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 지사는 20일 293회 도의회 임시회 도정질문에서 최근 대통령 소속 지방행정체제개편추진위원회에서 서울 구청장은 선출직으로, 부산 등 6개 광역시 구청장은 임명제로 한다는 내용의 개편안을 의결한 데 대해 “제주도는 특별시와 광역시와는 성격이 다른 특별자치도의 지위를 가진 만큼 정부의 방향과 반드시 부합돼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우 지사는“그러나 정부의 추진방향과 다를 때에는 추진과정에서 어려움도 예상된다. 정부의 행정체제개편추진위원회 발표내용은 확정된 내용이 아니니 좀더 진전상황을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우 지사는 “제주도가 추진하는 일부 대안과 정부 방침이 배치된다, 정부 설득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겠지만 그것이 도민의 뜻이라면 어려움을 극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통령 소속 지방행정체제개편추진위원회가 최근 의결한 '지방행정체제 개편안'은 부산, 인천, 대구, 대전, 광주, 울산 등 6개 광역시 구청장ㆍ군수를 광역단체장 임명제로 바꾸고, 구의회는 폐지하는 내용이다. 서울은 수도라는 특수성을 인정해 구청장은 민선으로 선출하되 구의회는 모두 폐지한다.
또 부산 중ㆍ동구, 수영ㆍ연제구, 서울 중ㆍ종로구, 대구 중ㆍ남구, 인천 동ㆍ중구 등 총 10개 자치구 통합 등 내용이 담겼다.
이 개편안은 오는 6월 말까지 대통령과 국회에 보고, 입법과정을 거쳐 2014년 지방선거부터 적용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전국시장ㆍ군수ㆍ구청장협의회는 성명을 내고 개편안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