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누리>가 새 봄을 맞아 또 새로운 연재물을 선보입니다. ‘현봉준의 제주들꽃 이야기’입니다. 오랜 세월 미국·일본·러시아 등지를 경험했고, 외지 생활을 하다 제주로 귀향한 현봉준 작가의 시선은 다릅니다. 다시 만난 고향 제주의 자연을 그만의 시선으로 다시 한번 찬찬히 훑습니다. 제주섬땅에서 만나는 들꽃들의 연가가 올 한해 여러분과 주말을 찾아갑니다. / 편집자 주 지난주말에 어리목코스로 윗세오름을 등반하면서 담은 봄꽃 4가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1. 설앵초 한라산 1,600고지에 지천에 깔린 설앵초.. 설앵초는 돌과 이끼가 있고 습기가 많은 높은 산에서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꽃은 엷은 자주색으로, 뿌리에서 자란 긴 꽃줄기 끝에 앵두꽃처럼 생긴 꽃들이 우산 모양으로 달립니다. 꽃말은 "행운의 열쇠"라고 하네요.(사진1~3번째) 2. 세바람꽃 (이명 : 세송이바람꽃) 한라산 어리목코스로 윗세오름을 등반하다가 1,400고지에서 처음으로 알현한 바람꽃... 꽃이 세번 핀다고 하여 세바람꽃이라고 하며, 또한 꽃이 줄기마다 세송이씩 핀다고 하여 세송이바람꽃이라고도 합니다. 이 꽃은
<제이누리>가 새 봄을 맞아 또 새로운 연재물을 선보입니다. ‘현봉준의 제주들꽃 이야기’입니다. 오랜 세월 미국·일본·러시아 등지를 경험했고, 외지 생활을 하다 제주로 귀향한 현봉준 작가의 시선은 다릅니다. 다시 만난 고향 제주의 자연을 그만의 시선으로 다시 한번 찬찬히 훑습니다. 제주섬땅에서 만나는 들꽃들의 연가가 올 한해 여러분과 주말을 찾아갑니다. / 편집자 주 이명으로는 깔깔이풀, 마비, 반디개지치, 억센털개지치, 자목초라고도 불립니다. 반디지치란 일본명의 번역이며 꽃을 반딧불이의 불빛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여기서 어미 지치는 지치과 식물이라는 뜻이 됩니다. 일본에서도 반디지치를 '반딧불이풀'이라 합니다. 반디지치의 꽃말이 '희생'입니다. 반디지치의 꽃잎을 보면 조금씩 뜯겨나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풀섶에서 쉽게 드러내지 않는 꽃이지만 아마도 곤충들에 의해 뜯겨진 것일 겁니다. 자신의 한결같은 꿈인 후손을 이어가기 위해 기꺼이 꽃잎을 내주는 듯합니다. 조그만 희생이 더 큰 것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초록이 한창인 시기인지라 물감을 풀어 놓은 듯 푸르디푸른 파란색
<제이누리>가 새 봄을 맞아 또 새로운 연재물을 선보입니다. ‘현봉준의 제주들꽃 이야기’입니다. 오랜 세월 미국·일본·러시아 등지를 경험했고, 외지 생활을 하다 제주로 귀향한 현봉준 작가의 시선은 다릅니다. 다시 만난 고향 제주의 자연을 그만의 시선으로 다시 한번 찬찬히 훑습니다. 제주섬땅에서 만나는 들꽃들의 연가가 올 한해 여러분과 주말을 찾아갑니다. / 편집자 주 꿩의바람꽃은 학명이 Anemone raddeana Regel이듯 아네모네속에 속합니다. 아네모네는 그리스어의 anemos (바람)가 어원으로 숲 속 양지바른 곳이지만 바람 부는 곳을 좋아합니다. 식물이름에 "꿩"이라는 단어가 붙는 것은 황량하고 조금 거칠면서 사람으로부터 떨어진 외진 곳에 산다는 의미를 갖는다고 합니다.. 꿩의바람꽃에 대한 여러 유래가 있다는데.. 1. 꽃받침이 활짝핀 모습이 꿩의 발자국과 닮았다는 설.. 2. 줄기가 올라오는 모습이 꿩의 다리와 비슷하다는 설.. 3. 꽃이 돋아날때 모습이 마치 꿩이 모이를 쪼고 있거나 앉아 있는 모습과 닮아 붙여졌다는 설.. 4. 이꽃이 피면 꿩들이 발정기가 시작된다는
<제이누리>가 새 봄을 맞아 또 새로운 연재물을 선보입니다. ‘현봉준의 제주들꽃 이야기’입니다. 오랜 세월 미국·일본·러시아 등지를 경험했고, 외지 생활을 하다 제주로 귀향한 현봉준 작가의 시선은 다릅니다. 다시 만난 고향 제주의 자연을 그만의 시선으로 다시 한번 찬찬히 훑습니다. 제주섬땅에서 만나는 들꽃들의 연가가 올 한해 여러분과 주말을 찾아갑니다. / 편집자 주 봄이 오면 제일 먼저 봄소식을 알려오는 이름하여 봄의 전령사가 있습니다. 바로 복수초입니다. 복수초는 2월부터 꽃이 피기 시작하여 4월까지 꽃이 핍니다. 복수초를 부르는 이름이 여럿 있습니다. 설날에 핀다고 원일초(元日草), 눈 속에 피는 연꽃 같다고 설연화(雪蓮花), 꽃이 황금색 잔처럼 생겼다고 측금잔화(側金盞花)라고 부릅니다. 일본에서는 복을 많이 받고 오래 살라는 뜻을 담아 이 꽃을 선물했답니다. 그래서 복수초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복수초의 노란 꽃은 햇빛의 복사열을 받아 주변보다 온도가 높습니다. 주변이 영하 1~2도 일 때에도 복수초 꽃봉오리 안의 온도는 영상 5~6도 정도로 높다고 합니다. 그래서 주변에 눈이 쌓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