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19일은 기상관측 이래 6월 중 가장 더운 날로 기록됐다. 경북 경주는 기온이 한때 37.7도까지 치솟았다. 이틀 뒤 21일 서울에서 밤 기온이 섭씨 25도 아래로 내려가지 않는 올여름 첫 열대야가 나타났다. 열대야는 지난해보다 일주일 이르고, 1907년 근대적인 기상 관측을 시작한 이래 가장 빨랐다. 6월 중 열대야는 2022년부터 3년 연속 나타났다.
더위는 잠을 설치게 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때 이른 폭염 탓에 농산물 가격이 요동치고 있다. 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시금치 도매가격이 한달 새 86% 올랐다. 고온에 취약한 상추류 가격이 180% 급등했다. 대파 값도 50% 상승했다.
올여름 역대 최강의 폭염이 예고되면서 농식품발(發) 물가불안이 고개를 들고 있다. 폭염으로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고, 이로 인한 충격이 경제 전반에 미치는 ‘히트플레이션(heat·열+inflation)’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히트플레이션이 만연하면 정부가 목표로 잡은 2%대 물가안정은 물 건너간다.
폭염이 몰고 올 피해의 전조는 날씨 통계로 가늠된다. 기상청에 따르면 6월 들어 20일까지 폭염 일수(2.4일)는 평년 6월 한 달 폭염 일수(0.6일)의 4배에 이르렀다. 하루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폭염일수도 종전 2018년 6월 기록(1.5일)을 능가했다. 예년 평균기온이 21도였던 6월에 30도를 넘나드는 때 이른 폭염으로 올해가 역대 가장 뜨거운 6월이 됐다.
폭염은 농산물 생산 감소 및 품질 저하, 병해충 확산, 토양환경 변화, 수자원 불균형 확대, 재해로 인한 재배시설 붕괴 등을 초래한다. 역대급 초여름 폭염은 이제 시작이라고 한다. 농사 성패를 좌우할 강수량도 올 7~8월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더 많을 확률이 각각 40%다. 폭염이 길어지면 ‘농산물 공급량 급감 → 물가 급등 → 서민 가계 고통’의 악순환이 지속할 수 있다. 지난해 작황 부진으로 올해까지 치른 ‘금사과’ ‘금배’ 파동의 재연도 우려된다.
이른 폭염으로 인한 작물 피해는 세계적 현상이다. 가나, 나이지리아 등 코코아 주산지인 서아프리카 지역이 최근 극심한 가뭄과 폭염에 시달렸다. 코코아가 주원료인 초콜릿 가격이 급등한 이유다. 국내 제과업체는 초콜릿이 포함된 제품 값을 10% 넘게 올렸다. 올리브유 등의 원료 수급도 불안하다. 식품 원자재에 대한 해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글로벌 이상기후와 농산물 생산에도 신경써야 한다.
폭염은 정상 제품 운송에도 타격을 입힌다. 괜찮은 수확물이 장거리 해상 운송 중 시들거나 부패된다. 그 결과 운송비와 농산물 가격이 동반 상승한다. 한국은행 분석에 따르면 기온이 1도 오르면 농산물 가격 상승률이 0.4~0.5%포인트 높아진다. 게다가 그 영향이 6개월 정도 지속된다. 물가가 아직 잡히지 않은 상황에서 히트플레이션이 덮치면 물가안정은 그만큼 더 멀어진다.
폭염이 생산성 저하 등 경제 전반에 끼치는 악영향도 주시해야 한다. 국제노동기구(ILO)는 폭염으로 2030년까지 매해 전 세계 총노동시간의 2% 이상이 감소해 2조4000억 달러의 금전적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했다. ILO는 농업과 건설업을 중심으로 정규직 일자리 8000만개가 날아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배송 업무 제한과 온열질환 민감군의 작업 규제 등 영향을 감안해 이같이 분석했다.
폭염으로 인해 2100년까지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이 2020년 대비 18% 정도 감소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와 있다. 폭염이 고용에다 경제성장까지 가로막는 복병이 될 수 있다는 경고다. 이처럼 이상기후는 물가뿐만 아니라 일자리와 경제성장, 민생을 위협하는 중대 사안이다.
폭염 등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를 줄일 중장기 전략과 종합대책을 적극 강구해야 한다. 하지만 정부의 대응은 굼뜨기 짝이 없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먹거리 물가 상승률이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을 웃돈 지 2년 가까이 지난 이제야 기후변화 대응팀을 꾸려 연말까지 기후변화 대응 방안을 마련해 내놓기로 했다.
해외 농산물 수입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도 경계해야 한다. 주요 농축산물 수출국들도 세계적인 이상기후에 직면해 생산이 줄어드는 상황이다. 국내 농산물 생산 및 유통 체계의 경쟁력 확보가 시급하다. 높은 온도에 견디는 신품종을 개발하고, 수급예측 능력을 높여야 할 것이다. 도매법인 등 중간상인이 이득을 보고, 생산자인 농민과 소비자가 피해를 보는 전근대적 농산물 유통구조도 서둘러 개혁해야 한다.
폭염에 노동생산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유연근무제 등 탄력적인 근로를 권장하는 것도 긴요하다. 정부와 국회는 관련 노동법규를 이에 맞춰 정비해야 할 것이다. 기상 이변을 원천적으로 막기는 어려워도 피해를 최소화하는 노력을 소홀히 해선 안 된다. 정부와 정치권, 민간이 폭염 충격 예방과 극복에 지혜와 힘을 모을 때다. [본사 제휴 The Scoop=양재찬 대기자]