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지역 이미지 형성 과정을 사진엽서로 읽어내는 학술세미나가 열린다.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은 오는 28일 오후 1시 30분 시청각실(모다들엉관)에서 ‘일제강점기 사진엽서로 읽는 지역의 기억’ 학술세미나를 연다고 25일 밝혔다.
사진엽서는 당시 제국의 시각문화 정책과 지역의 사회·경제·문화적 특징이 집약적으로 담긴 주요 근대 시각자료다.
세미나는 일제강점기 제주·대구·부산·인천 등 주요 지역에서 제작된 사진엽서를 학술적으로 검토한다. 근대시기 지역의 정체성과 시각적 재현 양상을 비교·고찰하기 위한 자리다.
이번 세미나는 현재 진행중인 제155회 특별전 ‘식민의 시선, 제주 풍경’과 연계해 추진된다.
세미나는 총 2부와 특별세션으로 구성된다. 각 지역의 지역사·시각문화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1부에서는 제주와 대구의 사례가 다뤄진다. 제주기록문화연구소 '하간' 고영자 소장이 ‘일제강점기 사진엽서로 본 제주 문화 엿보기’를 통해 제주의 근대 이미지 형성과 문화적 맥락을 소개한다. 또 대구근대역사관 황수진 학예연구사는 ‘대구근대역사관의 근대 사진엽서 수집과 활용’을 발표해 대구지역의 근대 사진엽서 아카이브 구축과 활용 방안을 공유한다.
2부에서는 부산과 인천을 조명한다. 부산근현대역사관 김기용 관장이 ‘부산근현대역사관 소장 일제강점기 사진엽서로 본 부산의 사회상’을 주제로 당시 부산의 도시·사회 변동상을 살펴본다. 인천대 지역인문정보융합연구소 문순희 선임연구원은 ‘사진엽서와 안내서로 본 인천의 명소와 근대 관광’을 통해 인천의 도시 이미지와 근대 관광 문화의 성립 과정을 분석한다.
특별세션에서는 고려학술문화재단 박환 이사장이 ‘제주 해녀 출신 백곤차, 멕시코 한인독립운동 참여’를 주제로 발표한다. 제주 여성의 이주·노동·독립운동 서사를 조명한다.
박찬식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장은 “일제강점기 각 지역 이미지의 형성과 변용을 비교사적 시각에서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제주를 포함한 지역별 시각자료 아카이브 구축과 향후 전시·교육 콘텐츠 개발, 근대 지방사 연구와 지역 간 교류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제이누리=양은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