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제주도 세계유산본부, 5년간 모니터링 결과 개체수도 감소 ... 북방계 나비 멸종위기 처할 수도

한라산에 서식하는 나비들이 더욱 높은 고지대로 이동하면서 서식지와 개체수가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세계유산본부는 최근 5년간 한라산 1300m 이상 고지대에서 나비의 서식상황을 모니터링 한 결과, 멸종위기종인 산굴뚝나비 등 30여 종의 서식지와 개체수 변화가 일어났다고 3일 밝혔다.

 

한라산 영실지역부터 백록담 일대까지 해발고도별 조사에 따르면 저지대의 따스한 지역에 서식하는 남방계 나비인 굴뚝나비, 배추흰나비, 소철꼬리부전나비 등이 해발 1700m 윗세오름 지역을 중심으로 고지대에서 새롭게 관찰됐다.

 

이에 반해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는 북방계 나비인 산굴뚝나비는 예전에 비해 200m 정도 높은 해발 1700m 이상 지역으로 서식지를 옮긴 것으로 확인됐다. 산굴뚝나비가 기후가 더 서늘한 높은 지역으로 서식지를 옮긴 것이다.

 

산굴뚝나비 개체수도 2019년에 비해 지난해에는 30%가량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산굴뚝나비는 한라산을 대표하는 깃대종으로, 국내에서는 한라산에만 서식하는 종이다. 2005년 천연기념물 제458호와 2012년 멸종위기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됐다.

 

나비는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기후변화 지표종으로 활용된다. 이 때문에 세계유산본부는 세계적인 지구온난화 현상으로 한라산의 환경이 달라지면서 한라산에 서식하는 나비군집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했다.

 

또 세계유산본부는 한라산 고산지역에 적응해 살아온 북방계 나비가 환경변화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멸종위기에 처할 수도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고정군 세계유산본부 한라산연구부장은 “한라산 고지대에는 백록담을 중심으로 깃대종인 산굴뚝나비를 비롯해 30여 종의 나비가 서식한다”면서 "수십 년간의 기후변화와 서식지 환경변화로 고지대 나비들의 개체군 변동과 함께 서식지를 더욱 높은 곳으로 옮기는 것으로 나타나 지속적인 관찰과 함께 종 보전연구를 진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제이누리=양은희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