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서귀포시 강정마을 강정포구 서방파제에서 십자가의 길 예식을 하던 문정현 신부가 테트라포드 아래로 추락해 부상을 입는 사고와 관련해 "경찰당국의 책임 있는 사과와 재발방지 약속, 제주에 입도한 육지 경찰의 철수"를 요구하고 나섰다.
천주교 제주교구 평화의 섬 특별위원회와 제주 평화의 섬 실현을 위한 천주교연대는 13일 오전 11시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제주 해군기지 건설 전면 백지화와 폭력적 공권력 집행 중단"을 촉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김병산 모시뇰·함세웅·안충석·황상근 신부 등 한국 천주교의 원로사제들과 제주교구사제, 수도자 50여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이번 사고는 경찰의 불법적이고 폭력적인 행태가 만든 극단적 참사"라며 "그동안 경찰과 해경은 해군기지 공사 방해를 사전예방 한다며 공사 예정지가 아닌 장소들까지 불법적이고 폭력적으로 출입을 봉쇄하며 공권력을 남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강정마을에 상주하고 있는 경찰들은 해군기지 공사 예정지로 부터 거리가 상당히 떨어져 있는 강정포구에 이르는 육지 길과 뱃길까지 수시로 봉쇄하고 공사를 돕고 있다"며 "공사장 차량을 소통시킨다는 빌미로 사전 통보 없이 인근 도로를 수시로 통제해 이곳을 이용하는 지역주민과 여행자들에게까지 피해를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특히 "문정현 신부 추락 이후 해경의 보여 준 태도"라며 "문 신부의 생명이 위태로운 상황에도 해경은 안전한 구조보다 사고와 관련된 경찰관을 감싸고 보호하는 데에만 급급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심지어 지금까지도 일말의 사과는 커녕 문정현 신부가 해경을 밀치려 하다 중심을 잃고 떨어졌다는 식으로 사실 관계마저 왜곡하고 은폐하는데 열중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들은 "강정에서 자행되는 경찰의 불법적 공권력 행사와 인권유린은 이미 상습적"이라며 "4월 1일에는 송강호 박사를 연행하면서 심각한 폭행을 자행했다. 목과 열굴에 난 심각한 상처는 육안으로 보기에도 단순한 제압이 아니다"고 비난을 이어갔다.
이들은 이어 "경찰은 오직 해군과 삼성 대림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존재하고 있다"며 "국민의 공복이길 포기한 경찰은 사설경비 용역업체와 무엇이 다른지 경찰 스스로 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국가공권력이 국민을 향해 저지르는 무례와 폭력은 이제 중단돼야 한다"며 "경찰당국의 책임 있는 사과와 재발방지 약속, 제주에 입도하는 육지 경찰들의 강정에서 완전히 철수 할 것"을 요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임문철 신부는 "이 문제는 문정현 신부 개인의 사건이 아니다. 경찰이 강정주민에게 행사하는 불법적인 공권력 행사의 일상"이라며 "문 신부는 이름이 알려졌기 때문에 이 정도에 그친 것이다. 강정주민들은 인권을 유린당하고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