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727/art_17514430721257_ee6dcc.jpg?iqs=0.10760462321030972)
정부가 중국인 단체관광객 무비자 제도를 사실상 무기한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중국인 '개별 관광객'에 대한 비자 면제 확대까지 논의되자 그동안 제주가 누려온 '무비자 독점 지위'가 약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2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이른 시일내에 법무부·문체부·기획재정부 등과 함께 중국인 단체관광객 대상 무비자 입국 계획을 공식 발표할 방침이다. 당초 올해 3분기 한시 시행을 예고했던 이 정책은 올해 말 종료가 아닌 상시 제도로의 전환까지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 같은 조치가 소비 진작과 내수 회복의 실효적 수단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 한국은행은 중국인 단체관광객 100만명 증가 시 국내총생산(GDP)을 최대 0.08%포인트 끌어올릴 수 있다고 분석했다. 문화관광연구원 역시 2023년 중국 방한 재개만으로 0.21%포인트의 성장률 제고 효과가 있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정작 제주도는 '중국 특수'를 온전히 누릴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현재 도는 중국인 단체관광객이 비자 없이 방문 가능한 유일한 지역이다. 지난해 제주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 약 190만명 중 70~80%가 중국인이었다. 도내 대규모 여행사와 면세점, 숙박업소 다수가 중국 시장 의존도가 매우 높은 구조다.
문제는 수도권과 타 지역으로 무비자 제도가 확대되면 이 같은 '독점 수요'가 급격히 분산될 수 있다는 점이다. 정부는 서울을 중심으로 K-콘텐츠, K-뷰티, K-푸드 체험 상품과 함께 교통·숙박 인프라를 강화하고 있어 관광객 유입이 자연스럽게 육지로 흘러갈 가능성이 크다.
제주도내 관광업계 관계자는 "수도권과 비교해 제주 관광은 콘텐츠 다양성, 교통 인프라, 가격 경쟁력 면에서 취약하다"며 "중국인 무비자 확대가 시행되면 제주는 코로나 시기보다 더 심각한 수요 공백을 겪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서울 명동 거리에서 중국인 단체 관광객들이 관광 중이다. [연합뉴스] ](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727/art_17514431548168_26f60e.jpg?iqs=0.6661372277015252)
한편 정부는 이번 정책을 이달 말 발표할 '경제정책방향'에 포함할 예정이다. 아울러 올해 말 종료 예정이었던 전자여행허가제(K-ETA) 면제 조치도 1년 더 연장하기로 했다. 또 향후 중국인 '개별 관광객'까지 비자 면제를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한국관광공사 관계자는 "중국 경기가 안 좋다고 해도 소득수준이 높은 층은 계속 두터워질 것"이라며 "중국은 절대 포기할 수 없는 시장"이라고 설명했다.
도내 관광업계는 향후 무비자 제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콘텐츠 다변화와 마케팅 전략, 중국 외 국가 다변화 정책 등을 긴급히 재정비해야 할 상황에 놓였다.
제주시 연동 한 호텔 관계자는 "중국 단체관광객 비중이 지나치게 높았던 구조에서 오는 리스크를 마주하고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도 제주가 경쟁력을 잃지 않도록 지방 관광지에 대한 별도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