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0 (일)

  • 흐림동두천 10.1℃
  • 흐림강릉 9.5℃
  • 박무서울 10.6℃
  • 흐림대전 15.0℃
  • 구름많음대구 19.5℃
  • 구름많음울산 18.2℃
  • 광주 16.9℃
  • 흐림부산 17.4℃
  • 구름많음고창 13.8℃
  • 흐림제주 18.1℃
  • 맑음강화 7.2℃
  • 흐림보은 15.2℃
  • 구름많음금산 15.3℃
  • 흐림강진군 17.2℃
  • 구름많음경주시 13.9℃
  • 흐림거제 17.2℃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제주도, 특별교부세 7억원 확보 … 집단학살·발굴과정 안내판·위령시설 설치

제주도가 올해 7억원을 투입해 제주4·3 집단 학살 유해가 발굴된 다랑쉬굴 4·3유적지 보전·정비를 본격 추진한다.

 

제주도는 올해 다랑쉬굴 유해 발굴 30주년을 맞아 유해 발굴 현장의 보존·정비가 시급하다고 판단해 지난 3월 행정안전부에 특별교부세를 신청, 7억원의 예산을 확보했다고 17일 밝혔다.

 

해당 유적지는 사유지여서 그동안 안내판 정도만 설치하고 보존과 정비가 어려운 상태였다.

 

도는 사유지 2만5000㎡가량인 토지를 우선 매입해 유적지를 보존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는 토지소유자인 학교법인 이화학당과 토지 매수 협의를 진행해왔다. 감정평가 등을 통해 토지 매입 절차를 연내에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도는 토지 매입 후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진입로를 정비하고 주차장을 조성할 예정이다. 또 다랑쉬굴 입구 주변에 다랑쉬굴의 집단 학살 내용과 발굴 과정을 설명하는 안내판을 추가 설치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도는 위령·추모 공간 등 도입시설에 대해서는 4·3유족회와 관련 기관․단체의 의견수렴 등을 통해 조성할 예정이다.

 

다랑쉬굴 4·3유적지는 1948년 12월 18일 하도리, 종달리 주민들이 피신해 살다가 굴이 발각돼 13명이 집단 희생당한 곳이다. 

 

지난 1992년 아이 1명과 여성 3명을 포함한 11구의 유해가 굴 내부에서 발굴됐다.

 

유해 주변에는 솥, 항아리, 질그릇, 물허벅 등 생활용품이 함께 발견돼 좁디좁은 굴속에서 학살을 피해 숨어 지냈던 힘없는 양민들의 참상을 보여줬다.

하지만 당시 정부는 다랑쉬굴 유해 발굴로 인해 사회적 파장이 커지는 것을 우려해 희생자들의 유해를 화장해 바다에 뿌리도록 방침을 정했다. 기초자치단체인 북제주군은 유해만 수습해서 화장한 뒤 굴 입구를 콘크리트로 막아버렸다.

유해 발굴 이후 곧바로 굴 입구가 막힘에 따라 현재까지도 다랑쉬굴 내부 유물, 규모 등 현황에 대한 정확한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

 

김승배 제주도 특별자치행정국장은 “예산 확보와 사유지 매입의 물꼬가 트여 유적지 보존·정비사업이 탄력을 받게 됐다”면서 “4·3의 완전한 해결을 위해 공감을 표하고 적극 협력해준 학교법인 이화학당에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고 말했다. [제이누리=양은희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