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방검찰청은 제주경찰청, 제주해양경찰청, 제주세관, 제주도교육청, 제주시보건소 등 유관기관과 함께 '마약범죄 특별수사본부 제주지역 실무협의체'를 구성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최근 서울 강남 대치동 학원 '마약 음료' 사건 등 각종 마약류 범죄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실무협의체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마약중독 예방교육을 통해 청소년 마약범죄 노출 위험을 줄이고, 온·오프라인상 청소년 대상 마약 공급과 유통 등을 집중적으로 수사한다.
검찰과 경찰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지역 마약류 사범은 모두 124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1년 66명보다 1.8배가량 증가한 수치다.
올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제주지역 마약사범은 벌써 3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4명과 비교해 41.7% 늘었다.
검찰과 경찰은 40대 이상은 대면거래를 통해 마약류를 구입하는 반면, 30대 이하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 온라인 거래를 통해 마약류에 접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필로폰 등 전통적인 마약이나 대마초보다 향정신성의약품 마약류의 확산세가 심각하며, 10대도 마약류 범죄와 연관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 지난해 11월 휴대전화 조건만남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만난 40대 남성과 가출청소년이 제주시 한 모텔에서 9차례에 걸쳐 케타민을 투약하고 대마를 흡입하다 경찰에 붙잡혔다.
또 지난 2월 서귀포시 토평동에서 마약류에 해당하는 향정신성의약품 식욕억제제를 과다 복용하고 경찰차와 승용차 등 차량 6대를 들이받은 혐의로 20대 여성 운전자가 검찰에 넘겨지기도 했다.
검찰 관계자는 "정례적으로 실무협의체 회의를 열고, 회의에서 논의된 마약범죄에 대한 대응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겠다"며 "마약 범죄 의심 사례를 발견하면 즉시 수사기관에 신고 또는 제보해 달라"고 당부했다. [제이누리=양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