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1 (금)

  • 구름조금동두천 29.7℃
  • 구름많음강릉 29.1℃
  • 구름많음서울 30.2℃
  • 구름많음대전 32.6℃
  • 구름많음대구 29.7℃
  • 구름많음울산 26.1℃
  • 흐림광주 28.9℃
  • 구름많음부산 26.5℃
  • 구름많음고창 27.3℃
  • 구름많음제주 27.6℃
  • 구름많음강화 25.5℃
  • 구름많음보은 29.9℃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많음강진군 25.8℃
  • 구름많음경주시 28.6℃
  • 구름많음거제 26.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2023마을어장 자원생태환경 조사보고서' ... 신천리·위미2리·일과2리·고내리 등 '심각'

 

'바다 사막화'라고 불리는 갯녹음 현상이 제주도 앞바다에서 가속화하고 있다.

 

11일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의 '2023 마을어장 자원생태환경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서귀포시 성산읍 신천리의 모든 수심대와 남원읍 위미2리 4∼8m 수심대에서 갯녹음이 심화 상태를 보였다.

 

그리고 서귀포시 하효동 4m 수심대, 대정읍 일과2리 8m 수심대, 제주시 애월읍 고내리 4m 수심대에서는 갯녹음 현상이 짙었다.

 

갯녹음은 바다숲이 사라진 연안 암반 지역에 산호말 같은 석회조류가 무성해져 사막처럼 황폐해지는 현상이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수온 상승 등으로 갯녹음이 가속화하는 추세다.

 

갯녹음 현상이 40% 미만이면 정상상태, 40∼80% 미만이면 진행상태, 80% 이상이면 심화상태로 구분한다.

 

고산리, 법환동, 이호동, 일과2리, 추자, 평대 지역에서는 갯녹음이 '진행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바다 수온 상승으로 인해 아열대성 부착 산호류인 빛단풍돌산호와 거품돌산호는 제주 북동부(구좌)와 추자지역을 제외하고 대부분 지역으로 넓어지고 있다. 남부지역은 아열대성 생물의 분포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조사를 통해 제주 연안에 총 156종(녹조류 25, 갈조류 26종, 홍조류 110종)의 해조류가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중 어장 내 주요 먹이원인 갈조류는 감소했지만 석회조류를 포함한 홍조류가 70%를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은 이번 조사가 제주 연안 어장 생태계의 변화상을 예측하고 해양생태계의 보전관리 방안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했다.

 

발간된 보고서는 해양수산연구원 누리집(www.jeju.go.kr/jori/index.htm)에 공개했다.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은 올해부터 마을 어장 주변으로 유입되는 농약, 비료 등 물질에 따른 해양 수질과 해조류 생태계의 변화에 대한 정밀 조사도 하고 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

추천 반대
추천
4명
100%
반대
0명
0%

총 4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