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1 (금)

  • 구름조금동두천 28.6℃
  • 구름조금강릉 28.3℃
  • 맑음서울 30.3℃
  • 구름많음대전 31.1℃
  • 구름많음대구 29.7℃
  • 구름많음울산 24.9℃
  • 흐림광주 27.8℃
  • 구름많음부산 24.4℃
  • 구름많음고창 27.4℃
  • 구름많음제주 27.1℃
  • 구름조금강화 25.5℃
  • 구름조금보은 29.3℃
  • 구름많음금산 30.2℃
  • 구름많음강진군 25.8℃
  • 흐림경주시 27.0℃
  • 구름많음거제 23.8℃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자체 소방대도 진화 미숙 ... 제주도 "드림타워 화재 신고·자체 진압 과정 조사"

 

제주 최고층 건물인 드림타워 복합리조트(이하 드림타워)가 돌연 발생한 화재로 도마에 올랐다.

 

38층 건물 내  6층 사우나실 화재 당시 예상했던 대응체제는 가동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자체 소방대의 운영도 미숙했던 것으로 보이는데다 자동신고 시스템이 작동하는 않는 등 문제를 놓고 제주도가 본격적인 조사에 들어갔다.

 

10일 제주도에 따르면 전날 드림타워 6층 여성 사우나실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대형건물인 경우 119 상황실로 자동으로 화재 사실을 알리도록 연동된 '자동화재 속보설비'를 통한 신고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화재 속보설비'는 화재 감지기가 연기나 열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경보를 울림과 동시에 119에 신고하는 소방시설로, 현재 드림타워에 설치돼 운영 중에 있다.

 

하지만 지난해 소방법이 개정되면서 30층 이상 건물에는 자동화재 속보설비를 의무적으로 설치할 필요는 없게 됐다.

 

제주도 관계자는 "자동 화재 신고가 작동하지 않았고 드림타워 측이 자체적으로 진화하면서 119에 신고해 소방당국이 출동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드림타워 정도의 대형 건물은 자체 소방대가 꾸려져서 진압해야 하는데, 자체적으로 소방대가 안에 있는 소화전을 통해 화재에 대응하는 진압과정도 미흡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드림타워 관계자도 "드림타워 자체 소방대 출동과 동시에 119에 전화(핫라인)로 신고했다"며 "자동화재 속보설비가 화재 당시 작동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고 전했다.

 

제주도와 119 소방당국은 불이 난 드림타워 건식사우나 건조시설에 스프링클러가 설치돼 있었는지, 화재 당시 작동했는지 등을 따져보고 있다.

 

또한 화재 발생 당시 이용객 등의 대피 과정이 잘 이뤄졌는지, 비상벨 등이 제대로 작동했는지 등도 꼼꼼히 살펴볼 방침이다.

 

드림타워 관계자는 이에 대해 "화재가 난 건식사우나 건조시설에는 스프링클러가 설치돼 있고, 화재 당시에 이 스프링클러 시설이 작동됐다"고 말했다.

 

 

앞서 9일 오후 7시 12분께 제주시 노형동 드림타워 6층 여자 건식사우나실에서 불이 나 9.91㎡ 크기의 사우나실이 불에 탔고, 사우나 이용객과 객실 투숙객 등 200여명이 긴급 대피했다.

 

또 드림타워 직원 등 16명이 연기흡입으로 치료받았다.

 

소방당국은 인원 47명과 장비 17대를 동원, 화재 발생 15분 만인 오후 7시 27분께 진화작업을 완료했다.

 

총 객실 1600실 규모의 드림타워는 최근 들어 1000실가량이 판매되고 있으나 이날 화재가 발생할 당시 저녁 시사시간대여서 객실에 관광객은 비교적 적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

추천 반대
추천
5명
100%
반대
0명
0%

총 5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