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제주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에 대한 전폭적 지원으로 한국동서발전이 추진하는 국내 첫 중앙계약시장형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BESS) 발전 사업 또한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사진은 북촌리 BESS 조감도다. [한국동서발전 제공]](http://www.jnuri.net/data/photos/20241044/art_1730169077434_452216.jpg)
제주도가 윤석열 대통령의 약속에 따라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위한 후속 절차에 본격 돌입했다.
제주도는 29일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 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특화지역 지정을 위한 세부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지난 15일 윤 대통령이 제주 민생토론회에서 제주의 분산에너지 정책을 전폭 지원하겠다고 발표한 데 따른 조치다.
도는 2012년부터 '카본 프리 아일랜드' 정책을 통해 재생에너지 보급을 꾸준히 확대해왔다. 그러나 발전량이 증가하면서 2015년부터 출력 제한 문제가 대두됐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력 유연성 자원을 바탕으로 한 분산에너지 정책을 추진해왔다. 여기에는 전력-열 전환(P2H), 그린수소 생산,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이 포함된다.
지난 6월 시행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은 특화지역으로 지정되면 다양한 전력 규제 특례가 적용될 수 있도록 해 도의 재생에너지 운영에 큰 전환점을 마련했다. 최근 정부가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용량 40㎿ 제한 규제를 완화해 제주 내 대규모 재생에너지 사업 추진도 가능해졌다.
도는 이와 함께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가상발전소(VPP) 구축을 계획 중이다.
VPP 시스템은 소규모 발전자원을 하나의 발전소처럼 통합·제어하는 방식으로 특구로 지정될 경우 민간 VPP 사업자들이 제주에서 전력 거래 사업에 참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출력제한 문제를 완화함은 물론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까지 기대된다.
도는 또 전기차를 이동식 ESS로 활용하는 V2G(Vehicle to Grid)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다.
제주에 보급된 약 10만대의 전기차가 전력 요금이 저렴한 시간대에 충전한 전기를 비싼 시간대에 사용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게 된다. 이 모델은 출력 제한 문제 완화와 함께 글로벌 확장 가능성도 높게 평가받고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 민생토론회에서 제주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위한 정부의 전폭적 지원을 약속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내년 상반기 공모를 통해 실현 가능한 지역을 우선 선정할 계획이다. 또 제주를 포함해 울산과 나주를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양제윤 제주도 혁신산업국장은 "대통령의 지원 약속에 힘입어 제주의 분산에너지 정책이 본격 추진되고 있다"며 "관련 부처들과의 신속한 협의를 통해 출력 제한 문제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특화지역 지정을 차질 없이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도는 2015년부터 전력 공급량이 넘칠 때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강제로 멈추는 출력 제한 문제를 겪고 있다.
풍력발전과 태양광 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은 날씨에 따라 발전량이 들쭉날쭉해 안정적 운영이 어렵고, 초과 공급된 전기를 전력망에 그대로 흘려보내면 과부하가 발생, 심하면 정전 사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내 재생에너지 출력제한 횟수는 2021∼2023년 풍력발전 285회, 태양광발전 93회다. 올들어서도 8월까지 풍력발전 51회, 태양광발전 32회의 출력제어가 이뤄졌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