 신
새 연재를 시작합니다. 조중연 작가의 소설 '욕망의 섬, 에리시크톤의 반격' 입니다. 일찌감치 제주의 역사성과 자연의 가치, 문화를 현미경처럼 들여다보던 조 작가의 소설은 제주가 가진 정체성에 대해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새로운 질문을 던집니다. 소설은 역사적 자료와 학술논문.서적을 두루 살펴 논픽션이 가미된 제주사를 다시 픽션의 영역으로 풀어냅니다. 반듯한 사실이 주류지만 때론 작가의 상상과 추리.추정이 가미돼 등장인물과 사실이 다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소설의 취지는 개발과 파괴로 도륙의 길을 걷고 있는 제주를 재발견하자는 취지입니다. 아울러 소설은 계간 『제주작가』 2020년 봄호에 발표된 작품으로 저자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편집자 주] ▲ 교래리 비행장. [사진=디지털제주시문화대전] 거문오름 사령부 한편 제주도 동부 산간지역에서 수상한 병력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었다. 육군서비행장이 완공된 후 진드르비행장에 파견되었던 제12공병대가 공사를 중지하고 원대 복귀를 했다. 그러나 그 예하 작업대는 밤 사이에 어디론가 이동했다. 비밀스러운 움직임이었다. 구좌 평대에 주둔하던 108여단
새 연재를 시작합니다. 조중연 작가의 소설 '욕망의 섬, 에리시크톤의 반격' 입니다. 일찌감치 제주의 역사성과 자연의 가치, 문화를 현미경처럼 들여다보던 조 작가의 소설은 제주가 가진 정체성에 대해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새로운 질문을 던집니다. 소설은 역사적 자료와 학술논문.서적을 두루 살펴 논픽션이 가미된 제주사를 다시 픽션의 영역으로 풀어냅니다. 반듯한 사실이 주류지만 때론 작가의 상상과 추리.추정이 가미돼 등장인물과 사실이 다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소설의 취지는 개발과 파괴로 도륙의 길을 걷고 있는 제주를 재발견하자는 취지입니다. 아울러 소설은 계간 『제주작가』 2020년 봄호에 발표된 작품으로 저자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편집자 주] 일본 육군과 해군의 경쟁 일본 육군은 58군사령부와 주력병력으로 2개 사단, 1개 혼성여단, 기타 예하부대를 배치했다. 기동병단으로 한반도에 제121사단을 대기시키고 포병과 전차부대를 중국과 만주에서 이동, 58군 산하로 배속시켰다. 주진지대인 제주도 서부지역에는 관동군 제111사단과 제121사단이 배치되었다. 또 제2선의 공격준비진지대인 중앙부에는 신설된
새 연재를 시작합니다. 조중연 작가의 소설 '욕망의 섬, 에리시크톤의 반격' 입니다. 일찌감치 제주의 역사성과 자연의 가치, 문화를 현미경처럼 들여다보던 조 작가의 소설은 제주가 가진 정체성에 대해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새로운 질문을 던집니다. 소설은 역사적 자료와 학술논문.서적을 두루 살펴 논픽션이 가미된 제주사를 다시 픽션의 영역으로 풀어냅니다. 반듯한 사실이 주류지만 때론 작가의 상상과 추리.추정이 가미돼 등장인물과 사실이 다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소설의 취지는 개발과 파괴로 도륙의 길을 걷고 있는 제주를 재발견하자는 취지입니다. 아울러 소설은 계간 『제주작가』 2020년 봄호에 발표된 작품으로 저자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편집자 주] 결7호작전 1944년 7월, 사이판이 함락되자 일본 본토가 적의 공습 가시권에 들어가면서 미군의 본토 상륙에 대한 대응은 초미의 관심사가 되었다. 일제는 미군의 상륙 방향을 두 경로로 예측했다. 하나는 사이판과 괌에서 일본 동남부의 오가사와라 제도를 거쳐 태평양을 거슬러 도쿄를 직접 타격하는 경로였다. 또 하나는 필리핀에서 오키나와 열도를 거쳐 서남부 규슈로 상륙하는 루트였다. 규슈 경로가 채
새 연재를 시작합니다. 조중연 작가의 소설 '욕망의 섬, 에리시크톤의 반격' 입니다. 일찌감치 제주의 역사성과 자연의 가치, 문화를 현미경처럼 들여다보던 조 작가의 소설은 제주가 가진 정체성에 대해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새로운 질문을 던집니다. 소설은 역사적 자료와 학술논문.서적을 두루 살펴 논픽션이 가미된 제주사를 다시 픽션의 영역으로 풀어냅니다. 반듯한 사실이 주류지만 때론 작가의 상상과 추리.추정이 가미돼 등장인물과 사실이 다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소설의 취지는 개발과 파괴로 도륙의 길을 걷고 있는 제주를 재발견하자는 취지입니다. 아울러 소설은 계간 『제주작가』 2020년 봄호에 발표된 작품으로 저자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편집자 주] 제주도의 전략적 위치 제주도는 동북아시아의 중앙부에 위치함으로써 예로부터 전략적 요충지로 주목받았다. 동북아시아 지도의 위아래를 바꿔보면, 중국, 일본, 한반도 사이에 제주도가 알박기하듯 들어앉아 있다. 이는 역사적 사건을 거슬러 올라가보면 보다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다. 13세기 몽골족이 세운 원(元)은 제주도를 100년 가까이 지배하면서 일본과 남송(南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