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핵운동을 해오던 ‘제주탈핵도민행동’이 기후위기 대응까지 영역을 확대, ‘탈핵·기후위기제주행동’으로 조직을 개편, 새로이 출범했다.
제주지역 정당과 시민단체 12곳으로 구성된 탈핵·기후위기제주행동은 14일 한국전력 제주본부 앞에서 “기존의 탈핵 운동과 더불어 심각해지는 기후위기 문제를 알리고 범시민·범국가적 대응을 촉구하기 위한 활동으로 운동 영역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기후위기운동과 연대하려는 이유를 “기후위기 위험에 직면하지 않은 곳이 지구상에 단 한 곳도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기후위기로 강력한 태풍이 지속적으로 한반도를 강타하면서 핵발전소의 사고 위험성도 높아졌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단체는 “지난해 9월 연이어 상륙한 태풍 마이삭과 하이선으로 인해 고리 핵발전소 단지 내 모두 4기의 핵발전소가 가동을 멈췄고, 경주 월성 핵발전소 부지 내 2기의 핵발전소가 가동 정지되는 상황이 발생했다”고 꼬집었다.
이들은 특히 제주에서 급격하게 늘어난 화력발전이 기후위기를 부채질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2017년 645MW였던 화력발전 규모가 불과 4년 만에 1GW 수준에 육박했다”면서 “올겨울 전력 최대수요는 985MW로 당시 공급 예비율은 50%에 다다랐다. 정부가 정한 적정 예비율 22%를 두 배 이상 뛰어넘을 정도로 전기가 초과잉 생산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비상발전 기능만 남아 있는 중유발전에 대한 운영 중단과 퇴출을 정부에 요구한다”며 “‘탄소 없는 섬’을 표방하는 제주도정 역시 중유발전 퇴출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단체는 “기후위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정부와 제주도에 정책 제안과 정책 감시활동도 강력하게 펼쳐나가겠다”고 힘줘 말했다.
탈핵·기후위기제주행동엔 ▲곶자왈사람들 ▲노동당제주도당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제주지역본부 ▲정의당제주도당 ▲제주녹색당 ▲제주아이쿱소비자생활협동조합 ▲제주여민회 ▲제주여성인권연대 ▲제주평화인권센터 ▲제주환경운동연합 ▲한라아이쿱소비자생활협동조합 ▲한살림제주소비자생활협동조합이 참여하고 있다. [제이누리=박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