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총선에 출마하는 현경대 후보(새누리당·제주시 갑)가 제주도를 동북아의 금융 허브로 육성하기 위한 '동북아개발은행(NEADB)' 설립을 공약했다.
현경대 후보는 27일 오전 10시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정책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제주도에 국제기구인 동북아개발은행을 설립해 제주도를 동북아의 금융 허브로 육성시켜 명실상부한 국제자유도시를 완성시키겠다"고 말했다.
동북아시아는 중국과 시베리아와 같은 거대한 개도국이 위차하고 있어 현존 IBRD(국제부흥개발은행), ADB(아시아개발은행)의 재력만으로 동북아의 막대한 자금수요를 충족할 수 없는 상황이다.
현 후보는 "국제금융시장에서 투자할 곳을 찾는 다양한 재원을 끌어들여 동북아 개발에 투자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동북아개발은행이 될 것"이라며 "지난 2006년 9월 박근혜 새누리당 비대위원장이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한다면 동북아개발은행을 설립해 북한의 경제개발을 지원해야한다'고 높은 관심을 표명한바 있다"고 말했다.
현 후보는 이어 "많은 관심 속에서 오랜 기간 논의 되어온 동북아개발은행의 설립에 한국.중국.일본.러시아.몽고.북한.미국.EU 등 자본조달국으로 참가할 수 있도록 외교적 인맥을 최대한 활용해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현 후보는 동북아개발은행의 모델을 마닐라에 있는 ADB(아시아개발은행)으로 삼았다.
ADB의 경우 67개국(역내 48개국, 역외 19개국)이 참가하고 있으며 약 2800여명이 근무하고 있다.
동북아개발은행 설립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는 ▲동북아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는 세계 평화의 섬 실현 ▲제주 산업구조 선진화 및 경제성장 견인 ▲고급인력 대량 유입 및 경제 활성화 ▲고급 일자리 창출 및 IT 등 산업 발전 ▲서비스산업과 첨단지식기반 산업 구축 ▲MICE산업 발전 ▲투자유치 기여 △교육·문화 수준 향상 ▲경제적 위상 제고 ▲국내 금융시장 교란 최소화 ▲서울 특화 금융허브와 시너지 효과 극대화 등을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