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제주도에서 전기차를 살 경우 보조금이 축소된다. 또 공동주택 입주자는 입주자 대표자회의로부터 충전시설 사용 승낙서가 없어도 전기차를 살 수 있게 된다.
제주도는 이 같은 내용의 '제주도 전기차 2.0시대'를 선포하고 전기차를 보조금 위주 정책에서 인프라·생태계·문화·관광 위주로, 관 주도에서 민·관 협업 방식으로 바꾸겠다고 4일 밝혔다.
도는 구매보조금만으로는 전기차 보급에 한계가 있음을 인식했다. 당초 단계별로 보조금을 축소하는 기본계획에 따라 올해 700만원의 도비 보조금 지원을 축소키로 했다.
제주도는 전기차 시장의 각축장으로 제조사들이 다양한 특별 프로모션 등 가격 경쟁을 이끌어내 다른 지역보다 유리하게 전기차를 구매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돼 있다. 따라서 보조금을 축소하더라도 전기차 판매가 잘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비보조금은 예정대로 보조된다.
도는 또 공동주택 거주자들이 입주자 대표회의 등에서 동의를 받아 제출하는 충전기 설치 사용승낙서를 제출하지 않고도 전기차 구매를 신청할 수 있도록 개선하기로 했다.
또 전기렌터카를 이용하는 관광객과 도민들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 제주종합경기장 ▲ 한림체육관 ▲ 강창학 구장(서귀포시 강정동) ▲ 안덕면 용머리 해안 ▲ 성산일출봉 ▲ 성산항 등 6곳에 충전스테이션을 올해 안에 만들기로 했다.
도는 아울러 신규 공동주택, 근린생활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판매시설, 의료시설, 숙박시설, 관광휴게시설, 업무시설 등에도 의무적으로 일정 규모 이상의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하도록 올해 안으로 제도화를 추진한다.
또 제주도가 구축하고 있는 급속충전기 46기의 충전요금을 도의회의 동의를 받아 무료화한다.
이 밖에 사람이나 교통 통행량이 드문 숲길 등에 전기차만 다닐 수 있도록 하는 전기차 올레길과 전기차 성지순례의 장 조성, 전기차 선도 시범마을 지정 등도 추진하기로 했다.
제주도에는 전기차가 2013년부터 3608대가 보급돼 있다. 이중 1242대는 올해 보급됐다.
원희룡 지사는 4일 “전기차 2.0 시대는 그동안 보조금 위주의 전기차 보급 정책에서 인프라·생태계·문화·관광 위주로 바꾸고 관 주도에서 전기차 사용자들의 관심과 참여를 통한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청정 제주를 지키고 전기차 신산업을 제주의 성장 동력으로 삼기 위한 전기차 2.0시대에 도민 여러분의 뜨거운 관심과 응원을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이날 전기차 2.0시대 발표에는 이찬진 제주전기차커뮤니티 운영자와 홍정표 제주전기차사용자 모임회장 등이 참석, 전기차 올레길 등 아이디어를 제공했다. [제이누리=이현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