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5년간 경마·승마·마육 등 4개 분야 50대 과제 2200억 투입
도, "국가 계획 반영, 말산업 특구 유치 추진"

 

경마, 승마, 마육산업 등 4개 분야 50대 실천과제에 2200억원이 투입되는 제주 말(馬)산업 종합진흥계획이 확정됐다.

 

제주도는 2일 지난해 9월 말산업육성법 시행에 따라 제주의 말산업을 친환경 녹색 고부가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5개년 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주요 내용을 보면 '제주의 말과 인간, 자연, 문화가 함께하는 국민공감 웰빙산업 육성'을 비전으로 경.승마산업 등 4개 분야 10대 정책방향과 50개 실천과제를 선정했다.

경마산업 분야는 ▲엘리트 국산 경주마 공급 ▲선진 경마 인프라 구축을 정책과제로 선정, 14개 실천과제를 추진한다.

 

주요 과제로는 △종마(STALLION) 사업 지원 △제주마 혈통정립 및 국제공인 △제주산마 자원관리 △경주마 공동육성 조련시설 구축 △건전 경마상담센터 운영 등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그동안 질보다 양적성장에 치우친 경마 산업구조를 개선하고 최고의 고부가 가치 창출산업, 과학 스포츠 산업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승마산업 분야는 ▲브랜드 승용마 생산 ▲승마 수요기반 확충을 정책과제로 선정, 13개 실천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주요 과제로 △승용마 전문 생산농가 시범육성 △말 전문 기능인 양성 △승마체험 관광길 개발 △기마대 창설 △승마대회(축제) 개최 지원 등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한국형 승용마를 육성·공급하고, 도내·외 승마 수요자들이 안전하고 쾌적하게 승마를 즐길 수 있는 인프라를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마육산업 분야는 ▲말고기 생산·유통 선진화 ▲말고기 소비 촉진 및 수출 ▲기능성 가공제품 개발을 정책과제로 선정해 11개 실천과제를 추진한다.

 

주요 과제로 △비육 전용마 육성 △위생적인 도축 및 부분육 유통 △품질별 말고기 차등 가격제 지원 △고급 말고기 전문식당 육성 △웰빙 말고기 요리개발 및 홍보 △가공제품 개발 및 보급 R&D 지원 등을 추진해 고급 말고기 생산구조를 갖추고 말고기 소비지역과 소비층을 넓혀나갈 계획이다.

 

연관산업 분야는 ▲말문화 콘텐츠 발굴육성 ▲말문화 관광벨트 구축 ▲글로벌 말산업 기반조성을 정책과제로 선정, 12개 실천과제를 추진한다.

 

주요 과제엔 △말문화 스토리텔링 사업화 △디지털 말문화 콘텐츠 개발 △체류형 말 테마파크 조성 △제주형 말산업 연관 제조업 육성 △국제 말축제 및 박람회 개최 지원 등이 포함됐다.

 

이를 통해 제주 말문화의 대외 인지도를 높이고 창조경제 시대 말산업을 새로운 차원의 블루오션 사업으로 육성해 나갈 방침이다.

 

제주도는 말산업 종합진흥계획 추진을 위해 올해부터 2016년까지 22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그동안 제주의 말산업은 돼지, 한우에 이어 제주도 3대 주력산업으로 양적성장을 이룩해 왔으나 불균형적인 산업구조와 경·승마 및 말고기 이용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낮은 R&D 기반 등으로 지역적인 한계를 벗어나지 못해 왔다"며 "농가, 소비자, 산업체, 학계 등이 참여해 만든 진흥계획을 향후 국가 말산업발전 5개년 계획에 반영해 말산업 특구 제주유치는 물론 한국의 말산업을 견인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