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23.8℃
  • 맑음강릉 24.2℃
  • 맑음서울 25.1℃
  • 맑음대전 24.5℃
  • 구름조금대구 25.1℃
  • 구름많음울산 20.9℃
  • 맑음광주 24.4℃
  • 흐림부산 21.8℃
  • 맑음고창 22.2℃
  • 구름많음제주 22.3℃
  • 맑음강화 23.2℃
  • 맑음보은 21.6℃
  • 맑음금산 22.5℃
  • 구름많음강진군 21.1℃
  • 구름많음경주시 22.3℃
  • 흐림거제 19.9℃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전남·강원·강화군 비무장지대 일부 서식 ... "서식 영역 확장하는 듯"

 

국내 텃새인 왜가리과의 '쇠백로'가 제주에서 새끼를 부화했다.

 

14일 다큐제주 오승목 감독에 따르면 지난 2일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 앞 다려도 내 둥지에서 쇠백로 새끼 3마리가 관찰됐다.

 

오 감독은 쇠백로 한 쌍이 지난 4월 짝짓기를 한 후 5개 알을 산란한 것을 관찰·기록했고, 지난달 17일에는 다섯 마리 새끼가 모두 부화했다고 전했다.

 

새끼들 중 두 마리는 부화 이후 죽었다.

 

오 감독은 다려도에서 다른 두 쌍의 쇠백로가 번식한 것도 확인했다. 하지만 이 중 한 쌍의 새끼들(3마리)은 모두 죽었고, 나머지 한 쌍의 경우 둥지가 가려 번식 여부를 확인하지 못했다.

 

제주에서는 쇠백로가 목격된 바 있지만, 번식이 관찰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쇠백로는 국내에서는 전남과 강원, 강화군 비무장지대 일부 등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창완 한국조류보호협회 제주도지회장은 "다른 지역에서 환경 변화나 인위적인 요인으로 인해 번식처가 점차 감소하자 제주에까지 서식 영역을 확장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쇠백로의 제주 번식이 확인되면서 점차 개체수가 많아져 제주 텃새가 될 가능성도 조심스레 점쳐진다. 실제로 2021년 왜가리가 제주에서 처음 부화된 이후 개체수가 늘어나 제주 텃새로 분류됐다.

 

특히 쇠백로는 왜가리, 흑로 등과 어울려 번식하고 서식하기 때문에 제주도에 개체수가 증가할 것이라는 예상이 많다.

 

제주에는 풍부한 먹이를 공급하는 논이나 갯벌이 없지만 해안 조간대와 양식장 배출수 등지에서는 쇠백로 등의 먹이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제이누리=양은희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