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방송된 KBS ‘추적 60분’에서 제주-세계 7대 자연경관(이하 7대 자연경관)’ 선정을 둘러싼 의혹이 집중 조명됐다. 논란이 정점으로 치닫고 있다. 제주도와 재단, KT 등이 관련 계약서, 예산 사용 내역 등을 공개해야 의혹이 풀릴 것으로 보인다.
'추적 60분'은 스위스·독일·몰디브 등 7대 자연경관 선정에 관련된 국가들을 방문해 공신력 없는 재단의 실체, 후보지 국가들의 자진철회, 중복투표에 따른 신뢰도 등 논란에 대한 검증을 시도했다.
'추적 60분'은 "스위스 취리히에 소재하고 있다는 뉴세븐원더스 재단본부는 실제로는 7~8월에만 문을 여는 사설박물관(버나드웨버 이사장 어머니 명의의 박물관)이었고 재단과는 관계가 없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어렵게 연락이 닿은 재단 대변인은 “그 곳은 휴가 중이며, 뮌헨 사무실에서 근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의 설명대로 찾아간 뮌헨에서도 재단 관계자들은 만날 순 없었다.
28개 후보지에 포함됐던 몰디브는 지난 5월 후보에서 자진 철회했다. 긍정적 효과들을 기대하고 참가비 198달러를 내고 참여했지만, 28개 후보국에 포함된 후 스폰서십, 월드투어 비용 등 수십억원의 비용을 제안해 와 자진 철회했다.
7대 자연경관으로 선정된 인도네시아도 재단의 인증식 개최비 요구로 정부가 캠페인 참여를 중단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른 후보국들 역시 비슷한 요구를 받은 상황이었다.
제주도 역시 같은 계약을 맺은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제주도는 월드투어 비용을 지불한 적이 없다며 재단 측에 끌려가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제주도는 7대 자연경관 잠정 후보지 가운데 유일하게 확정 발표됐다. 나머지 6곳은 투표 마감 4개월이 지난 3월 말에야 확정 발표한다는 재단 측의 설명도 이해할 수 없다고 보도했다.
이번 득표의 상당수가 공무원들의 행정전화로 이뤄졌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관제투표·혈세 낭비로까지 논란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9월말까지 행정전화 투표수는 1억800만통,전화비만 210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적60분'은 11월11일 투표 마감일까지 10월 이후 40일 동안 막판 투표 총력전을 펼쳤을 것을 감안하면 행정전화비를 추정할 수 있을 것이라 보도했다.
각 부서별로 일일 전화투표 할당.목표량과 실적을 집계한 문서도 입수하고 보도했다. 이 중에는 한 공무원이 하루 500통 넘게 전화투표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공무원노조 제주본부 관계자는 인터뷰에서 "한마디로 돈 주고 산 것"이라며 "공무원들이 투표에 동원됐다"고 주장했다.
김부일 제주도 환경경제부지사는 인터뷰에서 "관심이 있어서 실적을 매일 매일 확인했지만, 개인별로 할당하지 않았다. 관광 부서인 경우 자신의 업무와 관련된 일이니까 투표를 많이 한 것 같다"고 답변했다.
김 부지사는 "전화비는 정산이 끝나면 모두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원찬 7대 자연경관 범국민위 사무총장은 "제주도가 인구 55만명에 불과한데 1인 1투표 방식이라면 선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참여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상업성 이벤트라는 것을 알면서도 참여했지만 전국민, 재외동포들이 참여한 캠페인으로 이룬 것이어서 떳떳하다"고 항변했다.
'추적60분'은 전화투표요금은 재단과 KT과 절반씩 나눠갖는다고 보도하면서 KT측은 일체의 계약과 요금 내역에 대해 공개할 수 없다고 입장을 전해왔다고 보도했다.
방송은 공신력 있는 유네스코로부터 생물권 보전지역, 세계자연유산, 세계지질공원 등 세계 유일의 '자연과학분야 3관왕' 타이틀을 인증 받은 제주도가 그 타이틀을 제대로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지적하며 끝을 맺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