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의장은 4일 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한나라당을 겨냥해 "1%만을 위한 정당에게 정권을 맡겨서는 안된다"며 " 4·11총선을 통해 MB정권을 심판하겠다"고 출마의 변을 밝혔다.
문 의장은 “지난 5년이 넘는 시간 동안 삶의 중심이었던 도의회 의사당을 떠나고자 한다”며 “도의회 의장이라는 역할을 끝까지 마무리하지 못해 도민들에게 죄송하다”고 말했다.
문 의장은 “MB정부 4년 동안 호언장담했던 '경제 살리기'는 '경제 죽이기'가 됐다”며 “국민 위에 군림하고 국민의 입과 귀를 틀어막으며 피땀으로 일궈온 민주주의를 후퇴시켰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릇된 것을 깨뜨려 없애고 바른 것을 드러낸다는 뜻의 ‘파사현정’의 마음가짐으로 당당하고 바른 길을 가려고 한다”며 “새로운 시대의 개척자가 되겠다. 역동하는 시대에 당당하게 맞서겠다”고 밝혔다.
그는 “올바른 길이라면 좌고우면 하지 않았다. 일관되게 진심의 자세로 일해 왔다”며 “열정과 뚝심으로 살아왔다고 자부한다”고 말하며 세 가지 공약을 제시했다.
문 의장은 “첫째 풀뿌리 자치권 확보를 위해 열심히 뛰겠다. 제주만 16개 시.도가운데 기초자치권이 없는 상황”이라며 “기초자치권 문제도 특별자치도 정신에 맞게 지역 주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국회에서 제도를 고치겠다”고 다짐했다.
그러면서 “제주도 차원에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것과 병행해 기초자치권 확보라는 큰 기조 아래 관련 입법 활동을 진행하겠다”며 “열악한 자치재정과 풀뿌리 자치권한 확보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해군기지 추진과정에서 적법절차의 원칙과 주민동의의 원칙, 그리고 유사 국책사업과의 형평성에 문제가 있다는 점을 주장하고 대응해 왔다”며 “이런 원칙을 견지 하면서 제주해군기지 문제가 제주도의 입장에서 명분과 실리를 얻을 수 있도록 국회차원에서 매듭짓겠다”고 강조했다.
또 “지역 경제 희생을 통해 농업 등 1차 산업이 제주의 미래가 될 수 있게 하겠다”며 “감귤산업에 대한 국가지원을 이끌어 내 홀대받는 밭작물정책이 아니라 균형 잡힌 정책으로 전환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소득보전 직불제 전면 실시 등 농가의 기본소득이 보장될 수 있도록 제도를 혁신 하겠다”며 “지속가능한 농어촌 경제를 통해 떠나는 농어촌이 아니라 지역공동체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문 의장은 "지방의회 의원으로서 의회 수장으로 활동하면서 굵직한 지역현안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말뿐이 아닌 실천하는 정치인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며 "정부와의 협상과 토론을 통해 실천하는 모습이 필요한 정치인이 되겠다"며 총선 출마 배경을 피력했다.
그는 해군기지 문제와 관련해 "해군기지는 조건부 수용이었다. 국책사업이 가져야할 적법절차의 원칙, 주민동의의 원칙, 유사국책사업의 형평성 문제가 어긋났다"며 "평택 기지가 들어설 때는 주민설명회를 167차례나 가졌다. 그러나 제주도는 단 한 번의 주민설명회 조차 없었다"고 말하며 "해군기지는 대도민 사기극으로 당장 중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 의장은 5일 서귀포시 선거구 민주통합당 예비후보 등록과 함께 본격적인 선거전에 뛰어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