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9 (토)

  • 구름많음동두천 18.2℃
  • 구름많음강릉 14.9℃
  • 흐림서울 19.3℃
  • 구름많음대전 25.6℃
  • 구름많음대구 25.3℃
  • 구름많음울산 23.7℃
  • 구름많음광주 23.6℃
  • 흐림부산 20.1℃
  • 구름많음고창 22.5℃
  • 구름많음제주 18.9℃
  • 흐림강화 14.7℃
  • 구름조금보은 24.5℃
  • 구름많음금산 26.1℃
  • 구름조금강진군 21.6℃
  • 구름많음경주시 26.4℃
  • 구름많음거제 18.4℃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14일부터 포장 주문 수수료 전면 유료화 … "매출 줄었는데 수익성 더 악화될 것"

 

배달 플랫폼 1위인 배달의민족(배민)이 배달 주문에 이어 포장 주문에도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제주지역 자영업자들 사이에서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지속되는 내수 부진 속에 포장 주문까지 비용 부담이 늘면서 결국 음식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15일 배민의 물류서비스를 전담하는 우아한청년들에 따르면 배민은 지난 14일부터 포장 주문 수수료를 전면 유료화했다. 이에 따라 제주지역 음식점 업주들도 배민 앱을 통해 포장 주문을 받을 경우 1건당 6.8%(부가세 별도)의 중개 수수료를 내야 한다.

 

제주 연동에서 분식집을 운영하는 고모씨는 "점심시간 포장 주문이 하루 평균 10건이 넘는데 수수료까지 내면 부담이 커진다"며 "그동안 배달 수수료는 감내했지만 포장까지 돈을 내야 하니 운영 자체가 걱정"이라고 토로했다.

 

앞서 배민은 지난해 배달 수수료를 기존 6.8%에서 9.8%로 인상하면서 포장 주문도 일부 유료화했다. 기존 가맹 업주에게는 포장 수수료를 면제하고, 신규 업주에게는 할인 혜택을 제공해왔다. 그러나 이번 조치로 신규·기존 점주 모두가 수수료를 내게 됐다.

 

제주시 연동에서 중식당을 운영하는 정모씨는 "포장 수수료 6.8%에 카드 결제 수수료까지 더하면 실제 부담은 10%를 넘는다"며 "가격을 올리자니 손님이 줄고, 그대로 두자니 남는 게 없다"고 말했다.

 

이어 "배민 포장 서비스를 아예 중단하고 네이버 주문이나 먹깨비 같은 다른 플랫폼으로 옮기는 것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BBQ, 교촌치킨, 맘스터치 등 일부 외식 프랜차이즈의 제주도내 매장들은 포장 주문을 받지 않고 배달 주문만 운영하고 있다.

 

우아한형제들 측은 포장 수수료 부과가 업주와 소비자 모두에게 유리한 구조라고 주장한다. 배달보다 포장 주문이 활성화되면 라이더 비용이 줄어 오히려 수익성이 개선된다는 설명이다.

 

배민에 따르면 전체 주문에서 포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5% 수준이다. 이에 대한 수수료는 6.8%로 고정됐다. 반면 배달 주문에는 2~7.8%의 수수료가 차등 적용된다. 회사 측은 포장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연간 300억원 규모의 마케팅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영업자 인터넷 카페에서는 "포장 수수료를 부과하면서 동시에 소비자 할인 혜택을 말하는 것은 자영업자 부담으로 마케팅을 하겠다는 것 아니냐"고 비판글이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일부 업주들은 배민 포장 주문 대신, 전화 주문 고객에게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받거나 서비스 메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제주도내 프렌차이즈 외식업계 관계자는 "이미 외식 물가가 높은 상황에서 수수료 인상은 가격 인상 압박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며 "결국 손님과 자영업자 모두 피해를 보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한편 국회에서도 배민의 수수료 정책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진보당은 지난 14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배달의민족은 입점 업체들과 사용하는 소비자 덕분에 성장했지만 업계 독보적 점유율을 달성하고 한 것은 무책임하고 일방적인 중개 수수료 책정"이라며 "배달의민족의 끊임없는 횡포가 오히려 시장을 망가뜨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


추천 반대
추천
1명
100%
반대
0명
0%

총 1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