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21 (토)

  • 맑음동두천 -5.0℃
  • 구름조금강릉 0.8℃
  • 맑음서울 -2.6℃
  • 맑음대전 -1.3℃
  • 구름많음대구 1.1℃
  • 맑음울산 1.6℃
  • 광주 1.8℃
  • 구름조금부산 2.9℃
  • 흐림고창 1.6℃
  • 제주 5.8℃
  • 맑음강화 -3.5℃
  • 구름많음보은 -1.7℃
  • 구름많음금산 -0.6℃
  • 흐림강진군 2.5℃
  • 구름조금경주시 1.1℃
  • 맑음거제 3.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제주4.3 72주년 제주인기협 기획] ④ 4.3유해발굴 등 국가지원 필요성

정권이 바뀌고 대통령이 4.3추념식에 참가해 제주도민에게 사과하고, 위로하면서 제주4.3에 대해 훈풍이 불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제주4.3특별법 개정안은 20대 국회에서 처리되지 못했다. 희생자와 유족에 대한 배보상, 수형인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 유족 신고 상설화, 지속적인 유해발굴, 4.3 책임규명 등 아직도 갈길이 멀다. 제주도인터넷신문기자협회는 제주4.3기념사업위원회와 공동으로 제주4.3 72주년을 맞아 5회에 걸쳐 4.3 기획보도를 싣는다. /편집자주

 

 

지난 2018년 10월 제주국제공항 인근 도두동 제주4.3유해 발굴 현장에서 성인 유골 2구와 10대 초반으로 추정되는 어린이 및 영유아 추정 유해 각 1구 총 4구의 유해가 발굴됐다.

 

70년 가까이 묻혀있던 이 유해들은 8년만에 재개된 제주4.3희생자 유해발굴 사업을 통해 세상에 나올 수 있었다.

 

하지만 아직도 한 점의 유해조차 찾지 못한 4.3희생자들은 많은 상황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서귀포시 안덕면 동광리에 조성된 7기의 헛묘.

 

이 헛묘는 1948년 11월 토벌대가 초토화작전을 벌이기 시작한 이후 굴에 숨어 살다 붙잡혀 서귀포시 정방폭포에서 처형된 동광리 안덕면 주민 유족들이 희생자의 시신을 찾지 못하자 그들의 넋을 기리기 위해 조성한 것이다.

 

제주에서는 이처럼 4.3당시 토벌대 또는 무장대, 군.경 등에 의해 처형돼 시신을 찾지 못한 경우, 헛묘를 조성해 모시는 경우가 있다.

 

제주시 봉개동 제주4.3평화공원 한편에는 시신을 찾을 수 없는 제주4.3희생자 행방불명인 표석 3900여기가 설치돼 있다.

 

행방불명인들은 4.3당시 군사재판과 일반재판에 의해 육지형무소로 끌려가 실종되거나, 토벌대의 진압작전 또는 무장대와의 충돌, 한국전쟁 전후 이뤄진 예비검속 과정에서 끌려간 경우가 대부분이다.

 

제주도내 어딘가 묻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희생자가 2000여명에 달하고, 타지역으로 끌려간 경우도 1700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4.3 당시 행방불명된 희생자들의 유해를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내기 위한 4.3유해발굴 작업은 지난 2006년부터 집단학살.암매장이 이뤄진 제주시 화북동과 제주국제공항 등 8곳에서 진행됐다. 이 결과 현재까지 총 405구의 희생자 유해를 발굴할 수 있었다.

 

제주4.3유해발굴 사업은 정부의 4.3진상보고서를 토대로 사업비 38억9800만원을 들여 지난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추진됐다.

 

지난 2006년 1단계 사업을 통해 제주시 화북지역에서 11구, 2007년 2단계 1차 사업으로 제주공항 서북쪽에서 128구, 2008년 2단계 2차 제주공항 동북쪽에서 260구, 2010년 3단계 사업으로 서귀포시 남원읍 태흥리에서 1구를 각각 발견했다.

 

또 문재인 정부 들어 제주4.3문제 해결이 100대 국정과제에 포함되면서 2018년 재추진, 제주공항에서 5구의 유해를 추가로 발견하기도 했다.

 

하지만 실종자의 규모에 비하면 발굴된 유해의 수는 적고, 특히 발굴된 유해의 신원 확인은 더디기만 한 상황이다.

 

현재까지 신원이 확인된 유해는 133구에 불과하다. 나머지 272구는 아직도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채 4.3평화공원 내 봉안관에 안치됐거나 서울대 법의학과에서 감식 중이다.

 

다행히 지난 2018년 새롭게 도입된 유전자 감식법을 통해 식별률이 세배 가량 높아지면서, 유해 29구의 신원이 추가로 확인됐다.

 

또 지난해 유전자 감식을 통해 제주공항에서 발굴된 유해 등 총 12명의 신원이 확인되면서, 지난 1월 가족들의 품으로 돌아갔다.

 

 

지난 2018년 제주4.3 유해발굴 사업비와 유전자 감식비 16억원이 반영됐었으나 지난해에는 합쳐서 4억4000만원만 투입됐다.

 

올해의 경우 유해발굴을 위해 제주시 도두동과 어승생 등 5곳을 대상으로 9000만원을 투입해 4.3희생자 암매장지 조사를 위한 학술용역, 4.3유족 채혈을 추진한다.

 

그동안 4.3유족과 목격자 등의 진술을 토대로 유해발굴 조사를 진행하고 있었으나, 보다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해 발굴조사에 나선다는 것이다.

 

다만 4.3희생자들의 유해들은 이미 70여년의 세월이 흘러 부식과 훼손이 심한 상태로, 앞으로 추가로 유해가 발견되더라도 시간이 더 흐를수록 점점 신원 확인 가능성은 점점 낮아질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특히 유족들의 고령화로 인해 더 이상 시간이 지체될 경우 4.3 유해들의 신원은 영원히 밝히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70년 가까이 주검을 찾아 헤매온 유가족들의 한을 풀어주기 위해서는 유해발굴 및 유전자 감식 사업에 대해 지속적인 국비 지원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제주4.3기념사업위원회 관계자는 "4.3 희생자와 고령 유족들의 한을 풀어주기 위해 희생자 유해발굴 및 유전자 감식을 통한 가족찾기 사업에 국비 지원을 약속하고 이행 방안을 명문화해야 한다"며 "이번 국회의원 선거에서 각 정당들이 4.3희생자 유해발굴 및 유전자 감식을 통한 가족 찾기 국비 지원에 뜻을 모아달라"고 요청했다. [헤드라인제주=홍창빈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