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제주도 세계유산본부, 국내 초령목 314개체 확인 학술지 발표 … 기존 조사보다 244개체 증가

 

멸종위기 국가보호식물인 초령목이 제주에서 80% 자생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 세계유산본부는 한국환경생태학회지에 발표한 ‘국내 초령목 개체군의 분포특성과 보전지위평가’ 연구를 통해 국내 초령목이 314개체로 확인됐다고 10일 밝혔다.

 

이 중 흑산도에는 62개체, 제주도에는 252개체(80%)가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조사보다 244개체가 증가된 것이다.

 

초령목 자생지인 제주도는 남원읍과 상효동에 3개의 개체군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성숙목과 어린나무가 상록활엽수림 하부에서 관찰됐다.

 

흑산도의 경우 2001년에 고사한 천연기념물 제369호 흑산도 진리 초령목의 후계목으로 생장해 2세대 성숙목의 종자가 발아한 개체가 확인됐다.

 

초령목 어린나무는 어미목을 중심으로 반경 30m 이내에 34.3%가 자생하고 31~40m 사이에는 25.8%가 자생한다. 반경 60m 이내에 90.1%가 확인됐다.

 

어미목이 없는 개체군은 하천을 중심으로 분포했다. 마르지 않는 물웅덩이가 근처에 존재하는 특징이 있어 종자분포와 확산은 천연하종과 조류에 의해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제시됐다.

 

또한 국내에 분포하는 초령목은 개체수가 한정적으로 자생지 내에서 종자 발아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이대 제거를 위한 기계 예초작업과 야생동물인 노루에 의한 뿔밀기 시기에 어린나무의 주지가 고사되는 위협 요인도 확인됐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 평가기준을 적용하면 국내 초령목 개체군 크기는 314개체 중 성숙목이 22개체로 확인됐다. 보전지위가 ‘위급(CR, 야생에서 극단적으로 높은 절멸위기에 직면한 상태)’ 범주로 평가됐다.

 

초령목은 세계적으로는 한국, 일본, 중국, 대만, 필리핀 등에 분포한다. 한국에서는 흑산도와 제주도에 자라는 늘푸른잎을 가진 키가 큰 나무로 높이 16m에 달하고 국가보호식물인 멸종위기야생식물 Ⅱ급, 희귀식물로 보호받고 있다. [제이누리=양은희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