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제주경찰청과 보유 부지 및 건물 맞교환 작업에 들어갔다. 부족한 청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소유 청소년 야영장 부지와 옛 제주경찰청 청사 및 부지를 맞교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제주도는 본관 청사 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관 동쪽에 나란히 자리한 옛 제주경찰청 청사를 넘겨받고, 대신 제주도가 소유한 제주시 청소년야영장 및 명도암유스호스텔을 맞바꾸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10일 밝혔다.
제주도는 이를 골자로 한 내용으로 최근 기획재정부와 협의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오영훈 제주지사는 이에 앞서 지난 6일 기자간담회에서 “본청과 2청사 외부에 있는 일부 부서를 다시 도청으로 옮기고, 건물 활용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기재부와의 협의가 긍정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옛 제주경찰청 청사는 1980년 준공, 부지 9594㎡에 자리잡고 있다. 지상 4층·지하 1층 규모다. 2022년 제주경찰청이 제주시 노형동 신청사로 이전하면서 현재 경찰기동대가 건물 일부를 쓰고 있다. 나머지 공간은 제주도 성평등정책관, 청년담당관, 4·3총괄팀 등이 임대, 더부살이를 하고 있다.
옛 제주경찰청 청사의 위치는 접근성면에서 적격으로 평가된다. 도청 본청사와 옛 북제주군청으로 쓰이다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후 제주도청 제2청사가 된 건물의 중간에 있다.
제주도가 경찰에 넘기려는 제주시 청소년야영장과 명도암유스호스텔은 부지 면적이 14만3552㎡에 이른다. 인근에는 경찰 수련시설인 한라경찰수련원이 있다.
제주도는 과거 옛 제주경찰청 청사를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가 소유한 제주시 조천읍 와흘리 비축토지와 맞바꾸고, JDC는 옛 제주경찰청 청사를 도유지와 맞교환하는 제3자 매각 교환 방식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옛 제주경찰청 청사의 건물 소유권이 기획재정부로 넘어가면서 논의가 무산됐다.
제주도는 맞교환을 통해 청사 공간을 확보하고, 경찰은 한라경찰수련원을 중심으로 복지·교육 시설을 확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아울러 공공청소년수련시설 활용 문제도 해결될 것이란 기대다.
제주시는 시설 폐쇄에 대비해 신설 시설 조성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이달부터 내년 4월까지 진행한다. 우선 검토 부지는 봉개동 문화교류센터 북동쪽과 쓰레기매립장 남쪽 일대 18만2135㎡다.
제주도와 경찰청은 과거 제주 내 경찰타운 설립 구상과 지난해 체결한 업무협약을 바탕으로 맞교환 등 매입 논의에 나설 예정이다. [제이누리=강재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