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2 (토)

  • 흐림동두천 23.1℃
  • 흐림강릉 22.7℃
  • 흐림서울 25.3℃
  • 흐림대전 24.3℃
  • 구름많음대구 23.5℃
  • 흐림울산 21.5℃
  • 흐림광주 24.6℃
  • 부산 22.6℃
  • 흐림고창 23.9℃
  • 흐림제주 24.1℃
  • 흐림강화 21.2℃
  • 흐림보은 22.6℃
  • 흐림금산 23.1℃
  • 흐림강진군 23.2℃
  • 구름많음경주시 21.8℃
  • 흐림거제 22.9℃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호남지방통계청, '호남·제주지역 사회지표로 본 청년의 삶' 통계자료 ... 19~34세 청년 대상

 

제주 청년들의 결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결혼을 하더라도 자녀를 갖지 않겠다는 비율도 상당히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호남지방통계청이 공개한 '호남(광주·전북·전남)·제주지역 사회지표로 본 청년의 삶'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제주지역 19~34세 청년 가운데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중은 31.8%에 그쳤다.

10년 전인 2012년 조사때에는 제주 청년의 54.3%가 결혼에 대해 긍적적인 태도를 보였다. 하지만 10년이 지난 후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22.5%p 낮아졌다.

'결혼을 해야 한다'는 청년의 긍정 비중은 광주(48.7%), 전북(35.4%), 전남(35.7%), 제주(31.8%) 순으로 제주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결혼하지 않더라도 함께 살 수 있다'는 비혼 동거에 대해서는 제주 청년의 긍정적 인식이 크게 늘었다. 비혼 동거 긍정 대답은 2012년 66.5%에서 2022년 83.1%로 10년 사이에 16.6%p 높아졌다.

제주 청년의 결혼 후 출산 기피 현상도 크게 늘었다. '결혼 후 자녀를 가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비중은 제주가 60.2%로 절반이 넘는다. 이어 광주(47.8%), 전남(47.2%), 전북(46.9%) 순으로 나타났다.

 

2018년까지만 해도 '결혼 후 자녀를 가질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보인 청년은 광주가 47.6%, 전북 42.4%, 전남 41.8%, 제주 41.4%로 제주가 가장 적었다. 하지만 4년이 지나면서 3개 다른 지역은 모두 40% 대에 머물렀지만 제주는 18.8%p 늘었다.

제주 청년의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는 비혼출산 동의 비중은 2012년 37.6%에서 2022년 47.8%로 10.2%p 증가했다. 제주지역의 비혼출산 동의 비중은 전국 평균(39.6%)보다 8.2%p 웃돈다. 

가사분담에 대해선 긍정적 성향이 더 늘었다. 제주 청년의 80.9%가 '공평하게 가사를 분담해야 한다'에 동의했다. 실제로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한다는 비중은 47.9%로 나타났다. 10년 전 가사 분담에 대한 동의 55.4%와 실제로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한다는 비중 17.4%에 비하면 모두 증가했다.

이외에 제주 청년이 직업선택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수입'(38.4%)으로 나타났다. 이어 안정성(20.6%), 적성 및 흥미(17.5%) 순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직장은 국가기관(30.2%)을 가장 많이 꼽았다. 그외에 공기업(21.3%), 자영업(16.6%) 등으로 집계됐다. [제이누리=양은희 기자]

추천 반대
추천
1명
100%
반대
0명
0%

총 1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