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3.2℃
  • 맑음강릉 26.0℃
  • 맑음서울 21.7℃
  • 맑음대전 23.5℃
  • 맑음대구 21.6℃
  • 맑음울산 23.3℃
  • 맑음광주 21.5℃
  • 맑음부산 20.0℃
  • 맑음고창 21.6℃
  • 구름많음제주 18.8℃
  • 맑음강화 19.7℃
  • 맑음보은 21.5℃
  • 맑음금산 23.8℃
  • 맑음강진군 20.6℃
  • 맑음경주시 24.4℃
  • 맑음거제 2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금자란·비자란 등 야생식물 16종, 산굴뚝나비 등 야생동물 12종 ... 종 다양성 정도 3.5점

 

유네스코 지정 생물권보전지역인 한라산이 다양한 법정보호종의 소중한 보금자리가 되고 있다.

 

5일 제주도 세계유산본부의 '제22호 조사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라산 현지조사에서 야생식물 16종, 야생동물 12종 등 28종의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멸종위기 야생식물은 1급 금자란, 비자란, 암매, 한라솜다리 등 4종과 2급 두잎약난초, 대흥란, 백운란, 석곡, 손바닥난초, 으름난초, 자주땅귀개, 차걸이란, 콩짜개란, 한라옥잠난초, 한라장구채, 참닻꽃 등 12종으로 파악됐다.

 

멸종위기 야생동물은 1급 산굴뚝나비, 비바리뱀 등 2종과 2급 두점박이사슴벌레, 애기뿔소똥구리, 새호리기, 매, 벌매, 독수리, 붉은배새매, 새매, 팔색조, 긴꼬리딱새 등 10종이다.

 

비바리뱀의 경우 국내에는 유일하게 제주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개체 수 또한 매우 적다. 이번 조사중 돈내코탐방로에서 1개체만 확인됐다.

 

이번 현지조사에서 발견되지 않았지만 문헌상으로 한라산에는 검독수리 등 멸종위기 야생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나와있다.

 

이밖에 한라산에는 포획이 금지된 도마뱀, 줄장지뱀, 누룩뱀, 유혈목이, 대륙유혈목이 등도 서식하고 있다.

 

세계유산본부의 이번 조사에서는 한라산 생태계가 건강한 것으로 평가됐다. 종 다양성 정도는 최근 5년간 평균 2.3점보다 1.2점이 높은 3.5점을 기록했다.

 

한라산은 오랜 세월 '민족의 영산'이란 가치와 더불어 4.3사건, 한국전쟁의 아픈 상처를 딛고 1966년 국내 최초로 천연보호구역(제182호)이란 '보전성'을 인정받았다. 그 여세를 몰아 1970년 3월 24일 우리나라에서 7번째 국립공원(면적 133㎢)으로 지정됐다.

 

국립공원 면적은 지정 당시 133㎢에서 1987년에는 149㎢로, 2020년 기준 153.332㎢로 확대돼 제주도 전체면적의 8.3% 이르는 구역이다.

 

한라산국립공원은 한반도 4500종 식물중 절반에 가까운 2000여 종의 식물과 5000여종의 동물이 서식하는 국내생물종의 50% 이상이 자생하는 생태적 가치가 뛰어난 곳이다.

 

또 유네스코가 인정한 세계의 보물로 2002년 12월에 생물권보전지역 지정을 시작으로, 2007년 7월에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됐고, 2009년 10월에 세계지질공원 인증으로 인류가 보존.보호해야할 유산으로 거듭났다. [제이누리=이주영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