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7대 자연경관 선정과 관련해 제주도가 수익배분 문제와 관련해 손을 놓고 있다는 지적이다.
17일 속개된 제주도의회 정례회에서 예산결산특별위원회(위원장 김명만)는 제주도 일반회계 및 특별회계 세입·세출 결산심사 및 예비비 승인을 심사하는 자리에서 강경식(통합진보당, 이도2동 갑) 의원은 7대 자연경관 선정과 관련한 수익배분 문제와 관련해 집중 추궁에 나섰다.
인도네시아 문자 투표 수익 배분 구조를 살펴보면 △통신회사 10~15% △콘텐츠 제공자 12.5% △뉴세븐원스재단 25% △공식후원위원회 42.5~47.5%다.
이에 제주관광공사 양영근 사장은 "관광공사 도청과 함께 계약을 체결했다"며 수익배분 문제에 대해 "공식문제로 접한 것은 아니다. 인터넷에 떠도는 기사를 출력해 보기는 했다"고 답했다.
그러자 강 의원은 "다른 국가는 수익배분에 대해 일정부분을 가져오는데, 이익배분을 하든가 말든가 관심이 없냐"고 질타했다.
양 사장은 "저희(제주와 뉴세븐원스재단) 거래는 다른 국가와 연대해서 한게 아니"라며 "어떤 계약이 이뤄지는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강 의원이 "이면계약이 있냐"고 묻자 양 사장은 "이면계약 등은 없다"고 말했다.
강 의원은 "제주가 이익배분에 대해 못 챙겨 온 거 아니냐"며 "(제주도가)그렇게 예산이 많냐"고 따져 물었다.
강 의원은 이어 "타국가가 어떤 이익을 받았는지 챙겨봐야 하는 것 아니냐"며 "(7대 자연경관에 선정된)5개국에 대해 파악했냐"고 지적했다.
양 사장은 "인도네시아에 확인을 했지만 공식적으로 그런 것(수익배분) 없다"며 "구두 상으로 지인을 통해 물어봤지만 아는 바가 없다고 들었다"고 해명했다.
강 의원은 "말하려고 하는 논지가 그런 게 아니"라며 "막대한 전화비가 들었다면 챙겨올 수 있는 건 챙겨야 한다. (수익배분을 챙기지 못한 점이) 무능하다는 증거"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수익배분에 대한 문제점) 이 부분에 대한 감사원 감사가 있냐"며 "감사원 결과를 보면 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